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꽃다발 중고로 삽니다"...가성비 시대가 바꾼 '졸업식 풍경'

 "6만원짜리 꽃다발인데 2만 5천원에 팔아요. 30분도 안 됐고 상태 좋아요!" 최근 중고거래 플랫폼과 맘카페에서 심심찮게 볼 수 있는 게시글이다. 졸업 시즌을 맞아 고가의 꽃다발을 잠시 사용한 뒤 되파는 '중고 꽃다발' 거래가 성행하고 있다.

 

초등학생 자녀의 졸업식에 참석했던 임모씨(43)는 "6~7만원씩 하는 꽃다발을 잠깐 들고 사진 찍고 버리기엔 너무 아까웠다"며 "고물가 시대에 일회성 지출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해 중고거래에 올렸더니 10분 만에 팔렸다"고 전했다. 실제로 그의 게시글에는 4명이나 되는 구매 희망자가 몰렸다고 한다.

 

이러한 현상의 배경에는 가파른 꽃값 상승이 자리 잡고 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화훼유통정보에 따르면, 대표적인 꽃다발용 꽃인 거베라의 1월 평균 가격이 1만943원으로 전년 대비 무려 58.8%나 뛰었다. 장미는 1만6125원으로 43.1%, 프리지아는 4732원으로 41.6% 상승했다.

 

한국화훼협회는 "화훼 농가 면적 감소와 더불어 올해 가을 기후 영향으로 중국 하이난, 광저우 등지에서의 수입량이 급감했다"며 "국내 출하량과 수입량이 동시에 줄어들며 가격 상승으로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중고 꽃다발을 구매했다는 직장인 윤모씨(31)는 "비싼 돈 주고 사도 금방 시들어 처치 곤란한 꽃다발보다는, 그 돈으로 차라리 용돈을 더 주는 게 낫다고 생각했다"며 실용적인 소비를 강조했다.

 

반면 꽃집 상인들의 시름은 깊어지고 있다. 서울 마포구의 한 꽃집 운영자 강모씨(53)는 "올해 초등학교 졸업식 특수가 예년의 절반 수준에 그쳤다"며 "이 정도로는 인건비도 건지기 힘들다"고 토로했다. 용산구의 다른 꽃집 주인 한모씨도 "4만원대로 가격을 낮춰도 비싸다는 반응"이라며 한숨을 내쉬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현상이 단순한 일회성 이벤트가 아닌, 고물가 시대의 새로운 소비 트렌드로 자리잡을 수 있다고 분석한다. 특히 MZ세대를 중심으로 '가치소비'와 '실용적 소비'가 강조되면서, 전통적인 화훼 시장은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게 됐다는 것이다.

 

'빵 러버'들 모여라! 4월, 한강 달리며 빵빵한 행복 채우세요

원에서 돌아온다. 2021년 첫 선을 보이며 큰 사랑을 받았던 빵빵런은 올해 더욱 풍성하고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참가자들을 맞이할 예정이다. 이번 빵빵런은 초보 러너도 부담없이 도전할 수 있는 5km 코스, 가볍게 한강의 정취를 만끽하며 즐길 수 있는 10km 코스, 새롭게 추가된 하프 코스까지 총 3가지 코스를 마련했다. 모든 코스는 잠실대교를 지나며 아름다운 한강 풍경을 감상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지난해 큰 인기를 끌었던 '빵빵룩 어워즈'는 올해 '베스트 빵빵드레서'라는 이름으로 더욱 업그레이드 되었다. 나만의 개성이 담긴 빵빵한 코스튬을 장착하고 '베스트 빵빵드레서'를 노려보자. 참가자들은 코스 완주 후 '노티드', '나폴레옹 과자점', '빵부장마늘빵' 등 인기 빵집의 빵을 맛보며 달콤한 휴식을 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주삼다수, 링티제로, 이클립스 쿨링 소프트 캔디 등 특별 기념품도 준비되어 있다. 이번 빵빵런은 단순한 마라톤 대회를 넘어 참가자들이 함께 즐길 수 있는 다채로운 부대행사도 마련했다. 완주를 인증할 수 있는 포토존, 편의를 위한 물품보관소,  다양한 이벤트가 진행되는 이벤트 부스 등이 운영될 예정이다. 하프코스 참가자들을 위한 '빵빵 페이스 메이커'도 준비되어 있어 든든하게 완주를 지원한다. 특히 빵빵런은 참가자 1인당 1개의 빵을 국내 소외계층 아동에게 기부하는 캠페인을 통해 나눔의 가치를 실현하고 있다. 현재까지 총 2만 1천 개의 빵을 기부하며 따뜻한 마음을 전달했다.참가 신청은 공식 홈페이지에서 선착순으로 진행된다. 자세한 내용은 공식 SNS 또는 홈페이지를 확인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