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9900원에 빵 무제한? 가성비 vs. 음식 낭비

 개점 전부터 긴 줄을 서는 '오픈런' 현상까지 벌어지는 인기 빵 뷔페에서 남겨지는 빵이 속출하며 '푸드 파이터' 논란이 일고 있다. 남은 음식에 대한 규제가 없어, 맛만 보고 버리는 소비자들이 늘면서 음식물 쓰레기 문제가 심각하다는 지적이다.

 

CJ푸드빌 뚜레쥬르는 강남과 압구정 직영점에서 '그린 플레이트'라는 베이커리 뷔페를 제공 중이다. 성인 9900원, 미취학 아동 6900원에 음료 한 잔과 뚜레쥬르 빵을 1시간 동안 무제한으로 맛볼 수 있다. 압구정점은 매일 오전 7시부터 10시까지 선착순 50명, 강남점은 주말 오전 8시부터 11시까지 최대 42팀으로 이용이 제한된다.

 

TLJ 빵 뷔페는 '가성비'를 앞세워 인기를 끌고 있으며, 유튜브에는 이를 직접 경험한 영상들이 쏟아지고 있다. 강남점의 경우 새벽 4시부터 줄을 서는 사람이 있을 정도로 '오픈런'이 발생하고 있다. 14만 구독자를 보유한 빵 전문 유튜버 '빵튜브 뽀니'는 "오전 8시부터 운영되는데 7시부터 줄이 엄청 길다"며 웨이팅 상황을 전했다. 또 다른 유튜버 '각궁이의 이색맛집' 역시 "오전 7시 5분에 웨이팅했는데 11시에나 먹을 수 있었다"고 밝혔다.

 


하지만 영상에는 먹다 남은 빵이 수북이 쌓여 있어 환경 문제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빵튜브 뽀니'는 "사람들이 한 입만 먹고 버린 빵이 너무 많다. 최소한의 규제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유튜버 '독거또랭이'는 퇴식구의 빵 쓰레기 모습을 공개하며 "푸드 파괴자들만 모였냐. 손도 안 댄 빵들이 많다"며 "열심히 일하는 직원들을 생각해서라도 깨끗하게 먹은 접시를 인증하자"고 꼬집었다.

 

이처럼 빵 뷔페의 인기 뒤에는 음식물 쓰레기 문제가 심각한 상황이다. 남은 음식 포장이 불가능한 뷔페 시스템과 규제 없는 운영 방식이 음식 낭비를 부추긴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빵 뷔페를 운영하는 CJ푸드빌 측은 "고객 만족을 위해 노력하겠다"는 입장 외에 음식물 쓰레기 문제에 대한 구체적인 해결 방안은 내놓지 않고 있다.

 

일각에서는 환경 부담금을 도입하거나, 남은 음식 포장을 허용하는 등 실질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빵 뷔페의 '가성비' 이미지에 가려진 음식물 쓰레기 문제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5시간 이내로 갈 수 있는 곳은?... '가성비 재충전' 여행지 TOP5

이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글로벌 여행 플랫폼 스카이스캐너가 15일 발표한 자사 검색 데이터 분석 결과에 따르면, 2025년 5월 황금연휴를 앞두고 한국인들은 주로 가성비 높은 단거리 여행지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스카이스캐너의 여행 전문가 제시카 민은 "후쿠오카, 다낭과 같이 가성비가 뛰어난 단거리 여행지들이 인기 순위 상위권을 차지했다"며, "짧은 연휴 기간 내에도 충분한 휴식과 재충전이 가능한 '가성비 재충전' 여행이 이번 황금연휴의 핵심 트렌드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분석했다.스카이스캐너의 데이터에 따르면, 여행 시점을 기준으로 4월 27일부터 5월 10일까지의 검색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일본 오사카의 경우 검색량이 전주 대비 38% 증가했으며, 베트남 푸꾸옥은 무려 188%라는 놀라운 증가율을 보였다. 이는 비행시간 5시간 이내의 접근성 좋은 단거리 여행지들이 연휴를 활용하려는 여행객들에게 큰 인기를 끌고 있음을 보여준다.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한정된 시간 내에 최대한의 여행 경험을 원하는 여행객들의 니즈가 반영된 결과라는 것이다. 짧은 연휴 기간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이동 시간이 적고 체류 시간을 극대화할 수 있는 근거리 여행지들이 선호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스카이스캐너는 효율적인 여행 계획을 위한 팁으로 '어디든지' 검색 기능을 활용할 것을 추천했다. 이 기능을 통해 연휴 기간 내 해변, 미식 여행지, 아직 많이 알려지지 않은 저평가된 여행지 등 다양한 테마별 목적지를 항공권 가격이 저렴한 순으로 탐색할 수 있어 예산 제약이 있는 여행객들에게 유용하다.또한 스카이스캐너는 유연한 일정 조정을 통해 더 저렴한 항공권을 찾을 수 있다고 조언했다. 출발일과 귀국일을 조금만 조정해도 상당한 비용 절감 효과를 볼 수 있으며, 이는 특히 황금연휴와 같은 성수기에 더욱 효과적인 전략이다.이번 황금연휴는 최대 6일간의 긴 휴가 기간이 가능해 많은 여행객들이 해외여행을 계획하고 있다. 항공사들도 인기 노선의 수요를 예측하며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으며, 여행사들은 다양한 연휴 패키지 상품을 출시하며 여행객 유치에 나서고 있다.스카이스캐너 측은 "연휴 기간 항공권은 일반적으로 가격이 높게 형성되므로, 가격 알림 기능을 설정해 가격 변동을 주시하는 것이 좋다"며 "특히 '어디든지' 검색 기능을 활용하면 예산 내에서 최적의 여행지를 찾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