연예큐브

'흑백요리사' 안성재 셰프, '콧대 높은' 미쉐린 때려치운 '진짜 이유'

 미국 유력 일간지 뉴욕타임스(NYT)가 한국계 미국인 셰프 안성재(42)의 '반전' 성공 스토리를 집중 조명했다. NYT는 21일(현지시간) 홈페이지 메인 화면에 '그는 서울의 유일한 미쉐린 3스타 셰프다. 그를 거스르지 말라'라는 제목의 기사를 싣고, 역경을 딛고 한국 최고의 셰프 자리에 오른 안성재 셰프의 독특한 이력을 소개했다.

 

안 셰프는 13세에 미국으로 이민, 어려운 환경 속에서 성장했다. 미군에 입대해 이라크 전쟁에 참전하기도 했던 그는 24세라는 늦은 나이에 요리에 대한 열정 하나로 요리학교에 입학했다. 이후 캘리포니아의 한 유명 일식당에서 무급으로 일하며 밑바닥부터 실력을 쌓았다.

 

피나는 노력 끝에 그는 2016년 샌프란시스코에 자신의 레스토랑을 열었고, 개업 첫해에 미쉐린 1스타를 획득하는 기염을 토했다. 탄탄대로를 걷는 듯했지만, 안 셰프는 돌연 레스토랑을 접고 한국행을 선택했다. 당시 주변 사람들은 그의 결정을 이해하지 못했다.

 

"일식당에서 일하며 손님들이 저를 한국인이 아닌 일본인으로 생각하는 시선이 힘들었습니다. 마치 다른 사람인 척 연기하는 것 같았죠. 결국 제 뿌리를 찾아 한국으로 돌아가기로 결심했습니다."

 

2017년 서울에 자신의 레스토랑 '모수'를 오픈한 안 셰프는 한국에서 '제2의 도약'을 시작했다. 모수는 2019년 미쉐린 1스타, 2020년 2스타를 거쳐 2023년 마침내 한국 유일의 미쉐린 3스타 레스토랑에 등극하며 안 셰프의 진가를 증명했다.

 

NYT는 "안 셰프의 아메리칸 드림은 결국 그의 모국에서 실현되었다"며 "그가 미국을 떠나 있는 동안 한국은 음악, 예술, TV, 음식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세계적인 강국으로 부상했다"고 평가했다.

 

한편 안 셰프는 최근 넷플릭스 요리 프로그램 '셰프의 테이블'에 출연하며 대중적인 인지도까지 얻고 있다. 밑바닥부터 시작해 요리계 정점에 오른 그의 성공 스토리는 많은 이들에게 깊은 감동과 용기를 전해주고 있다.

 

반딧불이와 영화가 만나는 특별한 무주산골영화제

무료로 영화를 즐길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된다. 무주등나무운동장 일대에서 열리는 이번 영화제는 실내상영관과 야외상영장 등 7개의 상영장에서 18개국에서 온 86편의 다양한 영화를 상영하며, 6월 8일까지 진행된다. 특히 이번 영화제는 격식을 차릴 필요 없이 관객들이 자유롭게 영화를 보고, 중간에 나가도 되는 편안한 분위기에서 진행된다.무주산골영화제의 개막작으로 선정된 작품은 1928년작 빅토르 쇠스트롬의 <바람>이다. 이 무성영화는 한 여성의 정서적 고립과 심리적인 고통을 자연과의 충돌을 통해 시적으로 표현한 작품으로, 무성영화 시대를 대표하는 걸작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 영화는 무주산골영화제를 대표하는 시작점이 될 뿐만 아니라, 관객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길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이번 영화제에는 특별 프로그램도 다채롭게 마련되어 있다. 특히 ‘넥스트 액터’로 선정된 최현욱 배우와의 만남이 예정되어 있으며, 관객들은 현장에서 이 배우를 직접 만나고 그의 작품에 대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다. 더불어 올해 신설된 <넥스트 시네아스트 박세영>과 <디렉터즈 포커스 엄태화> 프로그램도 주목을 받고 있다. 이는 새로운 감독들과 영화제작자들의 작품을 조명하는 기회가 될 것이다.무주산골영화제 기간 동안에는 영화와 함께 자연을 체험할 수 있는 특별한 프로그램인 ‘운문산반딧불이 신비탐사’도 진행된다. 이 프로그램은 관람객들에게 반딧불이가 서식하는 자연 환경에서 반딧불이의 빛을 관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매년 5월 말부터 6월 초까지, 그리고 8월 말부터 9월 초까지 진행되는 이 프로그램은 기후변화에 따른 반딧불이 출현 시기를 반영해 올해에는 총 12회에 걸쳐 운영된다. 지난해에는 무주 전역에서 31곳의 반딧불이 서식지가 확인되었으며, 그 중 3곳에서는 100마리 이상의 반딧불이가 관찰되었다.무주산골영화제는 청정 자연 환경에서 영화를 관람하는 독특한 매력으로 관객들에게 인기를 끌고 있다. 지난해에는 영화제를 찾은 관객 수가 무주군의 전체 인구(2만3천여명)보다 1.5배 많은 3만5천여 명에 달했다. 이런 높은 방문객 수는 영화제가 지역 경제와 관광 산업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를 받았다. 다만, 올해 영화제는 8년간 지원받아 온 국비가 끊기면서 개최 기간이 이틀 축소돼 사흘간만 열리게 되었다. 하지만 축소된 일정 속에서도 여전히 많은 관객들이 영화제에 참여할 것으로 예상된다.이번 제13회 무주산골영화제는 자연 속에서 편안하게 영화를 관람하고, 새로운 영화적 경험을 제공하는 자리로, 무주를 찾는 많은 사람들에게 또 다른 의미 있는 시간을 선사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