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이슈

'티켓 1장에 150만 원까지 치솟았다'... 2025년 '대란' 예고된 뮤지컬

 2025년 공연계가 역대급 라인업으로 관객들의 기대감을 한껏 끌어올리고 있다. CJ ENM이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뮤지컬 대작들을 연이어 선보일 예정이어서 뮤지컬 팬들의 열기가 더욱 뜨거워질 전망이다.

 

첫 테이프를 끊는 작품은 한국 창작 뮤지컬의 자존심으로 불리는 '베르테르'다. 1월 17일부터 3월 16일까지 디큐브 링크아트센터에서 공연되는 이 작품은 25주년을 맞아 더욱 특별한 무대로 돌아온다. 괴테의 명작을 재해석한 이 작품은 세 인물의 복잡한 감정선을 섬세하게 그려내며 한국 뮤지컬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특히 이번 공연에는 실력파 배우 엄기준, 전미도, 이지혜와 함께 새롭게 합류한 양요섭, 김민석, 류인아의 캐스팅으로 화제를 모으고 있다.

 

여름 시즌에는 브로드웨이의 전설로 불리는 '브로드웨이 42번가'가 관객들을 찾아온다. 7월부터 9월까지 샤롯데씨어터에서 진행되는 이 공연은 화려한 탭댄스와 웅장한 음악으로 쇼 뮤지컬의 진수를 보여줄 예정이다. 5000회 이상의 브로드웨이 공연 기록과 9개의 토니상 수상이라는 찬란한 역사를 자랑하는 작품이다.

 


가을에는 지난해 폭발적인 흥행을 기록한 '킹키부츠'가 돌아온다. 10월부터 2026년 3월까지 이어지는 이 공연은 CJ ENM의 글로벌 공동 프로듀싱 첫 작품이라는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 지난 시즌 99.9%라는 경이로운 객석 점유율을 기록하며 그 인기를 입증했다.

 

연말에는 두 편의 대작이 관객들을 찾아온다. 11월부터 시작되는 '물랑루즈!'는 세계적인 팝스타들의 히트곡 70여 곡을 재해석한 매쉬업 뮤지컬로, 화려한 무대와 감동적인 스토리로 관객들을 사로잡을 예정이다. 12월에는 팀 버튼의 상상력이 가득한 '비틀쥬스'가 LG아트센터 서울에서 공연된다. 2021년 세계 최초 라이선스 공연 이후 4년 만의 귀환으로, 환상적인 무대 연출과 독특한 스토리로 관객들의 눈과 귀를 사로잡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라인업은 단순한 공연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한국 뮤지컬 시장의 성장과 글로벌 경쟁력을 보여주는 동시에, 세계적인 작품들을 국내 관객들이 가장 먼저 만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CJ ENM 관계자는 "2025년에도 최고의 작품들로 관객들과 만날 준비를 마쳤다"며 자신감을 내비쳤다.

 

반딧불이와 영화가 만나는 특별한 무주산골영화제

무료로 영화를 즐길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된다. 무주등나무운동장 일대에서 열리는 이번 영화제는 실내상영관과 야외상영장 등 7개의 상영장에서 18개국에서 온 86편의 다양한 영화를 상영하며, 6월 8일까지 진행된다. 특히 이번 영화제는 격식을 차릴 필요 없이 관객들이 자유롭게 영화를 보고, 중간에 나가도 되는 편안한 분위기에서 진행된다.무주산골영화제의 개막작으로 선정된 작품은 1928년작 빅토르 쇠스트롬의 <바람>이다. 이 무성영화는 한 여성의 정서적 고립과 심리적인 고통을 자연과의 충돌을 통해 시적으로 표현한 작품으로, 무성영화 시대를 대표하는 걸작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 영화는 무주산골영화제를 대표하는 시작점이 될 뿐만 아니라, 관객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길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이번 영화제에는 특별 프로그램도 다채롭게 마련되어 있다. 특히 ‘넥스트 액터’로 선정된 최현욱 배우와의 만남이 예정되어 있으며, 관객들은 현장에서 이 배우를 직접 만나고 그의 작품에 대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다. 더불어 올해 신설된 <넥스트 시네아스트 박세영>과 <디렉터즈 포커스 엄태화> 프로그램도 주목을 받고 있다. 이는 새로운 감독들과 영화제작자들의 작품을 조명하는 기회가 될 것이다.무주산골영화제 기간 동안에는 영화와 함께 자연을 체험할 수 있는 특별한 프로그램인 ‘운문산반딧불이 신비탐사’도 진행된다. 이 프로그램은 관람객들에게 반딧불이가 서식하는 자연 환경에서 반딧불이의 빛을 관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매년 5월 말부터 6월 초까지, 그리고 8월 말부터 9월 초까지 진행되는 이 프로그램은 기후변화에 따른 반딧불이 출현 시기를 반영해 올해에는 총 12회에 걸쳐 운영된다. 지난해에는 무주 전역에서 31곳의 반딧불이 서식지가 확인되었으며, 그 중 3곳에서는 100마리 이상의 반딧불이가 관찰되었다.무주산골영화제는 청정 자연 환경에서 영화를 관람하는 독특한 매력으로 관객들에게 인기를 끌고 있다. 지난해에는 영화제를 찾은 관객 수가 무주군의 전체 인구(2만3천여명)보다 1.5배 많은 3만5천여 명에 달했다. 이런 높은 방문객 수는 영화제가 지역 경제와 관광 산업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를 받았다. 다만, 올해 영화제는 8년간 지원받아 온 국비가 끊기면서 개최 기간이 이틀 축소돼 사흘간만 열리게 되었다. 하지만 축소된 일정 속에서도 여전히 많은 관객들이 영화제에 참여할 것으로 예상된다.이번 제13회 무주산골영화제는 자연 속에서 편안하게 영화를 관람하고, 새로운 영화적 경험을 제공하는 자리로, 무주를 찾는 많은 사람들에게 또 다른 의미 있는 시간을 선사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