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이슈

'71년 전 부산'의 숨겨진 진실… 사진으로 밝혀지다!

 71년 전 겨울의 부산이 한 장의 사진 속에서 되살아났다. 서울 원서동 예화랑 창덕궁점에서 열리고 있는 '임응식: 아르스 포토그라피카' 전시회는 한국 현대 다큐멘터리 사진의 거장 임응식 작가(1912~2001)의 작품들을 통해 우리나라의 격동기를 생생하게 보여준다.

 

2층 전시장에 들어서면 가장 먼저 마주하게 되는 작품은 1954년 촬영된 '부산세관'이다. 르네상스식 첨탑이 우아하게 솟은 적벽돌 건물인 부산세관을 중심으로, 당시의 삶이 생생하게 담겨있다. 진흙탕 도로를 달리는 지프차와 고물 트럭, 추위를 피하려 머플러를 동여맨 채 발걸음을 재촉하는 여인, 나무지게에 가마니를 가득 실은 짐꾼의 모습은 전후 한국 사회의 현실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임응식 작가는 일제강점기 우편국 직원으로 일하며 사진을 배우기 시작했다. 해방과 한국전쟁이라는 격변기를 거치며, 그는 카메라에 담긴 8만여 장의 사진들을 통해 시대의 기록자가 되었다. 후에 대학에서 사진과 교수로 재직하면서도 그의 렌즈는 멈추지 않았고, '삶 속에 일어난 모든 현상을 표현해야 한다'는 생활주의 사진의 철학을 실천했다.

 


이번 전시회의 백미는 1940~60년대 초창기 작품들이다. 특히 2층 전시장에서는 확대된 판형(76.2㎝×101.6㎝)으로 선보이는 대표작들을 만날 수 있다. 1946년 작품 '아침'은 꽃을 이고 가는 댕기머리 소녀들의 모습을 통해 전쟁의 상처 속에서도 피어나는 희망을 담아냈다. 1954년 부산 광복동을 배경으로 한 '신문 읽는 남자'는 일상으로 돌아가려는 사람들의 모습을, 1950년 작 '초연 속의 성당'은 폭격으로 파괴된 인천 성당 종탑을 통해 전쟁의 참상을 증언하고 있다.

 

임응식 작가의 사진들은 단순한 기록을 넘어 예술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그의 렌즈는 전쟁과 가난이라는 어두운 시대 속에서도 꿋꿋이 살아가는 사람들의 모습을 포착했고, 그 순간들은 지금까지도 우리에게 깊은 울림을 준다. 특히 부산을 배경으로 한 연작들은 피난지였던 도시의 역동적인 모습과 그 속에서 희망을 잃지 않았던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이번 전시는 한국 현대사의 중요한 순간들을 예술적으로 승화시킨 거장의 시선을 만날 수 있는 소중한 기회다. 24일까지 계속되는 이번 전시를 통해 우리는 과거를 돌아보고, 현재를 성찰하며, 미래를 그려볼 수 있을 것이다.

 

몽골 여행객 '392%' 폭증! 한국인들, 왜 몽골에 열광하나?

운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교원투어가 발표한 최신 데이터에 따르면, 몽골 여행객 수는 무비자 입국이 시작된 2022년을 기점으로 폭발적인 증가세를 보였다. 특히 2023년에는 전년 대비 392%라는 경이로운 성장률을 기록했으며, 이어진 2024년에도 73.2%의 높은 성장세를 유지했다. 이러한 급성장의 배경에는 몽골 정부의 전략적인 관광 정책이 있다.더욱 고무적인 소식은 몽골 정부가 한국인 대상 무비자 입국 허가 조치를 2024년 말까지 추가 연장했다는 점이다. 이는 당초 2023년 12월 종료 예정이었으나, 한국 관광객들의 뜨거운 반응에 힘입어 정책을 지속하기로 결정했다.여행업계는 이러한 기회를 놓치지 않고 차별화된 상품을 선보이고 있다. 특히 여행이지는 업계 최초로 몽골 북부의 숨겨진 보석, 홉스골 호수 관광 상품을 출시해 주목받고 있다. 세계적으로 손꼽히는 청정 호수인 홉스골에서는 보트 투어를 통해 몽골의 장엄한 자연을 만끽할 수 있다.이 상품의 특별한 점은 순록 유목민인 차탕족의 일상을 직접 체험할 수 있다는 것이다. 현대화의 물결 속에서도 전통적인 유목 생활을 이어가는 이들의 삶은 여행객들에게 특별한 경험을 선사한다. 또한 람사르습지로 지정된 어기 호수와 몽골 제2의 도시 에르데네트 방문도 포함되어 있다.테를지 국립공원에서는 한층 더 다채로운 체험이 기다린다. 광활한 초원을 말과 함께 달리는 승마 트레킹, 전통 게르에서의 유목민 생활 체험, 그리고 도시의 빛공해 없이 쏟아지는 별들을 관측하는 프로그램까지, 몽골의 모든 것을 담아냈다.상품의 또 다른 강점은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직항 노선을 이용한다는 점이다. 6인 한정 소규모 출발로 프라이빗한 여행이 가능하며, 팁과 옵션 상품, 쇼핑 강요가 전혀 없는 순수 여행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다.여행업계 관계자들은 이러한 트렌드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무비자 정책 연장으로 인해 2024년에도 몽골 여행 시장은 더욱 성장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차별화된 상품 개발을 통해 고객들에게 새로운 가치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