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산업

'형님 먼저' 라면의 귀환...48년 전 그 맛 기억하십니까?

 "형님 먼저, 아우 먼저"라는 광고 문구로 70년대를 풍미했던 농심라면이 48년 만에 부활한다. 농심은 창립 60주년을 맞아 1975년 첫 출시된 농심라면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해 13일 선보인다고 밝혔다.

 

농심라면은 1975년 출시 당시 폭발적인 인기를 끌며 한국 라면 시장의 새 역사를 썼다. 특히 이 제품의 성공은 1978년 회사명을 롯데공업주식회사에서 '농심'으로 변경하는 결정적 계기가 될 만큼 큰 의미를 가진다. 당시 "형님 먼저, 아우 먼저"라는 카피는 한국 광고사에 길이 남을 명문구로 자리 잡았으며, 이는 한국인의 정서를 절묘하게 포착한 마케팅의 대표적 성공 사례로 꼽힌다.

 


이번 재출시되는 농심라면은 1975년 원조 레시피를 기반으로 하되, 현대인의 입맛을 고려해 일부 개선했다. 가장 큰 특징은 전통 국밥처럼 깔끔하면서도 칼칼한 맛을 구현했다는 점이다. 농심은 제품 개발 과정에서 수차례의 테스트를 거쳐 옛날 맛을 최대한 재현하는 데 주력했다고 한다.

 

특히 면 품질 향상을 위해 국산 쌀을 첨가해 쫄깃하고 탄력 있는 식감을 구현했으며, 깊은 맛을 내기 위해 한우와 각종 채소를 우려낸 육수를 사용했다. 제품 패키지 역시 1975년 출시 당시의 디자인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노스탤지어를 자극하는 동시에 세련된 감각을 더했다.

 

농심 관계자는 "60주년을 맞아 농심의 정체성을 가장 잘 보여줄 수 있는 제품을 고민하다 농심라면 재출시를 결정했다"며 "옛 맛을 그리워하는 기성세대는 물론, 색다른 맛을 추구하는 MZ세대에게도 새로운 경험이 될 것"이라고 자신감을 보였다.

 

휠체어도, 유모차도 OK! 모두를 위한 제주 여행 축제

며, 장애인, 고령자, 임산부, 영유아 동반 가족 등 관광 약자들이 편안하고 자유롭게 제주를 즐길 수 있도록 돕기 위해 기획됐다.관광 약자들의 이동과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과 이벤트가 준비된 이번 페스타는 누구나 차별 없이 여행을 즐길 수 있는 제주를 만들겠다는 목표를 담고 있다. 이를 통해 제주가 모두를 위한 열린 관광지로 한 걸음 더 나아가길 기대하고 있다.행사의 주요 프로그램 중 하나는 4월 11일 오전 10시에 열리는 ‘제주 무장애 올레길 걷기 행사’다. 이 행사는 제주올레 10코스(송악~사계 코스) 구간에서 진행되며, 휠체어 이용자, 시각장애인, 발달장애인 등 다양한 관광 약자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자연과 함께 걷는 이 행사는 참가자들에게 제주 자연의 매력을 만끽할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같은 날 오후 3시에는 제주도립미술관에서 ‘열린 관광 콘서트’가 개최된다. 이 콘서트는 장애 예술인들이 직접 참여해 공연과 작품을 선보이며, 문화적 차별을 해소하고 창작 활동의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번 행사는 장애 예술인들의 재능과 열정을 알리는 자리이자, 관람객들에게 새로운 문화적 경험을 제공하는 시간이 될 것이다.이번 페스타에는 총 128개의 기업과 기관이 참여한다. 104개의 관광기업과 24개의 유관기관이 협력하여 관광 약자들이 제주를 더욱 편리하고 쾌적하게 여행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 활동을 펼칠 예정이다.프로그램으로는 유아 동반 가족을 위한 신화테마파크 체험, 시각장애인을 위한 곶자왈 사운드 워킹 체험, 관광 약자 전체를 대상으로 한 물씬 제주 색채 조향 체험 등이 포함됐다. 이 외에도 각 기관과 기업은 관광 약자들을 위한 다양한 할인 혜택과 서비스를 제공하며, 제주 방문객들의 여행 만족도를 높이는 데 기여할 계획이다.페스타 기간 동안 제공되는 할인 혜택과 프로모션 정보는 제주도 공식 관광 정보 포털인 ‘비짓제주’의 ‘모두를 위한 제주(무장애)’ 전용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관광 약자들은 전용 페이지에서 쿠폰을 다운로드해 사용하면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다.제주관광공사 관계자는 “이번 열린 관광 페스타는 관광 약자를 포함한 모든 사람들이 제주를 더욱 쉽게 즐길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시도”라며 “앞으로도 제주가 모두를 위한 열린 관광지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2025 열린 관광 페스타’는 제주를 찾는 모든 이들에게 평등한 여행의 기회를 제공하며, 제주가 진정한 열린 관광지로 나아가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