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큐브

'홈 텃세' 경계령, 쇼트트랙 금빛 질주 막을쏘냐

 중국 하얼빈에서 막을 올리는 2025 동계 아시안게임을 앞두고 한국 선수단에 '홈 텃세' 경계령이 떨어졌다. 특히 쇼트트랙은 역대 아시안게임에서 한국 선수단의 '효자 종목' 노릇을 톡톡히 해 온 만큼, 중국의 텃세 속에서도 흔들림 없이 금빛 질주를 이어갈 수 있을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한국 쇼트트랙은 자타공인 세계 최강이다. 역대 동계 아시안게임에서 무려 34개의 금메달을 포함, 총 96개의 메달을 목에 걸며 아시아 쇼트트랙 최강국의 자리를 굳건히 지켜왔다. 

 

중국(금메달 29개, 총 67개)과의 격차도 상당하다. 올 시즌 국제빙상경기연맹(ISU) 월드컵 시리즈에서도 한국은 금메달 5개, 은메달 11개, 동메달 8개를 획득하며 아시아 국가 중 최다 메달을 기록, 중국(금 4, 은 2, 동 4)을 압도하며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하지만 2년 전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에서 겪었던 편파 판정 논란은 여전히 한국 선수단에게는 불안 요소로 남아있다. 당시 한국은 이해할 수 없는 이유로 실격 판정을 받으며 금메달을 놓치는 등 고배를 마셨다. 

 


반면 개최국 중국은 '황제' 빅토르 안(한국명 안현수) 기술코치까지 영입하며 '판정 홈 이점'까지 등에 업고 금메달을 획득하며 논란의 중심에 섰다.

 

더욱이 이번 대회 쇼트트랙 심판장 역시 중국 빙상계에 우호적인 인물로 알려져 우려를 더하고 있다. 어느 종목보다 심판의 재량권이 크게 작용하는 쇼트트랙 특성상 심판진의 성향은 경기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하지만 한국 선수들은 흔들리지 않고 오직 실력으로 중국의 텃세를 극복하겠다는 의지를 불태우고 있다. 윤재명 쇼트트랙 대표팀 감독은 "중국의 텃세가 예상되지만, 우리 선수들의 실력이라면 충분히 극복할 수 있다"며 금메달 6개를 목표로 내걸었다.

 

최근 출전한 동계 세계대학경기대회에서 5관왕을 차지하며 절정의 기량을 과시한 김길리(성남시청)는 "한국 쇼트트랙이 중국보다 월등하다"며 자신감을 드러냈다. 베이징 올림픽에서 아픔을 겪었던 최민정(성남시청)은 "최대한 다른 선수들과 충돌 없이 안전하고 확실한 방향으로 추월하고 경쟁해야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며 경험에서 우러나온 조언을 건넸다.

 

과연 한국 쇼트트랙 대표팀이 중국의 텃세와 편파 판정 논란 속에서도 아시아 최강의 자리를 지켜내며 금빛 질주를 이어갈 수 있을지 전 세계 빙상 팬들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빵 러버'들 모여라! 4월, 한강 달리며 빵빵한 행복 채우세요

원에서 돌아온다. 2021년 첫 선을 보이며 큰 사랑을 받았던 빵빵런은 올해 더욱 풍성하고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참가자들을 맞이할 예정이다. 이번 빵빵런은 초보 러너도 부담없이 도전할 수 있는 5km 코스, 가볍게 한강의 정취를 만끽하며 즐길 수 있는 10km 코스, 새롭게 추가된 하프 코스까지 총 3가지 코스를 마련했다. 모든 코스는 잠실대교를 지나며 아름다운 한강 풍경을 감상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지난해 큰 인기를 끌었던 '빵빵룩 어워즈'는 올해 '베스트 빵빵드레서'라는 이름으로 더욱 업그레이드 되었다. 나만의 개성이 담긴 빵빵한 코스튬을 장착하고 '베스트 빵빵드레서'를 노려보자. 참가자들은 코스 완주 후 '노티드', '나폴레옹 과자점', '빵부장마늘빵' 등 인기 빵집의 빵을 맛보며 달콤한 휴식을 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주삼다수, 링티제로, 이클립스 쿨링 소프트 캔디 등 특별 기념품도 준비되어 있다. 이번 빵빵런은 단순한 마라톤 대회를 넘어 참가자들이 함께 즐길 수 있는 다채로운 부대행사도 마련했다. 완주를 인증할 수 있는 포토존, 편의를 위한 물품보관소,  다양한 이벤트가 진행되는 이벤트 부스 등이 운영될 예정이다. 하프코스 참가자들을 위한 '빵빵 페이스 메이커'도 준비되어 있어 든든하게 완주를 지원한다. 특히 빵빵런은 참가자 1인당 1개의 빵을 국내 소외계층 아동에게 기부하는 캠페인을 통해 나눔의 가치를 실현하고 있다. 현재까지 총 2만 1천 개의 빵을 기부하며 따뜻한 마음을 전달했다.참가 신청은 공식 홈페이지에서 선착순으로 진행된다. 자세한 내용은 공식 SNS 또는 홈페이지를 확인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