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남은 케이크 냉장고에 넣었다가… '대참사'

 연말연시를 맞아 케이크 소비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업계 조사에 따르면 12월 케이크 판매량은 평상시 대비 최대 300%까지 치솟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런 과다 구매는 종종 '케이크 처리 난민'을 양산하고 있다. 특히 남은 케이크의 부적절한 보관 방식이 식중독의 위험을 키우고 있어 전문가들의 우려가 깊어지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흔히 저지르는 실수는 남은 케이크를 비닐봉지에 넣어 냉동보관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는 심각한 식중독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특히 이미 한 번 해동된 케이크를 재냉동할 경우 그 위험성은 더욱 커진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대부분의 식중독균과 노로바이러스는 영하의 온도에서도 완전히 사멸되지 않고 증식만 억제될 뿐이다.

 

더욱 우려스러운 것은 해동과 재냉동의 반복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도 변화다. 이러한 환경은 세균 증식을 촉진시켜 식중독 발생 가능성을 높인다. 이런 이유로 식품위생법에서는 한 번 해동된 제품의 재냉동을 엄격히 금지하고 있다. 또한 재냉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물 분자의 재결정화는 케이크의 식감을 현저히 떨어뜨린다.

 


한국소비자원의 연구 결과는 더욱 충격적이다. 유통기한이 지난 케이크를 0~5도에서 냉장 보관했을 때, 단 이틀 만에 황색포도상구균이 검출되었다. 실온 보관의 경우는 더욱 위험해서, 유통기한 경과 하루 만에 식용이 불가능할 정도로 변질되었다.

 

전문가들은 케이크 종류별로 차별화된 보관법을 권장한다. 생크림 케이크는 구매 후 1-2일 내 섭취가 원칙이며, 버터크림 케이크는 이보다 4-5일 정도 더 보관이 가능하다. 보관 시에는 케이크 상자 대신 밀폐용기를 사용해야 하며, 냉장고 뒤쪽에 보관하는 것이 좋다. 냉장고 문 개폐로 인한 온도 변화가 적은 위치이기 때문이다.

 

휠체어도, 유모차도 OK! 모두를 위한 제주 여행 축제

며, 장애인, 고령자, 임산부, 영유아 동반 가족 등 관광 약자들이 편안하고 자유롭게 제주를 즐길 수 있도록 돕기 위해 기획됐다.관광 약자들의 이동과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과 이벤트가 준비된 이번 페스타는 누구나 차별 없이 여행을 즐길 수 있는 제주를 만들겠다는 목표를 담고 있다. 이를 통해 제주가 모두를 위한 열린 관광지로 한 걸음 더 나아가길 기대하고 있다.행사의 주요 프로그램 중 하나는 4월 11일 오전 10시에 열리는 ‘제주 무장애 올레길 걷기 행사’다. 이 행사는 제주올레 10코스(송악~사계 코스) 구간에서 진행되며, 휠체어 이용자, 시각장애인, 발달장애인 등 다양한 관광 약자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자연과 함께 걷는 이 행사는 참가자들에게 제주 자연의 매력을 만끽할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같은 날 오후 3시에는 제주도립미술관에서 ‘열린 관광 콘서트’가 개최된다. 이 콘서트는 장애 예술인들이 직접 참여해 공연과 작품을 선보이며, 문화적 차별을 해소하고 창작 활동의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번 행사는 장애 예술인들의 재능과 열정을 알리는 자리이자, 관람객들에게 새로운 문화적 경험을 제공하는 시간이 될 것이다.이번 페스타에는 총 128개의 기업과 기관이 참여한다. 104개의 관광기업과 24개의 유관기관이 협력하여 관광 약자들이 제주를 더욱 편리하고 쾌적하게 여행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 활동을 펼칠 예정이다.프로그램으로는 유아 동반 가족을 위한 신화테마파크 체험, 시각장애인을 위한 곶자왈 사운드 워킹 체험, 관광 약자 전체를 대상으로 한 물씬 제주 색채 조향 체험 등이 포함됐다. 이 외에도 각 기관과 기업은 관광 약자들을 위한 다양한 할인 혜택과 서비스를 제공하며, 제주 방문객들의 여행 만족도를 높이는 데 기여할 계획이다.페스타 기간 동안 제공되는 할인 혜택과 프로모션 정보는 제주도 공식 관광 정보 포털인 ‘비짓제주’의 ‘모두를 위한 제주(무장애)’ 전용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관광 약자들은 전용 페이지에서 쿠폰을 다운로드해 사용하면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다.제주관광공사 관계자는 “이번 열린 관광 페스타는 관광 약자를 포함한 모든 사람들이 제주를 더욱 쉽게 즐길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시도”라며 “앞으로도 제주가 모두를 위한 열린 관광지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2025 열린 관광 페스타’는 제주를 찾는 모든 이들에게 평등한 여행의 기회를 제공하며, 제주가 진정한 열린 관광지로 나아가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