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공부 잘하는 약’ 복용한 9명 병원行

모다피닐과 아모다피닐은 기면증 환자에게 처방되는 약물로, 각성 효과를 유도하는 약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약물은 싱가포르에서 아직 사용 승인이 나지 않았고, 의사의 처방 없이 복용할 경우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환자 중 일부는 온몸에 물집이 생기고, 피부가 심하게 벗겨지는 등의 증상을 보였고, 심한 경우 구강 궤양과 같은 합병증을 겪기도 했다. 20대와 30대 남성들이 주로 이 약물을 복용했으며, 그들의 상태는 매우 심각했지만 다행히 모두 회복 중에 있다. 사망자는 발생하지 않았다.
싱가포르 보건과학청(HAS)은 이번 사건에 대해 "모다피닐과 아모다피닐은 의사의 처방에 의해서만 복용해야 하며, 불법적으로 구매하거나 복용해서는 안 된다"며 경고를 발했다. 특히, 이들 약물은 원래 기면증 치료에 사용되지만, 최근에는 일부 학생들이 각성 효과를 위해 남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모다피닐은 프랑스의 제약회사 라폰(Lafon)에서 개발한 약물로, 비암페타민 계열의 중추신경계 자극제이다. 이 약물의 가장 흔한 부작용은 두통, 메스꺼움, 식욕 감소 등이지만, 심한 경우 정신착란, 불안, 수면 장애, 심지어 자살 충동 등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드물게 스티븐슨-존슨 증후군이나 독성 표피괴사증과 같은 치명적인 피부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아모다피닐 역시 유사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이 두 약물 모두 처방에 의해서만 복용해야 한다.
스티븐슨-존슨 증후군과 독성표피괴사증은 매우 드물지만 치명적인 질병으로, 피부에 심각한 염증과 함께 광범위한 박리가 일어나며, 점막을 침범하기도 한다. 심한 전신 증상이나 내부 장기 침범을 동반할 수 있어 생명에 위협을 줄 수 있다. 스티븐슨-존슨 증후군의 경우 약물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약물 복용을 중단하고 원인 약제를 찾는 것이 치료의 핵심이다. 이 질병은 빠른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며, 적절한 시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스티븐슨-존슨 증후군의 경우 사망률은 약 1% 정도이며, 독성 표피괴사증은 5~50%로 훨씬 높은 사망률을 보인다.
이번 사건은 모다피닐과 아모다피닐의 부작용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는 사례로, 전문가들은 이 약물들이 반드시 의사의 처방 하에 사용되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싱가포르 종합병원 피부과 리 하우르 웨 부교수는 "이 약물들이 건강에 미치는 위험을 인식하고, 환자의 안전을 위해 적절한 의료 감독 하에만 복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환자들이 불법적으로 약을 구해 복용하는 사례가 늘어남에 따라, 약물 남용에 대한 경고가 더욱 중요해졌다.
결론적으로, 모다피닐과 아모다피닐은 기면증 치료에 효과적인 약물이지만, 부작용이 심각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의사의 처방을 받아야 하며, 불법적으로 구매하거나 복용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는 점을 다시 한번 경고하는 사건이다. 이 사건은 또한 의약품의 불법 유통과 남용에 대한 사회적인 경각심을 불러일으킬 것으로 보인다.
- 윤석열 파면 후 첫 출사표! 이재명 '잘사니즘'으로 대권 탈환 나선다
- 요키치 이적설 점화…레이커스, 슈퍼팀 탄생할까
- '첫 한 방울부터 암 유발'... 전문가들이 숨기고 싶었던 술의 진실
- "진짜 사람 아니야?" 론 뮤익의 초현실 인체 조각, 서울에 뜨다
- '착한 이미지' 버리고 '광기' 연기한 박은빈, 다음은 '학씨 아저씨'와 위험한 만남?
- 문체부, 제3회 도서관의 날 기념식 개최... 유인촌 장관 '지식의 터전' 강조
- 42만 명 홀린 고흥 드론 쇼, 이번엔 불꽃까지 더했다!
- '중국은 러시아의 비밀 동맹군?' 젤렌스키가 공개한 충격적 증거들
- 현대차, 미국 최고 미술관 '장악'
- 김정은, 33년치 식량 버리고 '무기' 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