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이슈

'천국의 섬' 발리, 쓰레기 지옥에 신음

 에메랄드빛 바다와 때묻지 않은 자연으로 "천국의 섬"이라 불리는 인도네시아 발리가 쓰레기 문제로 몸살을 앓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관광객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아름다운 해변은 플라스틱 쓰레기로 뒤덮이고 있으며, "쓰레기 비상사태"라는 말이 과언이 아닐 정도로 심각한 환경 오염 문제에 직면했다.

 

발리의 쓰레기 발생량은 연간 160만 톤에 달하며, 이 중 30만 톤이 플라스틱 쓰레기다. 특히 관광객이 버리는 쓰레기는 주민의 3배가 넘는 수준이다.

 

문제는 이렇게 발생한 쓰레기의 상당수가 제대로 처리되지 못하고 방치되거나 불법 투기되면서 심각한 환경 오염을 야기한다는 점이다.

 

매년 3만 3천 톤의 플라스틱 쓰레기가 바다로 유입되면서 해양 생태계를 위협하고 있다. 해양 생물들이 플라스틱을 먹이로 오인하여 질식하거나, 플라스틱으로 인해 서식지가 파괴되는 등 심각한 피해를 입고 있다.

 

아름다운 발리 해변은 더 이상 '천국'이 아니다. 거센 파도와 함께 밀려오는 엄청난 양의 쓰레기는 관광객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있으며, 발리의 이미지를 실추시키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방치된 쓰레기는 악취를 유발하고, 파리와 모기 등 해충의 번식처가 되어 각종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 이는 관광객뿐만 아니라 지역 주민들의 건강까지 위협하는 심각한 문제다.

 


이에 대해 인도네시아 정부는 외국인 관광객에게 1인당 15만 루피아(약 1만3410원)의 관광세를 부과하고 있지만,  징수된 세금이 쓰레기 처리 시스템 개선에 효과적으로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발리 관광청은 관광객 수를 제한하고, 신규 호텔과 리조트 건설을 규제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발리 주 정부 역시 중앙 정부에 2년간 관광 시설 건설 허가 중단을 요구한 상황이다.

 

하지만 단순히 관광객 수를 제한하는 것만으로는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다. 발리가 지속 가능한 관광지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다층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쓰레기 수거 시스템을 개선하고, 분리수거를 의무화하여 재활용률을 높여야 한다. 또한,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기 위한 정책적인 노력도 병행되어야 한다.

 

쓰레기 문제의 심각성을 알리고, 책임감 있는 여행 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한 캠페인과 교육이 필요하다.

 

쓰레기 문제 해결을 위한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고,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해야 한다.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고, 재활용 가능한 자원을 활용하는 등 친환경적인 관광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

 

발리의 아름다운 자연은 발리 주민들만의 것이 아닌, 전 세계가 함께 지켜야 할 소중한 자산이다. 

 

"천국의 섬" 발리가 쓰레기 지옥이 아닌 지속 가능한 관광의 모범 사례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관광객, 지역 주민, 정부 모두의 적극적인 노력과 협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미국 도시 ‘필라델피아’ 이름, 사실 튀르키예의 이 포도밭에서 시작됐다

를 확립한 니케아 공의회 1700주년을 기념하는 의미를 담고 있어 역사적 상징성이 크다. 과거 미국에서 사목할 당시 가톨릭교회가 원주민에게 저지른 죄악에 대한 사죄의 뜻을 밝히기도 했던 교황이 ‘종교 간 대화’를 주제로 어떤 화합의 메시지를 내놓을지 주목되는 가운데, 이번 순방은 기독교 역사의 뿌리가 서린 튀르키예와 역대 교황들이 의미 있는 족적을 남긴 한국의 성지들을 다시금 조명하는 계기가 되고 있다.튀르키예는 이슬람 국가임에도 불구하고 기독교 초기 역사의 가장 중요한 순간들을 고스란히 품고 있는 땅이다. 그 중심에는 동로마제국의 수도 콘스탄티노플 시절 1100년간 기독교 세계의 심장이었던 이스탄불의 성소피아 성당이 있다. 비록 지금은 모스크로 사용되지만, 천장의 성모 마리아 모자이크와 복원 중인 예수의 벽화는 종교를 넘어선 공존의 역사를 보여준다. 또한, 이스탄불을 벗어나면 사도 요한이 성모 마리아를 모시고 와 여생을 보냈다고 전해지는 에페수스가 순례자들을 맞이한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이곳에는 성모 마리아가 살았던 집터와 그의 무덤 위에 세워진 교회가 남아있어 성경 속 이야기를 생생하게 체험하게 한다.튀르키예 서부 지역은 요한계시록에 기록된 ‘소아시아 7대 교회’의 흔적을 따라가는 성지 순례의 핵심 코스다. 알렉산드리아 도서관과 쌍벽을 이뤘던 도서관이 있던 페르가몬(베르가마), 염색업으로 부유했던 산업 도시 두아디라(아키사르), 체육관 유적이 인상적인 사르디스, 그리고 포도 재배지로 유명해 훗날 미국 도시 필라델피아의 어원이 된 빌라델비아까지, 각 지역은 저마다의 특색을 간직한 채 수천 년의 시간을 증언하고 있다. 특히 파묵칼레의 석회붕과 온천으로 유명한 히에라폴리스 인근에 자리한 라오디게아 교회는 아름다운 자연과 성지가 어우러진 경이로운 풍경을 선사하며, 박해를 피해 신자들이 숨어 지냈던 아야지니 석굴 성당 등은 험난했던 초기 기독교의 역사를 되새기게 한다.역대 교황들의 방문으로 한국 역시 세계 가톨릭 신자들에게 의미 깊은 성지로 자리매김했다. 1984년 요한 바오로 2세는 서울 혜화동 가톨릭대학성당에서 미사를 집전하고 여의도에서 103위 시성식을 주재하며 한국 천주교회의 위상을 높였다. 2014년에는 프란치스코 전임 교황이 광화문 시복식과 함께 한국 최초의 사제 김대건 신부의 생가가 있는 당진 솔뫼성지를 찾았다. ‘한국의 베들레헴’이라 불리는 솔뫼성지는 4대에 걸친 순교자의 흔적이 서려 있으며, 소나무 숲 사이로 난 ‘십자가의 길’은 순례자들에게 깊은 묵상의 시간을 제공한다. 또한, 수많은 순교자들의 행적을 기록으로 남긴 다블뤼 주교의 거처였던 신리성지는 드넓은 들판에 우뚝 솟아 이국적인 정취를 자아내며 한국 천주교의 살아있는 역사를 증언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