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OECD 꼴찌' 한국의 '부끄러운 민낯'

 한국 과학기술계의 성차별 민낯이 드러났다. 237만 구독자를 보유한 한 과학 유튜브 채널의 특집 방송에서 15명의 과학자가 모두 남성이었다는 사실이 논란이 되면서다. 이는 빙산의 일각에 불과했다. 한국의 여성 연구자 비율은 22.2%로 OECD 국가 중 최하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특히 고위직으로 갈수록 그 비율은 더욱 낮아진다.

 

WISET(한국여성과학기술인육성재단)의 조사에 따르면, 신입 연구자 중 여성 비율은 32.1%로 시작하지만, 책임자급에서는 고작 8.8%에 그친다. 가장 충격적인 것은 35~39세 구간에서 나타나는 31.3%p의 경제활동참가율 격차다. 이는 결혼, 임신, 출산 시기와 맞물려 발생하는 경력 단절 현상을 여실히 보여준다.

 

더욱 우려스러운 것은 이러한 격차를 해소하는 데 134년이나 걸릴 것이라는 전망이다. 특히 박사과정 여성 연구자들은 연구와 육아를 동시에 진행해야 하는 이중고에 시달리고 있다. 대학 캠퍼스 내 모유 수유 공간이나 보육시설 부족 등 기본적인 인프라조차 미비한 실정이다.

 


그러나 여성 연구자의 참여 확대는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고 있다. EU의 '호라이즌 유럽' 프로그램처럼 국제 연구 펀딩에서 성별 다양성이 중요한 평가 기준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의학 연구에서 성별 차이를 고려하지 않아 발생하는 부작용 사례나, 남성 중심 데이터로 학습된 AI의 편향성 문제 등은 여성 연구자의 참여가 연구의 질적 향상에 직결됨을 보여준다.

 

저출산, 고령화, 의대 선호 현상으로 인한 STEM 분야의 인력난은 이미 현실이 됐다. 18만 명에 달하는 자연·공학 계열 경력 단절 여성은 국가 경쟁력 차원에서도 심각한 손실이다. 전문가들은 육아기 연구자를 위한 실질적 지원 확대, 여성 과학자 롤모델 발굴, 성과 젠더 통합 연구 촉진을 위한 제도적 개선 등을 시급한 과제로 제시하고 있다.

 

밸런타인데이 '커플 여행', 실패하지 않는 방법은?

주대학교 심리학과 김경일 교수와 함께 진행한 연구에 따르면, 성공적인 커플 여행을 위해서는 세 가지 핵심 원칙을 지켜야 한다.최근 설문조사 결과, 한국인들의 여행 계획 수립 과정에서 가장 큰 스트레스 요인으로 '조기 예약에 대한 부담감(27%)', '과다한 선택지(21%)', '우유부단한 결정(15%)'이 지목됐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응답자의 43%가 '비용'을 가장 큰 걱정거리로 꼽았다는 것이다.전문가들이 제시하는 첫 번째 원칙은 '하고 싶은 것'만큼 '하기 싫은 것'도 명확히 공유하라는 것이다. 이는 여행 중 발생할 수 있는 갈등을 미연에 방지하고, 계획 변경 시의 스트레스를 최소화하는 데 결정적인 도움이 된다.두 번째 원칙인 '우리만의 여행 시나리오 만들기'는 과다한 선택지로 인한 결정 장애를 해소하는 데 효과적이다. 단순히 가고 싶은 장소나 하고 싶은 활동을 나열하는 대신, 전체적인 스토리라인을 구상함으로써 더욱 조화로운 여행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마지막 원칙은 '원하는 바를 명확히 표현하기'다. 심리학적 연구에 따르면, 생각으로만 머무는 것보다 말이나 글로 표현할 때 실행 가능성이 크게 높아진다고 한다.이와 함께 스카이스캐너는 2025년 항공권 가격을 분석해 가성비 높은 커플 여행지도 추천했다. 일본 기타큐슈는 1시간 30분이라는 짧은 비행 시간과 고즈넉한 분위기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가와치 후지엔의 등나무 정원은 CNN이 선정한 일본의 최고 명소 중 하나로, 4-5월이면 보랏빛 등나무꽃이 로맨틱한 풍경을 선사한다.대만 가오슝은 '사랑의 강'이라 불리는 아이허 운하와 리우허 야시장의 다채로운 먹거리로 커플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말레이시아 코타키나발루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석양과 함께 즐기는 보트 투어, 산호초 호핑 투어, 환상적인 반딧불 투어 등 다양한 로맨틱 액티비티를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