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산업

500만원 깎아도 안 팔려… 1톤 트럭 전기차, '가성비'에도 굴욕

 한때 불황의 그늘 속에서도 굳건히 자리를 지켰던 '서민의 발' 현대차 포터와 기아 봉고가 깊은 수렁에 빠졌다. 

 

디젤 엔진을 떼어내고 전기차로 변신을 꾀했지만, 높은 가격과 짧은 주행거리라는 현실의 벽 앞에 무릎을 꿇은 것이다.

 

지난해 포터2 일렉트릭과 봉고3 EV의 판매량은 각각 1만 1251대, 6015대로 전년 대비 56.4%, 60.2% 급감했다. 사실상 반토막이 난 셈이다. 고금리, 고물가 시대에도 꾸준히 팔리던 과거와는 180도 달라진 모습이다. 

 

특히 경기 침체가 심화되면 자영업자들이 생계를 위해 포터·봉고를 더 찾았던 과거 사례를 고려하면 이례적인 현상이다.

 

전문가들은 포터·봉고 EV의 추락 원인으로 '가성비' 하락을 지목한다. 디젤 모델보다 비싼 가격에도 불구하고 짧은 주행거리와 부족한 충전 인프라가 치명적인 약점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이는 장시간 운행과 빠른 업무 순환이 중요한 택배, 물류 업계의 외면을 받으며 판매량이 급감했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포터2 일렉트릭의 1회 충전 주행거리는 211km에 불과하다.

 

상황이 심각해지자 현대차와 기아는 봉고3 EV 최대 480만원, 포터2 일렉트릭 최대 500만원 할인이라는 특단의 조치를 꺼내들었다. 정부 및 지자체 보조금까지 더하면 2000만원대 초반까지 가격이 낮아질 수 있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여전히 회의적인 시각이 지배적이다. 전기차 특성상 가격 경쟁력 확보가 쉽지 않은 데다,  근본적인 문제인 주행거리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1톤 트럭 시장의 성공적인 전동화 전환이라는 과제를 안고 있는 현대차·기아가 어떤 해법을 제시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오버투어리즘' 시름 감천문화마을 "숨 쉴 공간 확보한다"

관광객 방문으로 몸살을 앓는 마을에 '숨 쉴 공간'을 마련하고 주민들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한 조치다.11일 부산 사하구는 '감천문화마을 특별관리지역 지정 및 관리계획 수립 연구용역' 입찰 공고를 내고 본격적인 검토 절차에 돌입했다. 관광진흥법에 따라 지자체는 과도한 관광객으로 인해 주민의 생활 환경이 훼손될 우려가 있는 지역을 특별관리지역으로 지정하고, 관광객 수 제한, 방문 시간 지정, 통행 제한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다.한국전쟁 당시 피란민들이 정착하며 형성된 감천문화마을은 독특한 풍경과 예술 작품들로 인기를 얻으며 부산의 대표 관광 명소로 자리매김했다. 하지만 매년 급증하는 관광객으로 인해 소음, 쓰레기 문제, 사생활 침해 등 주민들의 불편이 심화되면서 '오버투어리즘' 문제가 심각하게 제기되어 왔다.사하구는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관광객과 지역 주민이 공존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감천문화마을 마스터플랜'을 수립하고, 특별관리지역 지정을 포함한 22개 세부 사업을 추진 중이다.현재 전국에서 특별관리지역으로 지정된 곳은 서울 종로구와 경기도 연천군 두 곳뿐이며, 감천문화마을이 지정될 경우 전국 세 번째 사례가 된다. 사하구는 연구용역을 통해 감천문화마을의 특별관리지역 지정 타당성을 면밀히 검토하고, 주민 의견 수렴을 거쳐 최종 지정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