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이슈

베트남 농부들의 배신... '커피 대신 두리안' 선택

 전 세계 커피 시장이 심각한 위기에 직면했다. 주요 커피 품종인 아라비카와 로부스타 원두 가격이 동반 상승하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특히 아라비카 원두는 톤당 8232달러를 기록하며 처음으로 8000달러 선을 돌파했고, 로부스타 역시 5734달러까지 치솟아 전년 대비 71.9%나 상승했다.

 

이러한 가격 폭등의 배경에는 복합적인 요인들이 자리 잡고 있다. 가장 큰 문제는 세계 최대 커피 생산국인 브라질과 베트남에서 발생한 생산량 감소다. 두 국가는 전 세계 커피 생산량의 55%를 차지하는 핵심 생산지다. 브라질은 아라비카 원두 세계 공급량의 절반을, 베트남은 로부스타 원두의 상당량을 책임지고 있다.

 

브라질에서는 극심한 가뭄과 무더위로 인해 커피나무 재배 환경이 악화됐다. 토양 수분 부족 현상이 지속되면서 장기적인 생산량 감소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베트남의 상황은 더욱 복잡하다. 엘니뇨로 인한 기상이변도 문제지만, 농가들이 수익성이 높은 두리안 재배로 전환하면서 커피 재배 면적이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두리안 팩터'다. 중국에서 '과일계의 에르메스'로 불리는 두리안의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베트남 농가들이 커피 대신 두리안 재배로 전환하고 있다. 두리안 재배의 수익성이 커피의 5배에 달한다는 점이 결정적 요인이다. 실제로 베트남의 로부스타 커피 수출량은 전년 대비 12.5% 감소했다.

 

미국 농무부는 이러한 상황을 반영해 올해 세계 커피 생산량을 1억6800만 자루로 하향 조정했다. 더욱 우려되는 점은 이러한 상황이 단기간에 해결되기 어렵다는 것이다. 커피나무는 심은 후 수확까지 최소 3-5년이 소요되며, 기후변화에 매우 취약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국내 커피 시장도 이미 영향을 받고 있다. 스타벅스를 비롯한 주요 커피 체인들이 잇따라 가격 인상을 단행했다. 여기에 고환율까지 겹치면서 '커피플레이션' 우려가 현실화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당분간 커피 가격 상승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Z세대가 꽂힌 겨울 여행지는 여기!

집중하며, 남들과 다른 특별한 여행을 꿈꾸는 것으로 나타났다.특히 Z세대는 다른 어떤 세대보다 '자연' 관련 체험을 많이 검색했으며, 2~6박의 짧고 알찬 여행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바쁜 일상과 경제적 상황을 고려하면서도 자신만의 속도로 여행을 즐기려는 Z세대의 특징이 드러난 결과다.올겨울 Z세대의 뜨거운 관심을 받는 곳은 바로 '브라질'의 숨겨진 해변 도시들이다. 역사와 문화, 아름다운 자연을 만끽할 수 있는 포르투세구루는 옛 어촌 마을에서 즐기는 승마, 다채로운 웰니스 액티비티로 Z세대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스노클링, 다이빙, 명상 등 바닷가 힐링을 원한다면 프라이아 그란지가 제격이다.따뜻한 남반구에서 여름을 즐기고 싶다면 '시드니'와 '올랜도'가 제격이다. 시드니에서는 본다이 비치의 파도를 가르며 서핑을 즐기고, 블루마운틴의 웅장한 자연에 감탄할 수 있다. 테마파크의 도시 올랜도에서는 동심으로 돌아가 신나게 즐기고, 윈터파크에서 햇살 가득한 액티비티를 경험할 수 있다.유럽 여행을 꿈꾼다면 스페인 '알리칸테'와 독일 '뮌헨'을 주목하자. 알리칸테는 평화로운 자연 속에서 아름다운 건축물을 감상할 수 있는 곳이며, 뮌헨은 옥토버페스트 외에도 연중 다양한 문화 행사와 활기 넘치는 분위기를 자랑한다.에어비앤비 데이터 분석 결과, Z세대의 '오사카' 여행 열풍이 눈에 띈다. 올겨울 오사카 검색량은 전년 대비 2배 이상 급증했으며, 전통과 현대가 공존하는 오사카에서 Z세대는 자전거 여행, 정원 산책 등 자신만의 방식으로 도시를 탐험한다.이 외에도 우루과이의 숨은 보석 같은 해변 도시 푼타델에스테, 멕시코의 아름다운 해변 마을 플라야 델 카르멘, 저렴한 물가와 따뜻한 날씨를 자랑하는 태국 방콕 또한 Z세대의 새로운 겨울 여행지로 떠오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