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큐브

권영세 "대왕고래, 한 번 팠다고 포기? 자원 개발은 끈기!"

 국민의힘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이 윤석열 정부가 야심 차게 추진했던 동해 심해 가스전 사업, 일명 '대왕고래' 사업의 1차 시추 결과 경제성 확보가 어렵다는 결론이 나온 것과 관련해 추가 시추 필요성을 강력하게 주장했다.

 

7일 권 위원장은 SBS 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 출연해 "동해 가스전의 경우 이제 겨우 한 번 시추를 진행했을 뿐"이라며 "한 번 시추했다고 바로 성과가 나온다면 산유국이 아닌 나라가 어디 있겠느냐"며 추가 시추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어 이명박 정부 시절 '자원 외교'를 예로 들며 "당시 야당을 중심으로 많은 비판이 제기되어 결국 다음 정부에서 사업을 철수했지만, 이후 해당 자원들의 가격이 폭등하면서 비판의 목소리가 나왔다"고 지적했다. 즉, 단기적인 성과에 급급해 자원 개발 사업을 섣불리 포기해서는 안 되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끈기 있게 추진해야 한다는 것이다.

 


권 위원장은 "자원 개발은 본질적으로 불확실성이 높은 분야"라며 "한두 번의 시추 실패로 쉽게 포기하지 않고, 잠재력을 믿고 지속적인 투자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정부는 이번 1차 시추 결과를 면밀히 분석하고,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추가 시추 여부를 신중하게 결정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권 위원장은 당 쇄신과 관련해서는 '자강론'을 다시 한번 강조했다. 그는 "국민의힘이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고, 정치적 안정을 이루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스스로의 힘을 키우는 데 집중해야 한다"며 "끊임없는 혁신과 노력을 통해 국민에게 사랑받는 정당으로 거듭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과 관련해 12.3 계엄 당시 국회의원 체포 의혹을 제기한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과 곽종근 전 육군 특수전사령관에 대해서는 "두 사람의 행태는 매우 부적절하다"고 비판했다. 특히 곽 전 사령관이 야당 의원 유튜브 채널에 출연해 인터뷰를 한 것을 두고 "현역 군인으로서 매우 부적절한 행동"이라고 지적하며 "군의 정치적 중립 의무를 저버린 행위"라고 비판했다.

 

다만, 윤 대통령이 탄핵 심판 변론 과정에서 '홍 전 차장과 곽 전 특전사령관으로부터 탄핵 공작이 시작됐다'는 취지의 발언을 한 것에 대해서는 "헌법재판소에서 공정하게 판단할 문제"라며 말을 아꼈다.

 

'오버투어리즘' 시름 감천문화마을 "숨 쉴 공간 확보한다"

관광객 방문으로 몸살을 앓는 마을에 '숨 쉴 공간'을 마련하고 주민들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한 조치다.11일 부산 사하구는 '감천문화마을 특별관리지역 지정 및 관리계획 수립 연구용역' 입찰 공고를 내고 본격적인 검토 절차에 돌입했다. 관광진흥법에 따라 지자체는 과도한 관광객으로 인해 주민의 생활 환경이 훼손될 우려가 있는 지역을 특별관리지역으로 지정하고, 관광객 수 제한, 방문 시간 지정, 통행 제한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다.한국전쟁 당시 피란민들이 정착하며 형성된 감천문화마을은 독특한 풍경과 예술 작품들로 인기를 얻으며 부산의 대표 관광 명소로 자리매김했다. 하지만 매년 급증하는 관광객으로 인해 소음, 쓰레기 문제, 사생활 침해 등 주민들의 불편이 심화되면서 '오버투어리즘' 문제가 심각하게 제기되어 왔다.사하구는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관광객과 지역 주민이 공존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감천문화마을 마스터플랜'을 수립하고, 특별관리지역 지정을 포함한 22개 세부 사업을 추진 중이다.현재 전국에서 특별관리지역으로 지정된 곳은 서울 종로구와 경기도 연천군 두 곳뿐이며, 감천문화마을이 지정될 경우 전국 세 번째 사례가 된다. 사하구는 연구용역을 통해 감천문화마을의 특별관리지역 지정 타당성을 면밀히 검토하고, 주민 의견 수렴을 거쳐 최종 지정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