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이슈

못생겨서 '1등' 한 블롭피시, 외모 비하 딛고 올해의 물고기 등극

 세상에서 가장 못생긴 동물로 악명 높은 '블롭피시'(Blobfish)가 뉴질랜드에서 '올해의 물고기'라는 영예로운 타이틀을 획득했다. 영국 BBC에 따르면 뉴질랜드의 해양생물 보호 기관인 '마운틴 투 시 컨서베이션 트러스트'(Mountain to Sea Conservation Trust)가 주최한 '올해의 물고기' 투표에서 블롭피시는 총 5500여 표 중 1300표를 획득해 당당히 1위에 올랐다.

 

이 대회는 뉴질랜드의 해양 생물 보호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높이기 위해 매년 개최되고 있다. 특히 올해 후보에 오른 10종 중 9종이 멸종 위기에 처해 있어 해양 생태계 보존의 중요성을 더욱 부각시켰다.

 

블롭피시의 독특한 외모는 그 생태적 특성에서 비롯된다. 이 물고기는 수심 600m에서 1200m에 이르는 깊은 바다에 서식하며, 2003년에 처음 발견되었다. 블롭피시의 가장 흥미로운 점은 서식 환경에 따라 외형이 크게 변한다는 것이다. 심해에서는 높은 수압 덕분에 일반적인 물고기 형태를 유지하지만, 수면 위로 올라오면 압력 변화로 인해 그 특유의 흐물흐물한 젤리 같은 모습으로 변모한다.

 

이러한 독특한 외모 때문에 블롭피시는 2013년 '세계에서 가장 못생긴 동물' 1위라는 다소 불명예스러운 타이틀을 얻기도 했다. 그러나 이번 '올해의 물고기' 선정은 단순히 외모가 아닌 생태학적 중요성과 보존 가치를 인정받은 결과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올해의 물고기' 2위는 심해어 오렌지 러피(Orange Roughy)가 차지했다. 오렌지 러피는 주로 뉴질랜드, 호주, 남아프리카 등지의 수심 180m에서 1800m에 이르는 심해에 서식하는 물고기다. 이들 역시 심해 생태계의 중요한 구성원으로, 보존 가치가 높은 종으로 평가받고 있다.

 

블롭피시를 비롯한 많은 심해 물고기들은 현재 심각한 생존 위협에 직면해 있다. 특히 심해 트롤링(바닥을 긁는 어업 방식)과 같은 파괴적인 어업 방식으로 인해 블롭피시의 개체 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현재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에 의해 취약종으로 분류되고 있다.

 

이번 '올해의 물고기' 선정을 통해 블롭피시와 같은 독특한 심해 생물들의 존재와 그들이 직면한 위협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해양생물 보호 기관 관계자는 "외모가 특이하다는 이유로 주목받게 된 블롭피시지만, 이를 계기로 심해 생태계 전반에 대한 보호 인식이 확산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심해 생태계는 지구상에서 가장 광대하면서도 가장 덜 탐험된 서식지 중 하나로, 블롭피시와 같은 독특한 생물들이 아직도 많이 발견되지 않은 채 존재하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이러한 생태계를 보존하는 것은 지구의 생물다양성 유지에 매우 중요한 과제라고 전문가들은 강조한다.

 

5월 황금연휴... 국내는 바다, 외국인은 전통 도시가 인기

렷하게 다른 여행 트렌드가 나타나고 있음을 발표했다. 국내 여행객들은 한적하고 매력적인 해안 소도시를 선호하는 경향이 강해진 반면, 외국인 여행객들은 대도시와 더불어 한국의 전통문화와 자연을 만끽할 수 있는 지방 중소도시로 발길을 돌리는 모습이다.부킹닷컴의 분석에 따르면, 전년 대비 검색량이 가장 많이 증가한 국내 여행지는 포항, 목포, 부산, 통영, 경주, 속초, 강릉, 거제, 군산, 남해 순으로 집계됐다. 이 목록에서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포항(1위)을 필두로 목포, 통영, 거제, 군산, 남해 등 해안 소도시들이 대거 약진했다는 점이다. 이는 탁 트인 바다 풍경 속에서 한적한 분위기와 지역 특유의 매력을 즐기려는 '로컬 감성'과 '힐링 여행' 수요가 증가했음을 명확히 보여준다. 부킹닷컴 측은 "바다와 인접한 도시들이 인기를 얻으며 해안 드라이브, 미식, 그리고 온전한 휴식을 추구하는 여행객들이 늘었다"고 분석했다.특히 검색량 증가 1위를 기록한 포항은 과거 산업도시 이미지를 벗고 최근 젊은 세대 사이에서 '감성적인 해변 도시'로 새롭게 인식되고 있다. 영일대 해수욕장의 아름다운 야경, 포스코의 독특한 풍경, 그리고 해맞이 명소 호미곶 등 지역만의 개성 있는 명소들이 소셜 미디어를 통해 확산되며 새로운 여행지로 급부상한 결과로 해석된다.그렇다면 한국을 찾는 외국인 여행객들은 어디로 향할까? 숙박 검색 데이터를 기준으로 한 외국인 인기 여행지 TOP 10은 서울, 부산, 제주, 인천, 대구, 서귀포, 경주, 전주, 속초, 수원 순이었다. 서울과 부산이 여전히 외국인들에게 가장 인기 있는 목적지임은 변함이 없지만, 경주, 전주, 속초 등 한국의 역사와 문화, 자연을 대표하는 지방 중소도시들이 상위권에 포함된 점이 주목할 만하다. 이는 외국인 여행객들 사이에서 한국의 전통문화나 빼어난 자연경관을 직접 체험하려는 트렌드가 확산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신라 천년의 고도 경주가 상위권에 자리한 것은 이러한 문화 중심형 여행 선호가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한국을 방문하는 외국인 여행객의 출발 국가 순위에서는 일본과 대만이 지리적 접근성, 환율, 항공편 확대 등의 요인으로 부동의 1, 2위를 지켰다. 흥미로운 점은 프랑스, 미국, 독일 등 한국과 거리가 먼 장거리 국가들이 순위권에 진입했다는 것이다. 이는 팬데믹 기간 동안 억눌렸던 장거리 해외여행 수요가 점차 회복되고 있으며, 한국이 이들 국가 여행객들에게 매력적인 목적지로 부상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된다.이번 부킹닷컴의 분석은 5월 황금연휴 기간(숙박 체크인 기준)의 숙박 예약 및 검색 데이터와 5월 3일부터 6일까지의 출발 기준 항공편 데이터를 전년 동기 대비 비교하여 이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