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이슈

저커버그, ‘아이폰은 이제 끝났다’ 선언.."20년간 혁신 없어"

2021년부터 애플과의 갈등이 지속되고 있는 마크 저커버그 메타 플랫폼스 CEO가 최근 애플의 아이폰을 비판하며 혁신 부족과 폐쇄적인 제품 생태계를 지적했다. 저커버그는 11일(현지시간) 미국 팟캐스트 '조 로건 익스피리언스'에 출연해, 애플의 스마트폰인 아이폰이 "그동안 괜찮았지만" 20년 간 혁신이 없다고 주장했다.

 

저커버그는 아이폰을 칭찬한 뒤, 애플이 아이폰을 발명한 이후 "20년 동안 안주한 것 같다"고 언급하며, "애플은 굉장한 것을 발명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특히 그는 애플의 폐쇄적인 규칙이 플랫폼을 제한하고, 개발자들에게 높은 수수료를 부과한다고 지적했다. "애플은 기본적으로 사람들을 쥐어짜고, 개발자들에게 30%의 수수료를 부과하며 주변 장치 구매를 유도한다"고 비난했다. 또한, 그는 애플이 에어팟 같은 멋진 제품을 만들지만, 다른 회사들이 아이폰과 연결할 수 없도록 철저히 방해한다고 주장했다.

 

저커버그의 비판은 단순한 제품의 한계를 넘어서, 애플의 전반적인 기업 운영 방식에 대한 불만을 나타낸 것이다. 특히, 인스타그램과 메타, 왓츠앱 등 다양한 소셜미디어 앱을 보유한 메타는 애플과 갈등을 겪어왔다. 2021년, 애플은 개인정보 보호 강화를 위해 인스타그램 등 외부 앱이 아이폰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수집하지 못하도록 차단했다. 이로 인해 메타의 광고 영업에 큰 타격을 입었고, 저커버그는 "애플이 임의적인 규칙을 그만둔다면 메타의 매출이 두 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커버그는 또 애플이 지난해 6월 자사의 AI 모델인 '라마(Llama)'를 아이폰에 탑재하자는 제안을 거절했다고 전했다. 애플은 지난해 12월 다른 기업들이 유럽연합(EU)의 디지털시장법을 들어 애플 기술에 대한 접근을 요청했으며, 메타가 가장 많이 요청한 기업으로 언급되었다.

 

그는 이어 애플의 혼합현실(MR) 헤드셋인 '비전 프로'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메타의 자회사 오큘러스를 통해 VR 헤드셋을 판매 중인 저커버그는 "비전 프로는 최근 애플이 시도한 가장 도전적인 제품 중 하나"라며 "그러나 첫 번째 버전은 큰 성공을 거두지 못한 것 같다"고 평가했다. 그는 "영화를 볼 때 정말 좋다고 들었지만, 첫 번째 버전에서 큰 성공을 거둔 것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애플은 저커버그의 비난에 대해 즉각적인 논평을 하지 않았다. 저커버그의 발언은 애플의 제품 혁신과 기업 전략에 대한 비판을 넘어서, 두 기업 간의 지속적인 경쟁 관계를 더욱 부각시키고 있다. 최근 애플은 스마트폰 판매 부진과 현지 업체들의 추격에 고전하고 있으며, 메타는 VR 및 MR 시장에서의 경쟁을 강화하는 가운데 갈등은 더욱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외신들은 저커버그의 비판에 대해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미국 경제매체 '블룸버그'는 저커버그의 발언이 단순한 불만을 넘어, 애플의 미래 전략에 대한 실질적인 문제 제기를 포함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블룸버그는 애플이 "아이폰 혁신 부족"과 "폐쇄적인 생태계"를 비판받고 있지만, 여전히 시장에서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 매체는 애플의 과거 혁신이 그들의 성공을 이끌었으나, 최근 몇 년간 큰 변화가 없는 상황에서 소비자들이 더 이상 새로운 가치를 찾지 못하고 있다는 시각을 공유했다.

 

영국의 '더 가디언'은 저커버그의 비판을 "아이폰의 경쟁자가 하는 소리"로 해석하며, 메타와 애플 간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한, '뉴욕타임즈'는 애플이 여전히 모바일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지만, 최근 소비자들의 아이폰에 대한 관심이 다소 감소하고 있다는 점을 짚었다. 뉴욕타임즈는 저커버그가 애플의 '전략적 한계'를 지적하며, 메타가 미래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가능성에 대해 언급했다.

 

한편, 중국의 'SCMP'는 애플의 아이폰 판매 부진에 대해 중국 내 경쟁 업체들의 성장이 큰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하며, 저커버그의 비판이 애플의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에 추가적인 압박을 가할 가능성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 이 매체는 애플이 중국 시장에서의 추격을 피하기 위해 혁신적인 제품과 기능을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커버그의 발언은 두 거대 기업 간의 경쟁이 심화되고 있음을 보여주며, 향후 아이폰과 메타의 관련 제품들 사이에서 혁신적인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42만 명 홀린 고흥 드론 쇼, 이번엔 불꽃까지 더했다!

드론이 고흥의 3대 발전 전략과 3대 교통 인프라를 주제로 밤하늘을 장식하며 관람객들에게 놀라운 볼거리를 제공할 예정이다.특히, 200대의 드론에 불꽃을 부착해 더욱 화려하고 다채로운 연출을 선보이며 관람객의 시선을 사로잡을 준비를 마쳤다. 드론 쇼가 펼쳐지는 녹동항 바다정원 주변에서는 고흥의 대표 음식인 장어구이와 장어탕을 비롯한 계절 음식을 맛볼 수 있는 포장마차와 간단한 간식을 즐길 수 있는 푸드트럭이 운영된다.녹동항 드론 쇼는 오는 10월까지 매주 토요일 녹동항 바다정원에서 개최되며, 매월 마지막 주 금요일에는 고흥군청 앞 군민 광장에서도 진행될 예정이다. 고흥군은 이를 통해 지역 주민뿐 아니라 관광객들에게도 특별한 야간 관광 경험을 제공할 계획이다.2023년에 처음 시작된 ‘녹동항 드론 쇼’는 2년 동안 총 52회 개최되며 약 42만 명의 관람객을 불러모았다. 고흥군은 이를 통해 약 350억 원의 경제적 성과를 거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 드론 쇼는 고흥군의 관광 활성화와 지역 경제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이제는 전국적으로도 주목받는 대표 야간 관광 콘텐츠로 자리매김했다.공영민 고흥군수는 “녹동항 드론 쇼는 고흥군의 관광 히트 상품으로써 많은 관광객이 고흥을 찾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며 “더 특별하고 풍성한 구성으로 드론 쇼를 발전시켜 고흥의 매력을 알리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녹동항 드론 쇼는 단순한 야간 볼거리를 넘어 지역의 문화와 발전 전략을 담은 독창적인 콘텐츠로 자리 잡았다. 이번 개막식은 2,025대의 드론이 펼치는 대규모 공연과 함께 고흥군의 비전을 담아내어 관람객들에게 잊지 못할 경험을 선사할 전망이다.관람객들은 드론 쇼와 함께 고흥의 맛과 멋을 즐길 수 있는 다양한 먹거리와 휴식 공간을 만끽할 수 있다. 또한, 매주 정기적으로 열리는 드론 쇼는 고흥군을 찾는 관광객들에게 꾸준히 특별한 경험을 제공하며,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녹동항 드론 쇼는 고흥군의 새로운 관광 트렌드를 이끌며, 지역 주민과 관광객 모두에게 특별한 시간을 선사할 예정이다. 이번 개막식을 시작으로, 고흥의 밤하늘은 더욱 화려하고 특별한 빛으로 물들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