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이슈

저커버그, 페이스북 두고 인스타 찜한 이유? "카메라 기능이 탐났다"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가 인스타그램 인수 배경에 대해 "카메라 기능이 페이스북보다 뛰어났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는 미국 연방거래위원회(FTC)가 제기한 메타 반독점 소송에서 나온 증언으로, 저커버그는 이틀 연속 증인으로 출석해 FTC 측의 질문에 답변했다.

 

저커버그는 "인스타그램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메타(당시 페이스북)에 위협이 될 수 있다고 생각했느냐"는 질문에 "인스타그램은 당시 페이스북보다 더 나은 카메라 기능을 갖고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자체 카메라 앱 개발 시도에 실패한 경험을 언급하며 "새로운 앱을 만드는 일은 어렵고, 우리가 시도했을 때 대부분 잘 작동하지 않았다"고 인정했다.

 

FTC는 과거 페이스북 내부 문서에서 "경쟁하기보다는 인수하는 것이 낫다"는 이메일을 공개하며 메타의 '인수 아니면 매장하기' 전략을 주장했다. 저커버그의 발언은 이러한 FTC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고 로이터 통신은 분석했다.

 

저커버그는 인스타그램 인수 전인 2011년 작성한 이메일에서 "인스타그램이 모바일에서 계속 잘 나가거나 구글이 이를 인수하면 몇 년 안에 우리가 지금 하는 기능을 그들도 쉽게 추가할 수 있다. 그리고 사람들이 올린 사진이 점점 많아진다면 그건 우리에게 진짜 위협이다"라며 인스타그램과의 경쟁에 위기감을 드러내기도 했다.

 


이에 대해 메타는 과거 의도가 현재 상황과 관련이 없으며, FTC가 정의한 '소셜미디어(SNS) 시장'의 범위가 너무 좁다고 반박했다. 메타는 현재 틱톡, 유튜브, 애플의 메시지 앱 등 다양한 경쟁자가 존재하며, FTC가 이들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

 

FTC는 메타가 가족·친구와 콘텐츠를 공유하는 플랫폼 시장에서 독점적 지위를 유지해왔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메타는 스냅챗, 미위(MeWe) 등 경쟁자가 존재한다고 맞서고 있다.

 

전날 법정에서는 저커버그가 과거 "인스타그램 인수를 고려해야 한다. 카메라 기능과 사진 중심 네트워크는 우리가 따라갈 수 없는 강점"이라고 쓴 이메일이 공개되며 논란이 일었다. 이에 대해 저커버그는 "당시 인스타그램의 잠재력을 다각도로 분석하는 과정에서 나온 의견일 뿐"이라고 일축했다.

 

인스타그램 인수 후 투자를 소홀히 했다는 비판에 대해 저커버그는 "인수 이후 인스타그램에 막대한 투자를 단행했다"고 적극적으로 반박했다.

 

이번 재판은 FTC가 2020년 메타의 인스타그램(2012년)과 왓츠앱(2014년) 인수를 문제 삼아 제기한 소송으로, 시장 경쟁을 제한하는 불법적인 독점 행위라는 주장이다. 약 두 달간 진행될 이번 재판에서 메타가 불법 독점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을 경우, 인스타그램과 왓츠앱을 매각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할 수 있다.

 

레고랜드, 레전드 라인업으로 제대로 터졌다!

월 11일)을 기념해 아이들과 부모가 함께 즐길 수 있도록 구성된 놀이 중심의 대형 체험 행사다. 레고랜드는 최근 발표된 ‘2024 레고 플레이 웰 통계자료’에서 76%의 부모가 자녀의 놀이 시간이 부족하다고 응답한 데 주목해, 이 같은 축제를 기획했다고 밝혔다.행사장은 총 다섯 가지 테마 존으로 구성되며, 각 존은 고유의 컨셉과 상징적인 레고 모델로 꾸며진다. 가장 주목할만한 공간은 인기 게임 ‘레고 포트나이트’를 주제로 한 ‘게이밍 존’이다. 이곳에서는 2만1천 개 이상의 브릭과 75시간의 제작 과정을 거쳐 완성된 실물 크기의 캐릭터 ‘커들 팀 리더’를 만나볼 수 있다. 또한 방문객들은 ‘잃어버린 섬’을 확장하며 자신만의 창의적인 건축물을 제작하고, 캐릭터 ‘어드벤처 필리’와의 만남도 체험할 수 있다.다음은 음악과 놀이가 어우러진 ‘뮤직 존’이다. 이곳에서는 관람객이 직접 레고 뮤직 플레이트를 제작하고, 다양한 스탬프 미션에 도전할 수 있다. ‘비츠 인 하모니’와 ‘썬더 브릭스’ 밴드의 캐릭터들을 무대에서 실제로 만나볼 수 있으며, 좋아하는 밴드에 투표하는 참여형 콘서트도 진행된다. 이어 ‘댄스 존’에서는 DJ 굿 바이브가 진행하는 댄스파티를 통해 리듬에 맞춰 자유롭게 춤을 즐길 수 있다. 또 하나의 주요 볼거리는 3.5m 높이의 초대형 레고 모자이크 월로, 관람객들이 함께 1,537개의 레고 조각을 맞추며 페스티벌을 완성시킨다.창의적인 조립 경험을 원하는 방문객을 위한 ‘크리에이티브 존’도 마련됐다. 이곳에서는 유명한 레고 마스터 모델 빌더 알렉스와의 가상 만남이 진행되며, 직접 표정을 디자인하는 ‘나만의 레고 미니피겨 헤드 쿠키’ 조립 체험도 새롭게 선보인다. 흰색 도시 위에 자신만의 컬러풀한 건물을 세우거나, 주사위를 던져 나온 주제에 맞춰 창의적인 레고 작품을 만들어보는 등 다양한 방식의 체험이 준비됐다. 좀 더 여유로운 분위기를 선호하는 가족을 위한 공간도 있다. ‘칠 아웃 존’은 알록달록한 꽃으로 가득한 정원 콘셉트로 조성되며, 관람객들은 이곳에서 레고 꽃을 조립하고 점점 확장되는 꽃 벽에 자신만의 작품을 추가할 수 있다. 더불어 영유아 관람객을 위한 콘텐츠로는 ‘레고 듀플로 쇼’가 마련된다. 빨간 토끼 캐릭터 ‘홉시’와 함께하는 이 공연에서는 어린 아이들도 쉽고 즐겁게 참여할 수 있는 조립 놀이가 펼쳐진다.레고랜드에 입장하는 어린이들은 브릭스트리트에 위치한 플레이 허브에서 ‘플레이 키트’를 수령할 수 있다. 이 키트에는 랜야드, 플레이 팩트 카드, 스탬프북이 포함되어 있으며, 다섯 가지 놀이 존을 순회하며 미션을 수행하면 최종적으로 ‘놀이 서약서’를 완성하게 된다. 서약서에는 ‘더 많이 만들고, 더 크게 웃고, 끝없이 탐험하며, 항상 즐겁게 놀겠다’는 아이들의 다짐이 담긴다.이번 페스티벌은 단순한 테마파크 이벤트를 넘어, 레고가 추구하는 놀이 철학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장이기도 하다. 이순규 레고랜드 코리아 대표는 “세계 레고랜드 리조트가 함께하는 첫 레고 페스티벌인 만큼, 온 가족이 함께 놀며 특별한 추억을 만들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레고랜드 브랜드 수석 부사장 레베카 스넬 역시 “아이들이 마음껏 놀고 창조하는 권리를 보장하는 것이 우리의 핵심 목표”라고 전했다.레고랜드의 이번 대형 페스티벌은 레고 브릭이라는 단순한 장난감을 넘어서, 놀이를 통해 상상력, 창의력, 공동체 정신을 키우는 글로벌 플랫폼으로서의 역할을 다시 한 번 강조하고 있다. 아이들과 함께 기억에 남을 봄날의 하루를 계획 중이라면 이번 레고 페스티벌은 단연 주목할 만한 선택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