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이슈

'스톤헨지'에 숨겨진 고대 영국의 비밀… 드디어 공개

 세계 7대 불가사의 중 하나로 꼽히는 영국 스톤헨지. 거대한 돌들이 원형으로 배치된 채 수천 년 동안 그 자리를 지켜온 이 불가사의한 유적은 종교적 사원, 천문 관측소 등 다양한 추측을 낳았다. 그러나 최근 연구 결과, 스톤헨지는 고대 영국 통일을 위한 정치적 상징물이었을 가능성이 제기되며 학계의 비상한 관심을 받고 있다.

 

지금까지 스톤헨지 건설 목적에 대한 여러 가설이 제기되었지만, 명확한 해답을 찾지 못해 미스터리로 남아있었다. 그러나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과 애버리스트위스대학 공동 연구진은 스톤헨지를 구성하는 돌들의 기원을 추적하여 놀라운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스톤헨지 건축에 사용된 돌들은 단순히 가까운 곳에서 가져온 것이 아니라, 현재의 영국, 스코틀랜드, 웨일즈 지역을 아우르는 먼 곳에서 운반해 온 것으로 드러났다. 스톤헨지 중심부에 위치한 거대한 블루스톤은 무려 1000km 떨어진 스코틀랜드 북부에서 옮겨졌으며, 다른 블루스톤들은 250km 떨어진 웨일즈 지역에서 온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진은 이러한 사실을 토대로 스톤헨지가 단순한 종교적 장소를 넘어, 고대 영국 통합을 위한 정치적 상징물 역할을 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즉, 각 지역에서 가져온 돌들이 당시 존재했던 여러 부족들을 하나로 묶는 상징적 의미를 지녔다는 것이다.

 

연구진은 스코틀랜드 북부와 웨일즈 지역 사람들이 솔즈베리 평원에 거주하는 사람들과 정치적 관계를 맺고, 평화를 유지하기 위해 먼 거리에서 돌을 운반해 왔을 가능성을 제시했다. 스톤헨지 건설은 단순한 건축 프로젝트가 아니라, 서로 다른 지역 사람들이 협력하고 교류하는 과정을 통해 고대 영국의 통합을 이루려는 노력의 일환이었던 것이다.

 

이번 연구 결과는 스톤헨지가 지닌 역사적 의미를 재조명하고, 고대 영국 사회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중요한 발견으로 평가받고 있다. 스톤헨지가 과연 고대 영국의 통합을 위한 상징물이었는지, 앞으로 더욱 심층적인 연구를 통해 밝혀져야 할 것이다.

 

반딧불이와 영화가 만나는 특별한 무주산골영화제

무료로 영화를 즐길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된다. 무주등나무운동장 일대에서 열리는 이번 영화제는 실내상영관과 야외상영장 등 7개의 상영장에서 18개국에서 온 86편의 다양한 영화를 상영하며, 6월 8일까지 진행된다. 특히 이번 영화제는 격식을 차릴 필요 없이 관객들이 자유롭게 영화를 보고, 중간에 나가도 되는 편안한 분위기에서 진행된다.무주산골영화제의 개막작으로 선정된 작품은 1928년작 빅토르 쇠스트롬의 <바람>이다. 이 무성영화는 한 여성의 정서적 고립과 심리적인 고통을 자연과의 충돌을 통해 시적으로 표현한 작품으로, 무성영화 시대를 대표하는 걸작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 영화는 무주산골영화제를 대표하는 시작점이 될 뿐만 아니라, 관객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길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이번 영화제에는 특별 프로그램도 다채롭게 마련되어 있다. 특히 ‘넥스트 액터’로 선정된 최현욱 배우와의 만남이 예정되어 있으며, 관객들은 현장에서 이 배우를 직접 만나고 그의 작품에 대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다. 더불어 올해 신설된 <넥스트 시네아스트 박세영>과 <디렉터즈 포커스 엄태화> 프로그램도 주목을 받고 있다. 이는 새로운 감독들과 영화제작자들의 작품을 조명하는 기회가 될 것이다.무주산골영화제 기간 동안에는 영화와 함께 자연을 체험할 수 있는 특별한 프로그램인 ‘운문산반딧불이 신비탐사’도 진행된다. 이 프로그램은 관람객들에게 반딧불이가 서식하는 자연 환경에서 반딧불이의 빛을 관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매년 5월 말부터 6월 초까지, 그리고 8월 말부터 9월 초까지 진행되는 이 프로그램은 기후변화에 따른 반딧불이 출현 시기를 반영해 올해에는 총 12회에 걸쳐 운영된다. 지난해에는 무주 전역에서 31곳의 반딧불이 서식지가 확인되었으며, 그 중 3곳에서는 100마리 이상의 반딧불이가 관찰되었다.무주산골영화제는 청정 자연 환경에서 영화를 관람하는 독특한 매력으로 관객들에게 인기를 끌고 있다. 지난해에는 영화제를 찾은 관객 수가 무주군의 전체 인구(2만3천여명)보다 1.5배 많은 3만5천여 명에 달했다. 이런 높은 방문객 수는 영화제가 지역 경제와 관광 산업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를 받았다. 다만, 올해 영화제는 8년간 지원받아 온 국비가 끊기면서 개최 기간이 이틀 축소돼 사흘간만 열리게 되었다. 하지만 축소된 일정 속에서도 여전히 많은 관객들이 영화제에 참여할 것으로 예상된다.이번 제13회 무주산골영화제는 자연 속에서 편안하게 영화를 관람하고, 새로운 영화적 경험을 제공하는 자리로, 무주를 찾는 많은 사람들에게 또 다른 의미 있는 시간을 선사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