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이슈
빨대 하나로 46만 달러 벌게 된 트럼프… '환경보호는 개나 줘버려'?
![yfhgfhgfg.jpg](http://img.imagepola.com/20250207/0b8be68291f05797f6772bca417093e11639468251.jpg)
트럼프는 7일(현지시간) 자신의 소셜미디어 플랫폼 트루스소셜을 통해 "바이든의 터무니없는 종이 빨대 강요를 끝내기 위해 다음 주 행정명령에 서명하겠다"고 발표했다. 그의 이러한 선언은 환경 보호와 경제적 실용성 사이의 오랜 갈등을 다시 한번 수면 위로 끌어올렸다.
이번 발표는 트럼프의 갑작스러운 결정이 아닌, 그의 일관된 정책 기조의 연장선으로 보인다. 2019년 대선 당시에도 그는 플라스틱 빨대를 정치적 상징으로 활용한 바 있다. 당시 트럼프 캠프는 그의 이름이 새겨진 빨간색 플라스틱 빨대를 10개에 15달러(약 2만1800원)라는 프리미엄 가격에 판매해 화제를 모았다. 이 전략은 놀랍게도 일주일 만에 46만 달러의 모금 실적을 달성하는 성과를 거뒀다.
![fassfasafasf.jpg](http://img.imagepola.com/20250207/ffdbf81b3e0ba5891ca7b55a721d24a3576560760.jpg)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당시 아마존에서 일반 플라스틱 빨대 250개가 9.9달러에 판매되었다는 사실이다. 트럼프 빨대의 가격이 일반 시중가의 약 38배에 달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지지자들의 호응을 얻었다는 점은, 이 문제가 단순한 소비재 선택을 넘어 정치적 신념과 정체성의 표현 수단으로 진화했음을 보여준다.
반면 바이든 행정부는 2027년까지 연방정부 내 일회용 플라스틱의 단계적 폐지를 목표로 설정했다. 이는 전 세계적으로 심각해지는 플라스틱 오염 문제에 대한 대응책이었다. 실제로 플라스틱 폐기물은 해변, 강둑은 물론 심지어 해양생물의 체내에서도 발견되고 있어 생태계 전반에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트럼프의 플라스틱 빨대 부활 선언은 국제 환경 정책에도 상당한 파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2023년 일회용품 규제 완화로 논란이 됐던 한국을 비롯한 여러 국가들의 환경 정책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 데이트 앱, 싱글의 삶… 연극 '비기닝', 당신의 이야기가 시작된다
- 노로바이러스 습격 경보! 10년 만에 최대 유행…영유아 '위험'
- 스페인 여자축구 '사타구니 접촉 스캔들'..그라운드 성추행 진실공방
- '오버투어리즘' 시름 감천문화마을 "숨 쉴 공간 확보한다"
- 대역죄인?… 문재인, 이재명부터 아이유까지, '탄핵 지지'했다가 '빨갱이' 낙인
- NASA가 인정한 '소행성 지구 충돌'... 충돌확률 2주 만에 2배 폭증
- 바이든은 금지했는데… 트럼프의 '무차별' 환경 학살
- '이한열 열사' 후배가 윤석열 옹호… 연세대 '충격'의 현장
- 당신은 몰랐던 '스크린골프장'의 비밀
- '더러워' 쑨룽의 막말, 패배 인정 못하고 '한국 때리기'..억울하면 잘하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