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큐브

"일본·대만 다 제쳤다"...한국인이 베트남 관광시장 장악

 베트남이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아시아 관광 강국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베트남 통계청(GSO)이 발표한 최신 데이터에 따르면, 2023년 베트남을 방문한 외국인 관광객 수가 1,760만 명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39.5%라는 폭발적인 증가세를 보였다. 이는 코로나19 대유행 이전인 2019년의 1,800만 명에 근접한 수치로, 회복률이 97.6%에 달한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한국인 관광객이 457만 명으로 전체 방문객 중 최다를 기록했다는 것이다. 이는 전년 대비 27% 증가한 수치다. 더욱 놀라운 것은 중국인 관광객의 폭발적인 증가세로, 전년 대비 114%나 급증한 374만 명을 기록했다. 이어서 대만(129만 명), 미국(78만 명), 일본(71만 명) 순으로 방문객이 많았다.

 


이러한 급격한 관광객 증가의 배경에는 베트남 정부의 전략적인 관광 정책이 있다. 관광객 친화적인 비자 정책을 도입하고 다양한 관광 프로그램을 강화하는 등 적극적인 관광 진흥 정책을 펼친 결과다. 특히 한국과 중국 관광객을 겨냥한 맞춤형 관광 상품 개발이 주효했던 것으로 분석된다.

 

베트남 관광업계는 2024년에는 더욱 공격적인 목표를 설정했다. 외국인 관광객 2,200만 명, 국내 관광객 1억2천만~1억3천만 명 유치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통해 980조 동(약 56조 원)의 관광 수입을 달성하여 GDP의 6%를 차지하는 핵심 산업으로 성장시킨다는 계획이다.

 

더불어 일자리 창출에도 큰 기여를 할 것으로 전망된다. 관광업 직접 고용 180만 개를 포함해 총 550만 개의 직간접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베트남의 실업률 감소와 경제 성장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밸런타인데이 '커플 여행', 실패하지 않는 방법은?

주대학교 심리학과 김경일 교수와 함께 진행한 연구에 따르면, 성공적인 커플 여행을 위해서는 세 가지 핵심 원칙을 지켜야 한다.최근 설문조사 결과, 한국인들의 여행 계획 수립 과정에서 가장 큰 스트레스 요인으로 '조기 예약에 대한 부담감(27%)', '과다한 선택지(21%)', '우유부단한 결정(15%)'이 지목됐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응답자의 43%가 '비용'을 가장 큰 걱정거리로 꼽았다는 것이다.전문가들이 제시하는 첫 번째 원칙은 '하고 싶은 것'만큼 '하기 싫은 것'도 명확히 공유하라는 것이다. 이는 여행 중 발생할 수 있는 갈등을 미연에 방지하고, 계획 변경 시의 스트레스를 최소화하는 데 결정적인 도움이 된다.두 번째 원칙인 '우리만의 여행 시나리오 만들기'는 과다한 선택지로 인한 결정 장애를 해소하는 데 효과적이다. 단순히 가고 싶은 장소나 하고 싶은 활동을 나열하는 대신, 전체적인 스토리라인을 구상함으로써 더욱 조화로운 여행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마지막 원칙은 '원하는 바를 명확히 표현하기'다. 심리학적 연구에 따르면, 생각으로만 머무는 것보다 말이나 글로 표현할 때 실행 가능성이 크게 높아진다고 한다.이와 함께 스카이스캐너는 2025년 항공권 가격을 분석해 가성비 높은 커플 여행지도 추천했다. 일본 기타큐슈는 1시간 30분이라는 짧은 비행 시간과 고즈넉한 분위기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가와치 후지엔의 등나무 정원은 CNN이 선정한 일본의 최고 명소 중 하나로, 4-5월이면 보랏빛 등나무꽃이 로맨틱한 풍경을 선사한다.대만 가오슝은 '사랑의 강'이라 불리는 아이허 운하와 리우허 야시장의 다채로운 먹거리로 커플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말레이시아 코타키나발루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석양과 함께 즐기는 보트 투어, 산호초 호핑 투어, 환상적인 반딧불 투어 등 다양한 로맨틱 액티비티를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