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이슈

100년 만에 돌아온 '선원전' 이름표…경복궁이 반긴다

 조선 왕실의 정통성을 상징하는 경복궁 선원전(璿源殿)의 편액이 100여 년 만에 고국 땅을 밟았다. 왕실의 근본을 상징하는 중요한 문화재인 만큼, 그 의미와 가치가 남다르다.

 

문화재청과 국외소재문화유산재단은 지난해 라이엇게임즈의 후원을 받아 일본에서 선원전 편액과 잡상 1점을 환수했다고 3일 밝혔다. 편액은 건물 처마 끝에 장식하는 기와인 잡상과 함께 국내로 돌아왔다.

 

가로 312㎝, 세로 140㎝에 달하는 이 편액은 검은 바탕에 금빛 글자로 '선원(璿源)'이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다. 선원은 '옥의 근원'이라는 뜻으로, 중국 역사서 '구당서'에서 왕실을 옥에 비유한 데서 유래했다. 편액 테두리에는 구름 무늬와 함께 부채, 보자기 등 보물 문양이 화려하게 장식되어 있어 과거 격식 높은 건물에 걸렸음을 짐작하게 한다.

 


전문가들은 이 편액이 조선 시대 궁궐에서도 가장 신성시되던 공간인 선원전의 것으로 보고 있다. 선원전은 역대 왕의 어진(초상화)을 모시고 제례를 올리던 곳으로, 조선 왕실의 정통성을 상징하는 공간이었다. 왕이 거처를 옮길 때마다 어진도 함께 옮겨 모실 정도로 왕실의 지극한 존숭을 받았다.

 

문화재청은 여러 기록과 정황을 종합해 볼 때, 이번에 환수된 편액이 1868년 경복궁 중건 당시 선원전에 걸렸던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번 환수는 해외에 유출된 우리 문화재를 되찾아왔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특히 선원전 편액은 단순한 예술품을 넘어 조선 왕실의 권위와 역사를 보여주는 중요한 상징물이다.

 

문화재청은 이달 27일 국립고궁박물관에서 환수된 편액을 공개할 예정이다. 100여 년 만에 고국으로 돌아온 선원전 편액은 우리 역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하며 관람객들에게 깊은 감동을 선 줄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 하늘 아래 활활 타오르는 소망! 남산골·석촌호수서 정월대보름 만끽

숫가 서울놀이마당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음력 1월 15일인 정월대보름은 설날만큼이나 우리 민족에게 중요한 명절로, 예로부터 오곡밥과 나물을 먹고 부럼 깨기, 달맞이, 달집태우기, 다리밟기 등 다채로운 풍속을 즐기며 한 해의 시작을 알렸다. 특히 밝게 떠오른 보름달 아래 함께 어우러져 즐기는 대동놀이는 정월대보름의 백미로 꼽힌다.남산골한옥마을에서는 12일 오후 2시부터 7시까지 ‘2025 남산골 정월대보름 ‘청사진’ 행사’가 열린다. ‘푸른 뱀의 해’를 맞아 떠오르는 첫 보름달 아래 시민들이 저마다의 ‘청사진’을 그리듯 한 해의 계획과 소망을 기원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도록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마련했다.오후 2시부터 5시까지는 달집에 소원을 적어 매다는 ‘달집 소원’, 부럼을 깨물어 먹으며 무사태평을 기원하는 ‘부럼 나눔’, 귀가 밝아지고 한 해 좋은 소식을 듣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은 ‘귀밝이술 체험’ 등 세 가지 세시풍속을 무료로 체험할 수 있다.저녁 6시부터는 사물놀이단 ‘광개토 사물놀이’가 참여하는 ‘지신밟기’ 행사가 펼쳐진다. 풍물 연주와 함께 집터를 밟으며 액운을 쫓고 가정의 평안과 풍년을 기원하는 전통 민속놀이인 지신밟기는, 액운을 물리치고 복을 기원하는 정월대보름의 의미를 더욱 흥겹게 전달할 예정이다.이어 저녁 6시 30분에는 이날 행사의 하이라이트인 ‘달집태우기’가 진행된다. 짚과 솔가지 등으로 만든 ‘달집’에 시민들의 소원지를 매달아 불을 붙이는 달집태우기는, 활활 타오르는 불꽃에 액운을 날려 보내고 소원 성취를 기원하는 전통 세시풍속이다. 남산골한옥마을의 밤하늘을 수놓을 달집태우기는 시민들에게 잊지 못할 장관을 선사할 것으로 기대된다.단, 달집태우기는 행사 당일 기상 상황 등 안전을 고려하여 진행 여부가 결정될 예정이다.같은 날 송파구 석촌호수 서울놀이마당에서는 서울시 무형유산 공개행사의 일환으로 ‘송파다리밟기’ 행사가 개최된다. 선소리꾼 류근우 보유자가 이끄는 ‘송파다리밟기 보존회’와 ‘송파민속보존회’가 함께 참여하여 길놀이를 시작으로 마당 춤, 선소리, 다리밟기 등 신명 나는 한마당을 선보인다. 여기에 정월대보름 세시풍속인 달집태우기와 부럼 깨기까지 더해져 시민들에게 풍성하고 흥겨운 정월대보름 밤을 선사할 예정이다.'다리밟기'는 정월대보름에 행해졌던 전통놀이로, ‘다리(橋)를 밟으면 다리(脚)에 병이 나지 않는다’는 언어유희에서 시작되었다. ‘답교놀이’라고도 불리는 다리밟기는 고려시대부터 전해 내려온 전통으로, 신분에 관계없이 모두 함께 즐기는 지역의 큰 축제였다.특히 ‘송파다리밟기’는 서울시 무형유산 예능 종목 중 가장 이른 시기인 1989년에 지정되었다. 민간에서 전해 내려오던 다리밟기에 송파 지역 놀이패가 참여하면서 대규모 공연 형태로 발전되었다는 점이 특징이다. 넓은 마당에 임시 다리인 ‘가교(假橋)’를 설치해 시민들이 직접 줄지어 다리를 밟으며 액운을 쫓고 건강을 기원하는 참여형 놀이로, 정월대보름 세시풍속인 달집태우기, 부럼 깨기 등과 자연스럽게 어우러지며 독창적인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