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이슈

팬티 차림의 시민들이 몰려온다... 英 지하철서 벌어진 '충격의 15분'

 한겨울 런던의 지하철에서 특별한 광경이 펼쳐졌다. 두꺼운 코트와 목도리로 중무장한 시민들 사이로 하의만 속옷 차림인 승객들이 등장한 것이다. 이는 '노 트라우저 튜브 라이드(No Trousers Tube Ride)'라는 이색 행사의 일환으로, 지난 12일 런던 도심에서 진행됐다.

 

이 특별한 퍼포먼스의 시작은 2002년 뉴욕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코미디언 찰리 토드가 단 7명의 참가자와 함께 시작한 작은 실험이 이제는 전 세계 주요 도시의 연례 행사로 자리 잡았다. 특히 런던에서는 2009년부터 매년 정기적으로 개최되며, 도시의 독특한 문화 행사로 자리매김했다.

 

이번 행사는 런던의 중심가인 소호 차이나타운에서 시작됐다. 오후 2시 45분, 수십 명의 참가자들이 모였다. 이들의 차림새는 독특했다. 정장 상의와 넥타이, 코트는 완벽했지만, 하의는 알록달록한 속옷이나 수영복뿐이었다. 웨스트민스터, 워털루, 사우스 켄싱턴 등 런던의 주요 지하철역을 돌며 이들은 마치 평소처럼 책을 읽거나 음악을 들었다.

 


행사를 이끈 데이브 셀커크(40)는 "우리는 그저 즐거움을 위해 이 행사를 한다"며 "세상에는 이미 충분히 많은 걱정거리가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눈길을 끈 것은 참가자들의 다양한 면면이다. 40년 경력의 변호사 바질 롱은 "에베레스트 등반처럼 '왜 하냐'는 질문 자체가 무의미하다"며 분홍색 속옷 차림으로 참가해 화제를 모았다.

 

여성 참가자들의 목소리도 주목할 만하다. 셰프 미리엄 코레아(43)는 이 행사를 통해 신체 긍정주의 메시지를 전하고자 했다. "마른 체형 위주였던 참가자 구성을 바꾸고 싶었다"는 그의 말은 이 행사가 단순한 해프닝을 넘어 사회적 메시지도 담고 있음을 보여준다.

 

하지만 이 행사를 둘러싼 논란도 만만치 않다. SNS에서는 '공공장소에서의 부적절한 행위'라는 비판부터 '해변의 수영복 차림과 다를 바 없다'는 옹호까지 의견이 분분하다. 창시자 찰리 토드는 "이는 순수하게 재미를 위한 것이며, 다른 이들에게 웃음을 선사하는 것이 유일한 목적"이라며 행사의 본질을 강조했다.

 

휠체어도, 유모차도 OK! 모두를 위한 제주 여행 축제

며, 장애인, 고령자, 임산부, 영유아 동반 가족 등 관광 약자들이 편안하고 자유롭게 제주를 즐길 수 있도록 돕기 위해 기획됐다.관광 약자들의 이동과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과 이벤트가 준비된 이번 페스타는 누구나 차별 없이 여행을 즐길 수 있는 제주를 만들겠다는 목표를 담고 있다. 이를 통해 제주가 모두를 위한 열린 관광지로 한 걸음 더 나아가길 기대하고 있다.행사의 주요 프로그램 중 하나는 4월 11일 오전 10시에 열리는 ‘제주 무장애 올레길 걷기 행사’다. 이 행사는 제주올레 10코스(송악~사계 코스) 구간에서 진행되며, 휠체어 이용자, 시각장애인, 발달장애인 등 다양한 관광 약자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자연과 함께 걷는 이 행사는 참가자들에게 제주 자연의 매력을 만끽할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같은 날 오후 3시에는 제주도립미술관에서 ‘열린 관광 콘서트’가 개최된다. 이 콘서트는 장애 예술인들이 직접 참여해 공연과 작품을 선보이며, 문화적 차별을 해소하고 창작 활동의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번 행사는 장애 예술인들의 재능과 열정을 알리는 자리이자, 관람객들에게 새로운 문화적 경험을 제공하는 시간이 될 것이다.이번 페스타에는 총 128개의 기업과 기관이 참여한다. 104개의 관광기업과 24개의 유관기관이 협력하여 관광 약자들이 제주를 더욱 편리하고 쾌적하게 여행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 활동을 펼칠 예정이다.프로그램으로는 유아 동반 가족을 위한 신화테마파크 체험, 시각장애인을 위한 곶자왈 사운드 워킹 체험, 관광 약자 전체를 대상으로 한 물씬 제주 색채 조향 체험 등이 포함됐다. 이 외에도 각 기관과 기업은 관광 약자들을 위한 다양한 할인 혜택과 서비스를 제공하며, 제주 방문객들의 여행 만족도를 높이는 데 기여할 계획이다.페스타 기간 동안 제공되는 할인 혜택과 프로모션 정보는 제주도 공식 관광 정보 포털인 ‘비짓제주’의 ‘모두를 위한 제주(무장애)’ 전용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관광 약자들은 전용 페이지에서 쿠폰을 다운로드해 사용하면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다.제주관광공사 관계자는 “이번 열린 관광 페스타는 관광 약자를 포함한 모든 사람들이 제주를 더욱 쉽게 즐길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시도”라며 “앞으로도 제주가 모두를 위한 열린 관광지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2025 열린 관광 페스타’는 제주를 찾는 모든 이들에게 평등한 여행의 기회를 제공하며, 제주가 진정한 열린 관광지로 나아가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