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산업

하루 만에 9600조원 증발"... 트럼프 관세폭탄에 세계증시 '피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촉발한 관세전쟁이 전 세계 금융시장을 공황 상태로 몰아넣고 있다. 미국 증시의 폭락 여파가 아시아 시장으로 급속히 확산되면서 글로벌 금융위기의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7일 서울 주식시장은 개장과 동시에 급락세를 보였다. 오전 10시 5분 기준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5.17% 하락한 2337.99를 기록했으며, 코스닥 역시 4.38% 하락한 657.26을 기록했다. 특히 수출 의존도가 높은 대형주들의 낙폭이 두드러졌는데, 삼성전자는 4.46%, SK하이닉스는 7.03%, 현대차는 5.47% 하락했다.

 

시장 패닉은 개장 직후부터 감지됐다. 코스피200 선물이 5% 이상 급락하자 한국거래소는 오전 9시 12분부터 5분간 프로그램 매도 호가 효력을 일시 정지하는 '사이드카'를 발동했다. 사이드카는 주식시장의 급격한 변동을 완화하기 위한 긴급 조치로, 프로그램매매를 일시적으로 제한하는 장치다.

 

아시아 전역의 증시도 일제히 폭락했다. 일본 닛케이평균은 7.76% 급락했고, 대만 자취안 지수는 무려 9.69%나 하락했다. 대만 최대 기업인 TSMC의 주가도 9.98% 폭락했다. 홍콩 시장 역시 H지수가 8.41%, 항셍지수가 8.98% 하락하는 등 아시아 전역이 '블랙 먼데이'의 공포에 휩싸였다.

 

이번 금융시장 패닉은 트럼프 행정부의 전방위적 관세 부과 방침에서 비롯됐다. 미국 증시는 지난 3~4일 이틀간 S&P500 지수가 10.6%, 나스닥 지수가 11.4% 폭락했다. 이 과정에서 미국 증시 시가총액은 총 6조6000억 달러(약 9600조원)가 증발했다. 이는 한국 주식시장 전체 시가총액(2372조원)의 약 4배에 달하는 규모다.

 


세계 경제가 관세 충격으로 휘청거리는 가운데에도 트럼프 행정부는 강경한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은 6일(현지시각) NBC 인터뷰에서 증시 폭락을 단순히 '단기적 반응'으로 치부했다. 그는 "우리는 때때로 이와 같은 단기적인 시장 반응을 얻곤 했다"며 "경기 침체를 가격에 반영할 이유가 보이지 않는다"고 잘라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 역시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을 통해 "이것은 경제 혁명이며 우리는 승리할 것이다. 끈기를 갖고 버텨라. 쉽지 않겠지만 종국적 결과는 역사적일 것"이라며 관세 정책을 계속 밀어붙일 것임을 시사했다.

 

전문가들은 미국발 금융 충격이 아시아와 유럽을 거쳐 다시 미국으로 돌아가는 '글로벌 패닉 연쇄 반응'을 우려하고 있다. 7일 한국시각 오전 9시 5분 기준 S&P500 선물은 3.8%, 나스닥 선물은 4.7% 하락세를 보이고 있어, 미국 시장 개장 후에도 추가 폭락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이번 사태는 트럼프 행정부의 보호무역주의가 초래할 수 있는 심각한 경제적 파장을 보여주는 사례로, 관세전쟁이 장기화될 경우 글로벌 공급망 붕괴와 인플레이션 악화, 경기침체 심화 등 복합적인 경제 위기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수출 의존도가 높은 한국 경제에 미칠 영향이 심각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정부와 한국은행의 선제적 대응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금융당국은 시장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필요시 시장안정화 조치를 취할 준비를 하고 있지만, 글로벌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지는 가운데 효과적인 대응책 마련이 쉽지 않은 실정이다.

 

레고랜드, 레전드 라인업으로 제대로 터졌다!

월 11일)을 기념해 아이들과 부모가 함께 즐길 수 있도록 구성된 놀이 중심의 대형 체험 행사다. 레고랜드는 최근 발표된 ‘2024 레고 플레이 웰 통계자료’에서 76%의 부모가 자녀의 놀이 시간이 부족하다고 응답한 데 주목해, 이 같은 축제를 기획했다고 밝혔다.행사장은 총 다섯 가지 테마 존으로 구성되며, 각 존은 고유의 컨셉과 상징적인 레고 모델로 꾸며진다. 가장 주목할만한 공간은 인기 게임 ‘레고 포트나이트’를 주제로 한 ‘게이밍 존’이다. 이곳에서는 2만1천 개 이상의 브릭과 75시간의 제작 과정을 거쳐 완성된 실물 크기의 캐릭터 ‘커들 팀 리더’를 만나볼 수 있다. 또한 방문객들은 ‘잃어버린 섬’을 확장하며 자신만의 창의적인 건축물을 제작하고, 캐릭터 ‘어드벤처 필리’와의 만남도 체험할 수 있다.다음은 음악과 놀이가 어우러진 ‘뮤직 존’이다. 이곳에서는 관람객이 직접 레고 뮤직 플레이트를 제작하고, 다양한 스탬프 미션에 도전할 수 있다. ‘비츠 인 하모니’와 ‘썬더 브릭스’ 밴드의 캐릭터들을 무대에서 실제로 만나볼 수 있으며, 좋아하는 밴드에 투표하는 참여형 콘서트도 진행된다. 이어 ‘댄스 존’에서는 DJ 굿 바이브가 진행하는 댄스파티를 통해 리듬에 맞춰 자유롭게 춤을 즐길 수 있다. 또 하나의 주요 볼거리는 3.5m 높이의 초대형 레고 모자이크 월로, 관람객들이 함께 1,537개의 레고 조각을 맞추며 페스티벌을 완성시킨다.창의적인 조립 경험을 원하는 방문객을 위한 ‘크리에이티브 존’도 마련됐다. 이곳에서는 유명한 레고 마스터 모델 빌더 알렉스와의 가상 만남이 진행되며, 직접 표정을 디자인하는 ‘나만의 레고 미니피겨 헤드 쿠키’ 조립 체험도 새롭게 선보인다. 흰색 도시 위에 자신만의 컬러풀한 건물을 세우거나, 주사위를 던져 나온 주제에 맞춰 창의적인 레고 작품을 만들어보는 등 다양한 방식의 체험이 준비됐다. 좀 더 여유로운 분위기를 선호하는 가족을 위한 공간도 있다. ‘칠 아웃 존’은 알록달록한 꽃으로 가득한 정원 콘셉트로 조성되며, 관람객들은 이곳에서 레고 꽃을 조립하고 점점 확장되는 꽃 벽에 자신만의 작품을 추가할 수 있다. 더불어 영유아 관람객을 위한 콘텐츠로는 ‘레고 듀플로 쇼’가 마련된다. 빨간 토끼 캐릭터 ‘홉시’와 함께하는 이 공연에서는 어린 아이들도 쉽고 즐겁게 참여할 수 있는 조립 놀이가 펼쳐진다.레고랜드에 입장하는 어린이들은 브릭스트리트에 위치한 플레이 허브에서 ‘플레이 키트’를 수령할 수 있다. 이 키트에는 랜야드, 플레이 팩트 카드, 스탬프북이 포함되어 있으며, 다섯 가지 놀이 존을 순회하며 미션을 수행하면 최종적으로 ‘놀이 서약서’를 완성하게 된다. 서약서에는 ‘더 많이 만들고, 더 크게 웃고, 끝없이 탐험하며, 항상 즐겁게 놀겠다’는 아이들의 다짐이 담긴다.이번 페스티벌은 단순한 테마파크 이벤트를 넘어, 레고가 추구하는 놀이 철학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장이기도 하다. 이순규 레고랜드 코리아 대표는 “세계 레고랜드 리조트가 함께하는 첫 레고 페스티벌인 만큼, 온 가족이 함께 놀며 특별한 추억을 만들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레고랜드 브랜드 수석 부사장 레베카 스넬 역시 “아이들이 마음껏 놀고 창조하는 권리를 보장하는 것이 우리의 핵심 목표”라고 전했다.레고랜드의 이번 대형 페스티벌은 레고 브릭이라는 단순한 장난감을 넘어서, 놀이를 통해 상상력, 창의력, 공동체 정신을 키우는 글로벌 플랫폼으로서의 역할을 다시 한 번 강조하고 있다. 아이들과 함께 기억에 남을 봄날의 하루를 계획 중이라면 이번 레고 페스티벌은 단연 주목할 만한 선택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