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산업

"어디로 가야 하나요?" 은행 점포 감소에 '막막한' 어르신들

 스마트폰 하나로 손쉽게 금융 거래를 하는 시대, 은행 점포는 추억 속 이야기가 되어가는 걸까. 

 

국내 은행 점포 수가 6년째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비대면 거래가 증가하면서 은행들이 수익성 확보를 위해 점포 통폐합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금융 취약계층의 어려움은 가중되고 지역 간 금융 격차가 심화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국내 은행 점포 수는 5,849곳으로, 1년 전(5,902곳)보다 53곳 줄었다. 2012년 7,835곳으로 정점을 찍었던 은행 점포는 10년 만에 2,000곳 가까이 사라진 셈이다. 특히 2018년 3분기 이후로는 단 한 번도 증가세를 보이지 않고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은행 점포가 이처럼 줄어드는 가장 큰 이유는  인터넷·모바일 뱅킹 등 비대면 거래가 보편화되면서 점포를 직접 찾는 고객이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실제로 은행 창구를 찾는 고객은 줄어드는 반면, 모바일 뱅킹 등 디지털 채널 이용은 증가하는 추세다.

 

은행 입장에서는 운영비용이 높은 점포를 유지하기보다는 디지털 금융 서비스 강화에 집중하는 것이 수익성에 유리하다. 최근 우리은행이 서울 종로구 세종로금융센터를 포함한 전국 21개 점포를 통폐합한 것처럼, 은행들은 앞으로도 점포 축소 및 통폐합, 대형화를 통해 오프라인 점포를 줄여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은행 점포 감소는 금융 소외 현상을 심화시킬 수 있다는 지적도 만만치 않다. 디지털 환경에 익숙하지 않은 고령층이나 장애인 등은  금융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한국금융연구원은 고령층 비중이 높아지는 지역이 은행 서비스 활용이 낮아 금융 소외가 확대될 수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한국금융연구원 조사 결과 서울, 부산, 대전 등 대도시는 은행 점포까지의 거리가  1km 내외로 가까웠지만, 강원, 전남, 경북 등 일부 지역에서는  은행 점포를 이용하기 위해 최대 27km까지 이동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역 간 금융 격차를 심화시키고, 금융 취약계층을 고립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전문가들은 은행들이 단순히 수익성만을 앞세워 점포를 줄이기보다는, 금융 취약계층의 접근성을 보장하기 위한 노력을 병행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고령층을 위한 디지털 금융 교육 강화,  전담 창구 마련, 이동식 점포 운영 확대, 편의점 ATM 등 다양한 금융 접근 채널 확보 등이 대안으로 제시된다.

 

은행의 디지털 전환은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지만,  그 과정에서 소외되는 사람이 없도록 사회적 안전망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떠올랐다.

 

휠체어도, 유모차도 OK! 모두를 위한 제주 여행 축제

며, 장애인, 고령자, 임산부, 영유아 동반 가족 등 관광 약자들이 편안하고 자유롭게 제주를 즐길 수 있도록 돕기 위해 기획됐다.관광 약자들의 이동과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과 이벤트가 준비된 이번 페스타는 누구나 차별 없이 여행을 즐길 수 있는 제주를 만들겠다는 목표를 담고 있다. 이를 통해 제주가 모두를 위한 열린 관광지로 한 걸음 더 나아가길 기대하고 있다.행사의 주요 프로그램 중 하나는 4월 11일 오전 10시에 열리는 ‘제주 무장애 올레길 걷기 행사’다. 이 행사는 제주올레 10코스(송악~사계 코스) 구간에서 진행되며, 휠체어 이용자, 시각장애인, 발달장애인 등 다양한 관광 약자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자연과 함께 걷는 이 행사는 참가자들에게 제주 자연의 매력을 만끽할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같은 날 오후 3시에는 제주도립미술관에서 ‘열린 관광 콘서트’가 개최된다. 이 콘서트는 장애 예술인들이 직접 참여해 공연과 작품을 선보이며, 문화적 차별을 해소하고 창작 활동의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번 행사는 장애 예술인들의 재능과 열정을 알리는 자리이자, 관람객들에게 새로운 문화적 경험을 제공하는 시간이 될 것이다.이번 페스타에는 총 128개의 기업과 기관이 참여한다. 104개의 관광기업과 24개의 유관기관이 협력하여 관광 약자들이 제주를 더욱 편리하고 쾌적하게 여행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 활동을 펼칠 예정이다.프로그램으로는 유아 동반 가족을 위한 신화테마파크 체험, 시각장애인을 위한 곶자왈 사운드 워킹 체험, 관광 약자 전체를 대상으로 한 물씬 제주 색채 조향 체험 등이 포함됐다. 이 외에도 각 기관과 기업은 관광 약자들을 위한 다양한 할인 혜택과 서비스를 제공하며, 제주 방문객들의 여행 만족도를 높이는 데 기여할 계획이다.페스타 기간 동안 제공되는 할인 혜택과 프로모션 정보는 제주도 공식 관광 정보 포털인 ‘비짓제주’의 ‘모두를 위한 제주(무장애)’ 전용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관광 약자들은 전용 페이지에서 쿠폰을 다운로드해 사용하면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다.제주관광공사 관계자는 “이번 열린 관광 페스타는 관광 약자를 포함한 모든 사람들이 제주를 더욱 쉽게 즐길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시도”라며 “앞으로도 제주가 모두를 위한 열린 관광지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2025 열린 관광 페스타’는 제주를 찾는 모든 이들에게 평등한 여행의 기회를 제공하며, 제주가 진정한 열린 관광지로 나아가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