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큐브

"살아와도 처리해" 노상원 '폭탄 조끼' 증언에 계엄 수첩 의혹 증폭

 12·3 비상계엄 당시 내란을 모의하고 실행하려 했다는 혐의로 재판 중인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이 과거 부하에게 특수임무 요원들을 '인간폭탄'으로 활용하려 했다는 충격적인 증언이 나왔다.

 

4일 국회에서 열린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특별위원회' 2차 청문회에서 육군 제2군단 박민우 준장은 과거 노 전 사령관으로부터  "특수임무 후 요원들을 원격 폭파 조끼로 폭사시키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폭로했다.

 

박 준장은 2016년 육군첩보부대(HID) 부대장으로 재직 당시 노 전 사령관으로부터 북한 관련 특수임무를 지시받았다. 그는 약 6개월간 이 임무를 준비했지만, 노 전 사령관의 잔혹한 지시 내용에 경악을 금치 못했다고 증언했다.

 

노 전 사령관은 박 준장에게 "임무가 끝나면 요원들을 어떻게 제거할 것이냐"고 물었고, 박 준장이 답변을 머뭇거리자  "원격 폭파 조끼를 입혀서 임무 끝나고 들어오기 전에 폭사시키라"는 끔찍한 지시를 내렸다. 심지어 "상황을 봐서 북한에 포획될 것 같으면 내륙에서 원격으로 제거하고, 무사히 돌아와도 오기 전에 처리하라"는 구체적인 실행 방법까지 언급했다.

 


박 준장은 "노 전 사령관의 얘기를 듣고 '이건 같이 하면 안 되겠다' 생각했다. 저는 100% 요원들을 안전하게 살려서 돌아오는 게 목표였다"며 "그의 잔인하고 반인륜적인 면을 봤다"라고 당시 심경을 밝혔다.

 

그는 노 전 사령관의 이러한 잔혹성 때문에 '계엄 수첩'에 적힌 '북 공격 유도', '국회 봉쇄', '사살', '수거 대상' 등의 표현 역시 단순한 상상이 아닌 실행 가능한 계획이라고 판단했다고 강조했다.

 

이번 증언으로 노 전 사령관의 12·3 비상계엄 당시 내란 모의 및 실행 혐의에 대한 재판은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됐다. 특히 '인간폭탄' 지시 논란은 군 내부의 반인권적 행태와 독재 정권의 잔혹성을 다시 한번 드러내는 사건으로 큰 파장이 예상된다.

 

'오버투어리즘' 시름 감천문화마을 "숨 쉴 공간 확보한다"

관광객 방문으로 몸살을 앓는 마을에 '숨 쉴 공간'을 마련하고 주민들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한 조치다.11일 부산 사하구는 '감천문화마을 특별관리지역 지정 및 관리계획 수립 연구용역' 입찰 공고를 내고 본격적인 검토 절차에 돌입했다. 관광진흥법에 따라 지자체는 과도한 관광객으로 인해 주민의 생활 환경이 훼손될 우려가 있는 지역을 특별관리지역으로 지정하고, 관광객 수 제한, 방문 시간 지정, 통행 제한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다.한국전쟁 당시 피란민들이 정착하며 형성된 감천문화마을은 독특한 풍경과 예술 작품들로 인기를 얻으며 부산의 대표 관광 명소로 자리매김했다. 하지만 매년 급증하는 관광객으로 인해 소음, 쓰레기 문제, 사생활 침해 등 주민들의 불편이 심화되면서 '오버투어리즘' 문제가 심각하게 제기되어 왔다.사하구는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관광객과 지역 주민이 공존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감천문화마을 마스터플랜'을 수립하고, 특별관리지역 지정을 포함한 22개 세부 사업을 추진 중이다.현재 전국에서 특별관리지역으로 지정된 곳은 서울 종로구와 경기도 연천군 두 곳뿐이며, 감천문화마을이 지정될 경우 전국 세 번째 사례가 된다. 사하구는 연구용역을 통해 감천문화마을의 특별관리지역 지정 타당성을 면밀히 검토하고, 주민 의견 수렴을 거쳐 최종 지정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