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산업

연말 대목은 없다… 비상계엄 여파로 소상공인 매출 ‘추락’

 12월 첫째 주 신용카드 지출액이 전주 대비 25.5% 급감하며 소비 심리가 급격히 얼어붙었다. 이는 추석 연휴 기간인 9월 14~20일(-27.1%) 이후 올해 들어 가장 큰 감소율로, 지난 3일 밤 비상계엄 선포와 탄핵 정국의 여파가 민간 소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통계청 나우캐스트에 따르면 11월 30일부터 12월 6일까지 전국 17개 시도의 신용카드 이용 금액이 모두 감소했으며, 특히 광주는 35.9%라는 가장 큰 감소율을 기록했다. 

 

가맹점 카드 매출액은 전주 대비 13.8% 줄어든 반면, 배달 외식 매출은 1.9% 증가해 비대면 소비가 상대적으로 선호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 집계에 따르면 비상계엄 이후인 12월 4~13일 전국 신용카드 일평균 사용액은 2조5102억 원으로, 한 달 전 같은 기간보다 약 3% 감소했다. 이는 계엄 사태가 외식, 배달 등 일부 비대면 업종을 제외한 전반적인 소비 지출에 악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준다.

 

특히 연말 특수를 기대했던 소상공인들의 한숨이 깊어지고 있다. 횟집을 운영하는 최 모씨는 "연말이면 단체 예약이 많아야 하지만, 올해는 예약 자체가 반토막 났다"며 "비상계엄 이후로 그나마 있던 예약도 대부분 취소됐다"고 토로했다. 소상공인연합회가 전국 소상공인 163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서도 응답자의 88.4%가 비상계엄 이후 매출 감소를 경험했다고 답했다.

 

장기화된 경기 침체 속에서 비상계엄 사태는 골목상권에 또 다른 직격탄이 되고 있다. 강원신용보증재단의 대위변제액(소상공인이 갚지 못한 빚 대신 변제한 금액)은 올해 11월까지 968억2900만 원에 달하며, 지난해 연간 대위변제액(548억1800만 원)보다 76.6% 증가했다. 이는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의 경영 상황이 최악으로 치닫고 있음을 보여주는 단적인 사례다. 비상계엄 사태로 인한 ‘연말 특수 실종’은 골목상권의 위기를 더욱 심화시키고 있다.

 

휠체어도, 유모차도 OK! 모두를 위한 제주 여행 축제

며, 장애인, 고령자, 임산부, 영유아 동반 가족 등 관광 약자들이 편안하고 자유롭게 제주를 즐길 수 있도록 돕기 위해 기획됐다.관광 약자들의 이동과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과 이벤트가 준비된 이번 페스타는 누구나 차별 없이 여행을 즐길 수 있는 제주를 만들겠다는 목표를 담고 있다. 이를 통해 제주가 모두를 위한 열린 관광지로 한 걸음 더 나아가길 기대하고 있다.행사의 주요 프로그램 중 하나는 4월 11일 오전 10시에 열리는 ‘제주 무장애 올레길 걷기 행사’다. 이 행사는 제주올레 10코스(송악~사계 코스) 구간에서 진행되며, 휠체어 이용자, 시각장애인, 발달장애인 등 다양한 관광 약자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자연과 함께 걷는 이 행사는 참가자들에게 제주 자연의 매력을 만끽할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같은 날 오후 3시에는 제주도립미술관에서 ‘열린 관광 콘서트’가 개최된다. 이 콘서트는 장애 예술인들이 직접 참여해 공연과 작품을 선보이며, 문화적 차별을 해소하고 창작 활동의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번 행사는 장애 예술인들의 재능과 열정을 알리는 자리이자, 관람객들에게 새로운 문화적 경험을 제공하는 시간이 될 것이다.이번 페스타에는 총 128개의 기업과 기관이 참여한다. 104개의 관광기업과 24개의 유관기관이 협력하여 관광 약자들이 제주를 더욱 편리하고 쾌적하게 여행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 활동을 펼칠 예정이다.프로그램으로는 유아 동반 가족을 위한 신화테마파크 체험, 시각장애인을 위한 곶자왈 사운드 워킹 체험, 관광 약자 전체를 대상으로 한 물씬 제주 색채 조향 체험 등이 포함됐다. 이 외에도 각 기관과 기업은 관광 약자들을 위한 다양한 할인 혜택과 서비스를 제공하며, 제주 방문객들의 여행 만족도를 높이는 데 기여할 계획이다.페스타 기간 동안 제공되는 할인 혜택과 프로모션 정보는 제주도 공식 관광 정보 포털인 ‘비짓제주’의 ‘모두를 위한 제주(무장애)’ 전용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관광 약자들은 전용 페이지에서 쿠폰을 다운로드해 사용하면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다.제주관광공사 관계자는 “이번 열린 관광 페스타는 관광 약자를 포함한 모든 사람들이 제주를 더욱 쉽게 즐길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시도”라며 “앞으로도 제주가 모두를 위한 열린 관광지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2025 열린 관광 페스타’는 제주를 찾는 모든 이들에게 평등한 여행의 기회를 제공하며, 제주가 진정한 열린 관광지로 나아가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