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산업

500만원 깎아도 안 팔려… 1톤 트럭 전기차, '가성비'에도 굴욕

 한때 불황의 그늘 속에서도 굳건히 자리를 지켰던 '서민의 발' 현대차 포터와 기아 봉고가 깊은 수렁에 빠졌다. 

 

디젤 엔진을 떼어내고 전기차로 변신을 꾀했지만, 높은 가격과 짧은 주행거리라는 현실의 벽 앞에 무릎을 꿇은 것이다.

 

지난해 포터2 일렉트릭과 봉고3 EV의 판매량은 각각 1만 1251대, 6015대로 전년 대비 56.4%, 60.2% 급감했다. 사실상 반토막이 난 셈이다. 고금리, 고물가 시대에도 꾸준히 팔리던 과거와는 180도 달라진 모습이다. 

 

특히 경기 침체가 심화되면 자영업자들이 생계를 위해 포터·봉고를 더 찾았던 과거 사례를 고려하면 이례적인 현상이다.

 

전문가들은 포터·봉고 EV의 추락 원인으로 '가성비' 하락을 지목한다. 디젤 모델보다 비싼 가격에도 불구하고 짧은 주행거리와 부족한 충전 인프라가 치명적인 약점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이는 장시간 운행과 빠른 업무 순환이 중요한 택배, 물류 업계의 외면을 받으며 판매량이 급감했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포터2 일렉트릭의 1회 충전 주행거리는 211km에 불과하다.

 

상황이 심각해지자 현대차와 기아는 봉고3 EV 최대 480만원, 포터2 일렉트릭 최대 500만원 할인이라는 특단의 조치를 꺼내들었다. 정부 및 지자체 보조금까지 더하면 2000만원대 초반까지 가격이 낮아질 수 있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여전히 회의적인 시각이 지배적이다. 전기차 특성상 가격 경쟁력 확보가 쉽지 않은 데다,  근본적인 문제인 주행거리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1톤 트럭 시장의 성공적인 전동화 전환이라는 과제를 안고 있는 현대차·기아가 어떤 해법을 제시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서울 하늘 아래 활활 타오르는 소망! 남산골·석촌호수서 정월대보름 만끽

숫가 서울놀이마당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음력 1월 15일인 정월대보름은 설날만큼이나 우리 민족에게 중요한 명절로, 예로부터 오곡밥과 나물을 먹고 부럼 깨기, 달맞이, 달집태우기, 다리밟기 등 다채로운 풍속을 즐기며 한 해의 시작을 알렸다. 특히 밝게 떠오른 보름달 아래 함께 어우러져 즐기는 대동놀이는 정월대보름의 백미로 꼽힌다.남산골한옥마을에서는 12일 오후 2시부터 7시까지 ‘2025 남산골 정월대보름 ‘청사진’ 행사’가 열린다. ‘푸른 뱀의 해’를 맞아 떠오르는 첫 보름달 아래 시민들이 저마다의 ‘청사진’을 그리듯 한 해의 계획과 소망을 기원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도록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마련했다.오후 2시부터 5시까지는 달집에 소원을 적어 매다는 ‘달집 소원’, 부럼을 깨물어 먹으며 무사태평을 기원하는 ‘부럼 나눔’, 귀가 밝아지고 한 해 좋은 소식을 듣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은 ‘귀밝이술 체험’ 등 세 가지 세시풍속을 무료로 체험할 수 있다.저녁 6시부터는 사물놀이단 ‘광개토 사물놀이’가 참여하는 ‘지신밟기’ 행사가 펼쳐진다. 풍물 연주와 함께 집터를 밟으며 액운을 쫓고 가정의 평안과 풍년을 기원하는 전통 민속놀이인 지신밟기는, 액운을 물리치고 복을 기원하는 정월대보름의 의미를 더욱 흥겹게 전달할 예정이다.이어 저녁 6시 30분에는 이날 행사의 하이라이트인 ‘달집태우기’가 진행된다. 짚과 솔가지 등으로 만든 ‘달집’에 시민들의 소원지를 매달아 불을 붙이는 달집태우기는, 활활 타오르는 불꽃에 액운을 날려 보내고 소원 성취를 기원하는 전통 세시풍속이다. 남산골한옥마을의 밤하늘을 수놓을 달집태우기는 시민들에게 잊지 못할 장관을 선사할 것으로 기대된다.단, 달집태우기는 행사 당일 기상 상황 등 안전을 고려하여 진행 여부가 결정될 예정이다.같은 날 송파구 석촌호수 서울놀이마당에서는 서울시 무형유산 공개행사의 일환으로 ‘송파다리밟기’ 행사가 개최된다. 선소리꾼 류근우 보유자가 이끄는 ‘송파다리밟기 보존회’와 ‘송파민속보존회’가 함께 참여하여 길놀이를 시작으로 마당 춤, 선소리, 다리밟기 등 신명 나는 한마당을 선보인다. 여기에 정월대보름 세시풍속인 달집태우기와 부럼 깨기까지 더해져 시민들에게 풍성하고 흥겨운 정월대보름 밤을 선사할 예정이다.'다리밟기'는 정월대보름에 행해졌던 전통놀이로, ‘다리(橋)를 밟으면 다리(脚)에 병이 나지 않는다’는 언어유희에서 시작되었다. ‘답교놀이’라고도 불리는 다리밟기는 고려시대부터 전해 내려온 전통으로, 신분에 관계없이 모두 함께 즐기는 지역의 큰 축제였다.특히 ‘송파다리밟기’는 서울시 무형유산 예능 종목 중 가장 이른 시기인 1989년에 지정되었다. 민간에서 전해 내려오던 다리밟기에 송파 지역 놀이패가 참여하면서 대규모 공연 형태로 발전되었다는 점이 특징이다. 넓은 마당에 임시 다리인 ‘가교(假橋)’를 설치해 시민들이 직접 줄지어 다리를 밟으며 액운을 쫓고 건강을 기원하는 참여형 놀이로, 정월대보름 세시풍속인 달집태우기, 부럼 깨기 등과 자연스럽게 어우러지며 독창적인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