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큐브

에덴벚꽃길 벚꽃축제, '인생샷' 명소로 등극

2025년 식목일인 4월 5일, 경기도 가평 에덴벚꽃길에서 벚꽃축제가 시작된다. 에덴벚꽃길은 남한에서 벚꽃이 가장 늦게 피는 지역으로, 매년 전국 벚꽃축제의 마지막 명소로 알려져 있다. 축제는 4월 5일부터 13일까지 진행되며, 가평 상천리에 위치한 에덴벚꽃길에서는 약 1.2㎞ 길이에 걸쳐 30년 된 벚나무들이 도열해 아름다운 벚꽃터널을 이룬다. 축제 기간 동안 차량통행을 제한하여 방문객들이 편안하고 안전하게 벚꽃을 즐길 수 있도록 한다. 이 벚꽃터널은 그 자체로도 장관을 이루지만, 특히 300m에 걸쳐 펼쳐지는 마젠타 핑크 잔디와 벚꽃이 어우러지는 장면은 인생샷을 찍기 위한 최고의 포토존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

 

에덴벚꽃길이 위치한 가평 ‘상천리’ 지역은 유명한 청정지역으로, 이름이 상감천(上甘泉)에서 유래되었으며, ‘맛이 좋은 샘이 있다’는 뜻을 지닌 지역이다. 상천리 주변은 자연경관이 뛰어난 관광명소가 많아 많은 이들에게 알려져 있다. 그 중에서도 가평 8경 중 두 번째 경으로 손꼽히는 호명호수가 있다. 호명호수는 백두산 천지와 비슷한 형태로 유명하며, 최근에는 동절기 출입 제한을 풀고 3월 17일부터 방문객들에게 개방되었다. 호명호수 둘레에는 1.9km 길이의 자전거 도로가 조성되어 있어 자전거를 타며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즐길 수 있다. 매년 10만 명 이상의 사람들이 이 호수를 방문하며, 그 아름다운 풍경을 만끽하고 있다.

 

또한, ‘가평 잣향기 푸른숲’은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이 선정한 피톤치드 배출 1위의 산림휴양지로, 4월에는 특히 맑고 건강한 공기를 자랑한다. 이 지역은 피톤치드가 가장 많이 배출되는 시기가 4월을 포함해 6월, 8월, 10월로, 에덴벚꽃길 벚꽃축제가 열리는 4월에도 맑고 상쾌한 공기를 마시며 자연을 만끽할 수 있다.

 

 

 

에덴벚꽃길 벚꽃축제는 대중교통을 이용한 접근성도 뛰어나, 서울 용산과 청량리에서 출발하는 ITX 열차나 경춘선 열차를 이용하면 서울에서 약 50분 만에 도달할 수 있다. 경춘선 상봉역에서 상천역까지는 48분이 소요되며, 주말에는 상천역과 축제 행사장을 연결하는 노선버스도 운행되어, 방문객들이 편리하게 축제를 즐길 수 있다. 이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쉽게 축제 현장에 도착할 수 있다.

 

축제 기간 동안, 다양한 지역 농특산물들이 마켓을 통해 소개된다. 가평산 생딸기를 활용한 다양한 디저트도 판매되며, 지역 특산물을 직접 구매할 수 있는 기회도 제공된다. 이 축제는 지역 경제와 상생하는 중요한 행사로 자리 잡고 있으며, 지역 주민들에게도 큰 도움이 된다. 또한, 축제 기간 동안에는 다양한 공연과 이벤트들이 펼쳐져 방문객들에게 즐거운 경험을 선사한다. 미8군 군악대 캄보밴드의 공연, 오케스트라 콘서트, 벚꽃길 행진 퍼레이드, 가평 지역 예술인들의 버스킹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준비되어 있다. 방문객들은 직접 참여할 수 있는 노래자랑과 다양한 이벤트에도 참가할 수 있으며, 참여자에게는 푸짐한 상품이 제공된다.

 

‘2025 에덴벚꽃길 벚꽃축제’는 ㈜올리브스타가 주최하고, 가평군이 후원하는 행사로 ‘힙·핫·펀(HIP·HOT·FUN)’을 주제로 열린다. 이 축제는 가평군 상천리에 위치한 에덴벚꽃길에서 4월 5일부터 13일까지 개최되며, 많은 관광객들이 이 특별한 벚꽃축제를 즐기기 위해 방문할 것으로 예상된다. 축제는 가족, 연인, 친구들과 함께 즐기기 좋은 다양한 프로그램과 볼거리를 제공하며, 가평의 자연과 문화를 동시에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SNS에서 핫한 그곳! 아름다운 농촌 인생샷 성지들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모델로 평가된다.아름다운 풍경으로 '인생샷 명소'가 된 경관농업 현장들은 이제 전국 어디서나 쉽게 만날 수 있다. 그중에서도 봄이면 어김없이 전남 완도 청산도가 대표적으로 거론된다. 국가중요농업유산 제1호인 '구들장논'에 26.5㏊(약 8만평) 규모로 조성된 유채꽃밭은 5월까지 만개해 매년 10만명에 이르는 관광객의 발길을 붙잡는다.강원 삼척 근덕면 상맹방리 유채꽃밭(6㏊, 약 1만8000평)은 본래 기름 채취용으로 유채를 재배했지만, 길가에 핀 꽃을 보고 관광객이 모여들자 2002년부터 축제를 열기 시작했다. 지난해 축제장을 찾은 관광객 대상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99%가 재방문 의사를 밝혀 그 인기를 증명했다.한반도 '호랑이 꼬리'의 끝자락, 경북 포항 호미곶 해맞이광장 주변 지역 역시 경관농업의 성공 모델로 꼽힌다. 약 15만평(50㏊) 규모의 드넓은 유채꽃밭이 조성되어 있으며, 주말마다 15만명에 달하는 방문객이 찾아 명성이 자자하다. 본래 해풍으로 농사에 어려움을 겪던 땅이었지만, 포항시가 농민들을 설득한 끝에 2018년부터 유채를 심기 시작한 결과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경관농업은 농업에 새로운 역할을 부여한다'며, 현재 50㏊ 규모의 단지를 100㏊(약 30만평)까지 확장할 계획임을 강조했다.강원 평창 봉평면은 이효석 작가의 소설 '메밀꽃 필 무렵' 배경지로, 매년 9월 '효석문화제'가 열리는 경관농업 명소다. 80여 농가가 47㏊(약 14만평)의 메밀꽃밭을 조성하고 있으며 지난해 축제에 15만명이 다녀갔다. 꽃구경은 물론 메밀을 활용한 다양한 음식이 더해져 품격 있는 지역 축제로 자리 잡았다.전북 고창에서 5월 11일까지 계속되는 '고창청보리밭축제' 역시 전국적인 주목을 받는다. 약 30만평(100㏊) 규모의 청보리밭은 바람이 불 때마다 초록 물결처럼 일렁이며 방문객들에게 '인생샷'을 남길 명소로 인기를 얻고 있다. 이 축제는 생태관광 분야에서 '대한민국 대표브랜드 대상'을 4년 연속 수상하며 그 위상을 확고히 했다.지자체의 노력에 정부도 '경관농업직불제'로 힘을 보태고 있다. 경관작물 재배 농가에 소득 감소분을 고려해 1㏊당 경관작물 170만원, 준경관작물 100만원의 직불금을 지급한다. 유채, 메밀, 코스모스 등 경관작물과 청보리, 쌀보리 등 준경관작물이 해당된다. 농업경영체로 등록된 농업인·농업법인이 마을 단위 위원회를 구성해 신청할 수 있으며, 지역 축제·농촌관광 연계 계획 등 관련 서류를 제출해야 한다.전남도의 한 관계자는 "경관농업직불제가 가치를 높이고 농민 실제 소득 증대에도 기여하길 기대한다"며 "관광객 증가 선 사례와 갈수록 농사짓기 어려운 고령농 증가 추세를 고려할 때 지자체들도 경관농업으로의 전환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 경관농업이 농촌에 활력을 불어넣는 새로운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