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OECD 꼴찌' 한국의 '부끄러운 민낯'

 한국 과학기술계의 성차별 민낯이 드러났다. 237만 구독자를 보유한 한 과학 유튜브 채널의 특집 방송에서 15명의 과학자가 모두 남성이었다는 사실이 논란이 되면서다. 이는 빙산의 일각에 불과했다. 한국의 여성 연구자 비율은 22.2%로 OECD 국가 중 최하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특히 고위직으로 갈수록 그 비율은 더욱 낮아진다.

 

WISET(한국여성과학기술인육성재단)의 조사에 따르면, 신입 연구자 중 여성 비율은 32.1%로 시작하지만, 책임자급에서는 고작 8.8%에 그친다. 가장 충격적인 것은 35~39세 구간에서 나타나는 31.3%p의 경제활동참가율 격차다. 이는 결혼, 임신, 출산 시기와 맞물려 발생하는 경력 단절 현상을 여실히 보여준다.

 

더욱 우려스러운 것은 이러한 격차를 해소하는 데 134년이나 걸릴 것이라는 전망이다. 특히 박사과정 여성 연구자들은 연구와 육아를 동시에 진행해야 하는 이중고에 시달리고 있다. 대학 캠퍼스 내 모유 수유 공간이나 보육시설 부족 등 기본적인 인프라조차 미비한 실정이다.

 


그러나 여성 연구자의 참여 확대는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고 있다. EU의 '호라이즌 유럽' 프로그램처럼 국제 연구 펀딩에서 성별 다양성이 중요한 평가 기준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의학 연구에서 성별 차이를 고려하지 않아 발생하는 부작용 사례나, 남성 중심 데이터로 학습된 AI의 편향성 문제 등은 여성 연구자의 참여가 연구의 질적 향상에 직결됨을 보여준다.

 

저출산, 고령화, 의대 선호 현상으로 인한 STEM 분야의 인력난은 이미 현실이 됐다. 18만 명에 달하는 자연·공학 계열 경력 단절 여성은 국가 경쟁력 차원에서도 심각한 손실이다. 전문가들은 육아기 연구자를 위한 실질적 지원 확대, 여성 과학자 롤모델 발굴, 성과 젠더 통합 연구 촉진을 위한 제도적 개선 등을 시급한 과제로 제시하고 있다.

 

'오버투어리즘' 시름 감천문화마을 "숨 쉴 공간 확보한다"

관광객 방문으로 몸살을 앓는 마을에 '숨 쉴 공간'을 마련하고 주민들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한 조치다.11일 부산 사하구는 '감천문화마을 특별관리지역 지정 및 관리계획 수립 연구용역' 입찰 공고를 내고 본격적인 검토 절차에 돌입했다. 관광진흥법에 따라 지자체는 과도한 관광객으로 인해 주민의 생활 환경이 훼손될 우려가 있는 지역을 특별관리지역으로 지정하고, 관광객 수 제한, 방문 시간 지정, 통행 제한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다.한국전쟁 당시 피란민들이 정착하며 형성된 감천문화마을은 독특한 풍경과 예술 작품들로 인기를 얻으며 부산의 대표 관광 명소로 자리매김했다. 하지만 매년 급증하는 관광객으로 인해 소음, 쓰레기 문제, 사생활 침해 등 주민들의 불편이 심화되면서 '오버투어리즘' 문제가 심각하게 제기되어 왔다.사하구는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관광객과 지역 주민이 공존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감천문화마을 마스터플랜'을 수립하고, 특별관리지역 지정을 포함한 22개 세부 사업을 추진 중이다.현재 전국에서 특별관리지역으로 지정된 곳은 서울 종로구와 경기도 연천군 두 곳뿐이며, 감천문화마을이 지정될 경우 전국 세 번째 사례가 된다. 사하구는 연구용역을 통해 감천문화마을의 특별관리지역 지정 타당성을 면밀히 검토하고, 주민 의견 수렴을 거쳐 최종 지정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