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산업

원·달러 환율, 1,500원 코앞! 미중 무역전쟁에 '비상'

 미국과 중국의 무역 갈등이 심화되면서 원/달러 환율이 금융위기 이후 처음으로 1,500원 선에 육박하며 불안감이 고조되고 있다.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 속에서 대외 악재까지 겹쳐 환율이 심리적 마지노선인 1,500원을 넘어설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된다.

 

9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날보다 9.8원 오른 1,483.0원을 기록하며 장을 시작했다. 장중 한때 1,487.5원까지 치솟으며 2009년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를 경신했다. 원/엔 재정환율 역시 100엔당 1,020원을 넘어서며 3년 만에 최고 수준을 나타냈다.

 

환율 급등의 주요 원인으로는 미·중 무역 갈등이 꼽힌다. 미국이 중국에 고율의 관세를 부과하고 중국도 보복에 나서면서 양국 간 갈등이 격화되는 양상이다. 이는 세계 경제 불안 심리를 자극하고 안전자산 선호 현상을 강화시켜 원화 가치 하락을 부추기고 있다. 중국의 위안화 절하 가능성 또한 원화 약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미국이 한국에 부과한 상호관세 문제 역시 불확실성을 더하고 있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트럼프 대통령과 통화하며 논의를 시작했지만, 뚜렷한 해결책은 제시되지 않고 있다. 더불어 한국의 세계국채지수(WGBI) 편입이 내년으로 미뤄지면서 외국 자금 유입 기대감이 약화된 점도 환율 상승에 영향을 미쳤다.

 

전문가들은 미·중 무역 갈등이 지속될 경우 환율이 1,500원을 넘어설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한다. 백석현 신한은행 이코노미스트는 "미·중 합의 소식이 들리기 전까지는 환율 천장이 열려있다"며 1,500원 돌파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민혁 KB국민은행 연구원 또한 "글로벌 통상 환경 불확실성에 환율이 1,500원을 상회할 가능성을 열어둘 필요가 있다"고 전망했다.

 

환율 급등은 수입 물가 상승을 야기하여 국내 경제에 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다. 정부는 외환시장 변동성을 예의주시하며 필요한 조치를 취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미·중 무역 갈등이라는 근본적인 문제 해결 없이는 환율 불안정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투자자들은 환율 변동에 따른 위험을 인지하고 신중한 투자 결정을 내릴 필요가 있다.

 

레고랜드, 레전드 라인업으로 제대로 터졌다!

월 11일)을 기념해 아이들과 부모가 함께 즐길 수 있도록 구성된 놀이 중심의 대형 체험 행사다. 레고랜드는 최근 발표된 ‘2024 레고 플레이 웰 통계자료’에서 76%의 부모가 자녀의 놀이 시간이 부족하다고 응답한 데 주목해, 이 같은 축제를 기획했다고 밝혔다.행사장은 총 다섯 가지 테마 존으로 구성되며, 각 존은 고유의 컨셉과 상징적인 레고 모델로 꾸며진다. 가장 주목할만한 공간은 인기 게임 ‘레고 포트나이트’를 주제로 한 ‘게이밍 존’이다. 이곳에서는 2만1천 개 이상의 브릭과 75시간의 제작 과정을 거쳐 완성된 실물 크기의 캐릭터 ‘커들 팀 리더’를 만나볼 수 있다. 또한 방문객들은 ‘잃어버린 섬’을 확장하며 자신만의 창의적인 건축물을 제작하고, 캐릭터 ‘어드벤처 필리’와의 만남도 체험할 수 있다.다음은 음악과 놀이가 어우러진 ‘뮤직 존’이다. 이곳에서는 관람객이 직접 레고 뮤직 플레이트를 제작하고, 다양한 스탬프 미션에 도전할 수 있다. ‘비츠 인 하모니’와 ‘썬더 브릭스’ 밴드의 캐릭터들을 무대에서 실제로 만나볼 수 있으며, 좋아하는 밴드에 투표하는 참여형 콘서트도 진행된다. 이어 ‘댄스 존’에서는 DJ 굿 바이브가 진행하는 댄스파티를 통해 리듬에 맞춰 자유롭게 춤을 즐길 수 있다. 또 하나의 주요 볼거리는 3.5m 높이의 초대형 레고 모자이크 월로, 관람객들이 함께 1,537개의 레고 조각을 맞추며 페스티벌을 완성시킨다.창의적인 조립 경험을 원하는 방문객을 위한 ‘크리에이티브 존’도 마련됐다. 이곳에서는 유명한 레고 마스터 모델 빌더 알렉스와의 가상 만남이 진행되며, 직접 표정을 디자인하는 ‘나만의 레고 미니피겨 헤드 쿠키’ 조립 체험도 새롭게 선보인다. 흰색 도시 위에 자신만의 컬러풀한 건물을 세우거나, 주사위를 던져 나온 주제에 맞춰 창의적인 레고 작품을 만들어보는 등 다양한 방식의 체험이 준비됐다. 좀 더 여유로운 분위기를 선호하는 가족을 위한 공간도 있다. ‘칠 아웃 존’은 알록달록한 꽃으로 가득한 정원 콘셉트로 조성되며, 관람객들은 이곳에서 레고 꽃을 조립하고 점점 확장되는 꽃 벽에 자신만의 작품을 추가할 수 있다. 더불어 영유아 관람객을 위한 콘텐츠로는 ‘레고 듀플로 쇼’가 마련된다. 빨간 토끼 캐릭터 ‘홉시’와 함께하는 이 공연에서는 어린 아이들도 쉽고 즐겁게 참여할 수 있는 조립 놀이가 펼쳐진다.레고랜드에 입장하는 어린이들은 브릭스트리트에 위치한 플레이 허브에서 ‘플레이 키트’를 수령할 수 있다. 이 키트에는 랜야드, 플레이 팩트 카드, 스탬프북이 포함되어 있으며, 다섯 가지 놀이 존을 순회하며 미션을 수행하면 최종적으로 ‘놀이 서약서’를 완성하게 된다. 서약서에는 ‘더 많이 만들고, 더 크게 웃고, 끝없이 탐험하며, 항상 즐겁게 놀겠다’는 아이들의 다짐이 담긴다.이번 페스티벌은 단순한 테마파크 이벤트를 넘어, 레고가 추구하는 놀이 철학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장이기도 하다. 이순규 레고랜드 코리아 대표는 “세계 레고랜드 리조트가 함께하는 첫 레고 페스티벌인 만큼, 온 가족이 함께 놀며 특별한 추억을 만들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레고랜드 브랜드 수석 부사장 레베카 스넬 역시 “아이들이 마음껏 놀고 창조하는 권리를 보장하는 것이 우리의 핵심 목표”라고 전했다.레고랜드의 이번 대형 페스티벌은 레고 브릭이라는 단순한 장난감을 넘어서, 놀이를 통해 상상력, 창의력, 공동체 정신을 키우는 글로벌 플랫폼으로서의 역할을 다시 한 번 강조하고 있다. 아이들과 함께 기억에 남을 봄날의 하루를 계획 중이라면 이번 레고 페스티벌은 단연 주목할 만한 선택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