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의대생 복귀 하면 정원 줄여준다고?"... 교육부 '굴복' 논란

유일하게 등록 결과가 확인되지 않은 인제대학교 의과대학은 등록 마감 기한이 오는 4일로 연장되어 있어 아직 최종 복귀율이 집계되지 않았다. 그러나 교육 당국에 따르면 현재까지의 등록 추세로 볼 때 인제대 역시 이번 주 내에 전원 등록을 완료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로써 전국 의대생들의 '전원 복귀'라는 정부의 목표가 달성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대규모 복학은 정부가 내년도 의대 정원을 기존 3,058명으로 환원하겠다는 조건부 제안에 의대생들이 응한 결과로 해석된다. 당초 정부는 의대 증원 계획에 따라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5,058명으로 확대할 방침이었으나, 의대생들의 전원 복귀를 전제로 증원 이전 수준으로 되돌리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교육부는 단순한 등록 완료만으로는 '전원 복귀'의 조건이 충족되지 않는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등록 자체가 아닌 수업 참여도를 기준으로 전원 복귀 여부를 판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는 의대생들이 형식적으로 등록만 한 후 다시 휴학하거나 수업에 불참하는 '꼼수 복학'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로 보인다.

만약 학생들이 복학 후 재휴학을 신청하거나 수업에 지속적으로 불참한다면, 교육부는 이를 '진정한 복귀'로 인정하지 않고 당초 계획대로 내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5,058명으로 유지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의대생들의 실제 수업 참여 여부가 향후 의대 정원 결정의 핵심 변수로 떠올랐다.
교육부는 앞으로 2~3주간 각 대학의 의대생 수업 참여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할 예정이다. 이 기간 동안 학생들의 출석률과 수업 참여도를 종합적으로 평가한 후, 이번 달 말까지 각 대학의 2026학년도 의대 정원을 최종 확정할 계획이다.
의료계 내부에서는 의대생들의 복귀가 의사 국시 응시와 인턴 지원 시기가 다가오면서 불가피한 선택이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반면, 일부에서는 학생들이 형식적으로 등록만 한 후 실제 수업에는 참여하지 않는 '반쪽짜리 복귀'가 될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한편, 의대생들의 대규모 복귀에도 불구하고 의료계의 집단행동은 여전히 진행 중이다. 전공의들의 사직과 파업은 계속되고 있으며, 정부와 의료계 간의 갈등 해소를 위한 실질적인 대화는 아직 본격화되지 않은 상황이다.
정부와 의대생 간의 이번 '조건부 화해'가 의료 현장의 정상화로 이어질지, 아니면 또 다른 갈등의 시작이 될지는 앞으로 의대생들의 실제 수업 참여와 정부의 후속 조치에 달려있다. 교육계와 의료계 모두 이번 사태가 의대 교육의 질적 저하 없이 원만하게 해결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 안철수, 광화문에서 '구국의 영웅' 꿈꾸며 대선 출격!
- 하루 만에 9600조원 증발"... 트럼프 관세폭탄에 세계증시 '피바다'
- 궁궐에서 만나는 봄의 낭만, 8일부터 축전 예매 오픈
- 살라 계약 3개월 남았다... 리버풀, 호드리구에 '천문학적 러브콜' 시작
- 고혈압약 복용 중 '이 과일' 섭취했다가 응급실행
- 국내 단 2벌뿐인 드레스... 티아라 효민의 '천만원대 웨딩드레스' 정체 공개
- 이정후, 2G 연속 '쾅쾅' 멀티히트! ML 2루타 킹 등극
- 아쿠아리움에 보노보노가 떴다
- 손흥민, 통산 450경기 출전..토트넘 역사에 또 한 획! 팬들 감동
- 전설의 뮤지컬 ‘위키드’, 초호화 캐스팅으로 한국 상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