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이슈

베트남 농부들의 배신... '커피 대신 두리안' 선택

 전 세계 커피 시장이 심각한 위기에 직면했다. 주요 커피 품종인 아라비카와 로부스타 원두 가격이 동반 상승하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특히 아라비카 원두는 톤당 8232달러를 기록하며 처음으로 8000달러 선을 돌파했고, 로부스타 역시 5734달러까지 치솟아 전년 대비 71.9%나 상승했다.

 

이러한 가격 폭등의 배경에는 복합적인 요인들이 자리 잡고 있다. 가장 큰 문제는 세계 최대 커피 생산국인 브라질과 베트남에서 발생한 생산량 감소다. 두 국가는 전 세계 커피 생산량의 55%를 차지하는 핵심 생산지다. 브라질은 아라비카 원두 세계 공급량의 절반을, 베트남은 로부스타 원두의 상당량을 책임지고 있다.

 

브라질에서는 극심한 가뭄과 무더위로 인해 커피나무 재배 환경이 악화됐다. 토양 수분 부족 현상이 지속되면서 장기적인 생산량 감소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베트남의 상황은 더욱 복잡하다. 엘니뇨로 인한 기상이변도 문제지만, 농가들이 수익성이 높은 두리안 재배로 전환하면서 커피 재배 면적이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두리안 팩터'다. 중국에서 '과일계의 에르메스'로 불리는 두리안의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베트남 농가들이 커피 대신 두리안 재배로 전환하고 있다. 두리안 재배의 수익성이 커피의 5배에 달한다는 점이 결정적 요인이다. 실제로 베트남의 로부스타 커피 수출량은 전년 대비 12.5% 감소했다.

 

미국 농무부는 이러한 상황을 반영해 올해 세계 커피 생산량을 1억6800만 자루로 하향 조정했다. 더욱 우려되는 점은 이러한 상황이 단기간에 해결되기 어렵다는 것이다. 커피나무는 심은 후 수확까지 최소 3-5년이 소요되며, 기후변화에 매우 취약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국내 커피 시장도 이미 영향을 받고 있다. 스타벅스를 비롯한 주요 커피 체인들이 잇따라 가격 인상을 단행했다. 여기에 고환율까지 겹치면서 '커피플레이션' 우려가 현실화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당분간 커피 가격 상승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빵 러버'들 모여라! 4월, 한강 달리며 빵빵한 행복 채우세요

원에서 돌아온다. 2021년 첫 선을 보이며 큰 사랑을 받았던 빵빵런은 올해 더욱 풍성하고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참가자들을 맞이할 예정이다. 이번 빵빵런은 초보 러너도 부담없이 도전할 수 있는 5km 코스, 가볍게 한강의 정취를 만끽하며 즐길 수 있는 10km 코스, 새롭게 추가된 하프 코스까지 총 3가지 코스를 마련했다. 모든 코스는 잠실대교를 지나며 아름다운 한강 풍경을 감상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지난해 큰 인기를 끌었던 '빵빵룩 어워즈'는 올해 '베스트 빵빵드레서'라는 이름으로 더욱 업그레이드 되었다. 나만의 개성이 담긴 빵빵한 코스튬을 장착하고 '베스트 빵빵드레서'를 노려보자. 참가자들은 코스 완주 후 '노티드', '나폴레옹 과자점', '빵부장마늘빵' 등 인기 빵집의 빵을 맛보며 달콤한 휴식을 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주삼다수, 링티제로, 이클립스 쿨링 소프트 캔디 등 특별 기념품도 준비되어 있다. 이번 빵빵런은 단순한 마라톤 대회를 넘어 참가자들이 함께 즐길 수 있는 다채로운 부대행사도 마련했다. 완주를 인증할 수 있는 포토존, 편의를 위한 물품보관소,  다양한 이벤트가 진행되는 이벤트 부스 등이 운영될 예정이다. 하프코스 참가자들을 위한 '빵빵 페이스 메이커'도 준비되어 있어 든든하게 완주를 지원한다. 특히 빵빵런은 참가자 1인당 1개의 빵을 국내 소외계층 아동에게 기부하는 캠페인을 통해 나눔의 가치를 실현하고 있다. 현재까지 총 2만 1천 개의 빵을 기부하며 따뜻한 마음을 전달했다.참가 신청은 공식 홈페이지에서 선착순으로 진행된다. 자세한 내용은 공식 SNS 또는 홈페이지를 확인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