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빵 먹었다고 70대 당뇨 환자 폭행, 충격적인 실상 공개돼

전남 목포의 한 병원에서 70대 환자가 보호사에 의해 폭행을 당해 갈비뼈 골절 피해를 입은 사건이 발생했다. 사건의 전말은 환자 보호자가 병원에 고소장을 제출하며 공개되었고, 이후 병원 측의 은폐 시도와 관련된 논란이 일었다. 피해자는 폭행 사실을 입증할 수 있는 중요한 증거로 CCTV 영상을 제공하며 병원과 보호사를 고소했다.

 

지난해 11월 28일, A 씨(70대)는 목포의 한 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던 중, 병원의 보호사에게 폭행을 당했다. A 씨는 조울증, 치매, 당뇨병 등의 만성질환을 앓고 있으며, 8년간 해당 병원에 입원·퇴원하며 치료를 받아왔다. 이후 그는 폐쇄병동에서 생활하던 중, 병원 내 공중전화로만 가족과 연락을 할 수 있었다.

 

A 씨의 딸은 지난 연말, 아버지와 연락이 닿지 않아 걱정되었으나 크게 신경 쓰지 않았다. 하지만 이후 간신히 통화가 되었을 때, A 씨는 자신이 보호사에게 폭행당했다며 "발로 가슴을 차고, 주먹으로 얼굴을 때리며, 목을 조르고 가슴이 아프다"는 말을 했다. A 씨는 "팔과 발이 묶여 감옥에 갇힌 듯한 느낌이었다"며 그 당시의 상황을 전했다.

 

사건 당시 병원 복도의 CCTV에는 보호사가 A 씨의 병실에 들어가며 환자들이 몰려드는 장면이 포착됐다. 이후 보호사는 A 씨를 복도로 끌고 나가 집중 관리실로 이동시키며 약 1시간 동안 결박한 것으로 전해졌다. CCTV에는 보호사가 베개로 A 씨를 내리치는 장면도 담겨 있었다. 이 폭행으로 A 씨는 갈비뼈가 골절되었고, 병원 측은 이를 숨기고 A 씨가 연락을 시도할 수 없게 공중전화 카드를 빼앗았다.

 

 

A 씨는 폭행 후 엿새가 지나서야 가족에게 이 사실을 알릴 수 있었다. 그의 딸은 당시 상황을 설명하며 "아버지가 갈비뼈가 아프다고 했지만, 병원에서는 이를 진단해 주지 않았고, 전혀 도움을 받지 못했다"고 분노를 표했다.

 

병원 측은 사건 발생 후 이미 보호사에 대한 징계위원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보호사는 사건이 발생한 후, 사직서를 제출하고 퇴사했으며, 징계가 아니라 개인적인 사정으로 퇴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병원은 A 씨의 갈비뼈 골절 사실을 가족에게 전달하지 않았고, 이를 은폐하려 한 것으로 보인다.

 

병원 원장은 "가해자에 대해선 옹호할 마음이 없다"며 "조그마한 사건이라도 보호자들에게 알리는 것이 원칙인데 이를 인지하지 못한 점에 대해 사과한다"고 전했다.

 

하지만 폭행을 저지른 보호사는 경위서에서 "제압하기 위해서 무릎으로 눌렀을 뿐"이라며 "잘못한 게 없다"고 주장하고 사과를 거부했다. 피해자 A 씨의 딸은 "사과 한 마디 없이 폭행을 가한 보호사를 용서할 수 없다"며 경찰에 폭행죄로 고소했다.

 

이 사건이 알려지자, 네티즌들 사이에서도 큰 충격과 분노가 일었다. 한 네티즌은 "정말 믿기지 않는다. 병원은 책임을 져야 한다"며 "이런 일이 다시는 일어나지 않도록 철저한 조사와 처벌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다른 네티즌은 "병원 측이 폭행을 은폐하려 했다는 게 더 문제다. 환자들이 보호받지 못하는 사회에서 일어나선 안 될 일"이라며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또한, 한 네티즌은 "보호사들이 잘못한 것을 인정하고 사과해야 한다. 고령의 환자를 돌보는 일이 얼마나 힘든 일인지 알지만, 폭행은 정당화될 수 없다"며 보호사의 책임을 강조했다.

 

이번 사건은 보호사가 보호해야 할 환자를 폭행하고, 병원 측이 이를 은폐하려 한 것으로 밝혀지면서 큰 논란을 일으켰다. 피해자의 가족은 법적 대응을 계속 이어나갈 계획이며, 경찰은 폭행과 관련된 증거를 확보하고 조사 중이다. 법적 절차를 통해 사건의 진실이 밝혀지고, 가해자에 대한 적절한 처벌이 내려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휠체어도, 유모차도 OK! 모두를 위한 제주 여행 축제

며, 장애인, 고령자, 임산부, 영유아 동반 가족 등 관광 약자들이 편안하고 자유롭게 제주를 즐길 수 있도록 돕기 위해 기획됐다.관광 약자들의 이동과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과 이벤트가 준비된 이번 페스타는 누구나 차별 없이 여행을 즐길 수 있는 제주를 만들겠다는 목표를 담고 있다. 이를 통해 제주가 모두를 위한 열린 관광지로 한 걸음 더 나아가길 기대하고 있다.행사의 주요 프로그램 중 하나는 4월 11일 오전 10시에 열리는 ‘제주 무장애 올레길 걷기 행사’다. 이 행사는 제주올레 10코스(송악~사계 코스) 구간에서 진행되며, 휠체어 이용자, 시각장애인, 발달장애인 등 다양한 관광 약자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자연과 함께 걷는 이 행사는 참가자들에게 제주 자연의 매력을 만끽할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같은 날 오후 3시에는 제주도립미술관에서 ‘열린 관광 콘서트’가 개최된다. 이 콘서트는 장애 예술인들이 직접 참여해 공연과 작품을 선보이며, 문화적 차별을 해소하고 창작 활동의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번 행사는 장애 예술인들의 재능과 열정을 알리는 자리이자, 관람객들에게 새로운 문화적 경험을 제공하는 시간이 될 것이다.이번 페스타에는 총 128개의 기업과 기관이 참여한다. 104개의 관광기업과 24개의 유관기관이 협력하여 관광 약자들이 제주를 더욱 편리하고 쾌적하게 여행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 활동을 펼칠 예정이다.프로그램으로는 유아 동반 가족을 위한 신화테마파크 체험, 시각장애인을 위한 곶자왈 사운드 워킹 체험, 관광 약자 전체를 대상으로 한 물씬 제주 색채 조향 체험 등이 포함됐다. 이 외에도 각 기관과 기업은 관광 약자들을 위한 다양한 할인 혜택과 서비스를 제공하며, 제주 방문객들의 여행 만족도를 높이는 데 기여할 계획이다.페스타 기간 동안 제공되는 할인 혜택과 프로모션 정보는 제주도 공식 관광 정보 포털인 ‘비짓제주’의 ‘모두를 위한 제주(무장애)’ 전용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관광 약자들은 전용 페이지에서 쿠폰을 다운로드해 사용하면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다.제주관광공사 관계자는 “이번 열린 관광 페스타는 관광 약자를 포함한 모든 사람들이 제주를 더욱 쉽게 즐길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시도”라며 “앞으로도 제주가 모두를 위한 열린 관광지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2025 열린 관광 페스타’는 제주를 찾는 모든 이들에게 평등한 여행의 기회를 제공하며, 제주가 진정한 열린 관광지로 나아가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