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한국 노인 빈곤율 OECD 평균의 3배... '노인 지옥' 대한민국의 슬픈 자화상

 대한민국의 노인 빈곤 문제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다. 보건복지부와 통계청의 최신 자료에 따르면, 2023년 65세 이상 노인 인구의 상대적 빈곤율이 38.2%를 기록했다. 이는 전체 인구의 빈곤율 14.9%와 비교해 2.5배 이상 높은 수치다.

 

특히 충격적인 것은 성별 격차다. 남성 노인의 빈곤율이 31.8%인 데 비해, 여성 노인은 43.2%로 현저히 높았다. 이는 우리 사회의 성별 임금 격차와 여성의 경력 단절이 노후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

 

더욱 우려되는 점은 연령이 높아질수록 빈곤율이 급증한다는 사실이다. 66~75세 노인의 빈곤율은 31.4%지만, 76세 이상은 52.0%로 폭증한다. 즉, 76세 이상 고령층에서는 2명 중 1명 이상이 빈곤 상태에 놓여있다는 충격적인 현실이 드러났다.

 


국제 비교에서도 한국의 노인 빈곤 문제는 심각성을 더해간다. OECD의 '한눈에 보는 연금 2023'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66세 이상 노인 빈곤율은 40.4%로 OECD 평균(14.2%)의 약 3배에 달한다. OECD 회원국 중 노인 빈곤율이 40%를 넘는 나라는 한국이 유일하다.

 

소득 불평등 측면에서도 한국 노인층의 상황은 심각하다. 66세 이상 노인의 가처분소득 지니계수는 0.376으로, 전체 인구의 지니계수(0.331)보다 높다. 이는 OECD 회원국들의 일반적인 경향과 정반대되는 현상이다. 대부분의 OECD 국가에서는 노인층의 소득 불평등이 전체 인구보다 낮은 반면, 한국은 오히려 노인층에서 불평등이 더 심화되는 특이한 양상을 보인다.

 

더욱 우려되는 것은 개선의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다. 2021년까지 감소 추세를 보이던 노인 빈곤율이 2022년부터 다시 상승세로 돌아섰다. 이는 노인 빈곤 문제 해결을 위한 현행 사회보장제도와 노후소득보장 정책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밸런타인데이 '커플 여행', 실패하지 않는 방법은?

주대학교 심리학과 김경일 교수와 함께 진행한 연구에 따르면, 성공적인 커플 여행을 위해서는 세 가지 핵심 원칙을 지켜야 한다.최근 설문조사 결과, 한국인들의 여행 계획 수립 과정에서 가장 큰 스트레스 요인으로 '조기 예약에 대한 부담감(27%)', '과다한 선택지(21%)', '우유부단한 결정(15%)'이 지목됐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응답자의 43%가 '비용'을 가장 큰 걱정거리로 꼽았다는 것이다.전문가들이 제시하는 첫 번째 원칙은 '하고 싶은 것'만큼 '하기 싫은 것'도 명확히 공유하라는 것이다. 이는 여행 중 발생할 수 있는 갈등을 미연에 방지하고, 계획 변경 시의 스트레스를 최소화하는 데 결정적인 도움이 된다.두 번째 원칙인 '우리만의 여행 시나리오 만들기'는 과다한 선택지로 인한 결정 장애를 해소하는 데 효과적이다. 단순히 가고 싶은 장소나 하고 싶은 활동을 나열하는 대신, 전체적인 스토리라인을 구상함으로써 더욱 조화로운 여행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마지막 원칙은 '원하는 바를 명확히 표현하기'다. 심리학적 연구에 따르면, 생각으로만 머무는 것보다 말이나 글로 표현할 때 실행 가능성이 크게 높아진다고 한다.이와 함께 스카이스캐너는 2025년 항공권 가격을 분석해 가성비 높은 커플 여행지도 추천했다. 일본 기타큐슈는 1시간 30분이라는 짧은 비행 시간과 고즈넉한 분위기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가와치 후지엔의 등나무 정원은 CNN이 선정한 일본의 최고 명소 중 하나로, 4-5월이면 보랏빛 등나무꽃이 로맨틱한 풍경을 선사한다.대만 가오슝은 '사랑의 강'이라 불리는 아이허 운하와 리우허 야시장의 다채로운 먹거리로 커플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말레이시아 코타키나발루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석양과 함께 즐기는 보트 투어, 산호초 호핑 투어, 환상적인 반딧불 투어 등 다양한 로맨틱 액티비티를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