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큐브

89세 이순재, 대상 수상했지만... '불참' 충격적 근황 공개

 국민배우 이순재(89)가 '제37회 한국PD대상 시상식'에서 배우 부문 수상의 영예를 안았으나, 건강상의 이유로 시상식에 직접 참석하지 못해 안타까움을 자아냈다. 이는 최근 그의 건강 상태에 대한 우려를 다시 한번 불러일으키는 계기가 됐다.

 

이순재의 측근은 "최근 건강이 많이 좋아지셨지만 다리에 근력이 빠져 거동이 불편하시다"라고 밝히며 현재 상황을 전했다. 특히 "사람들의 부축을 받거나 도움을 받는 것을 원하지 않으셔서 대리수상으로 진행됐다"고 덧붙여, 여전히 자존심과 품격을 잃지 않는 배우의 모습을 엿볼 수 있었다. 평생 한국 연예계의 중심에서 당당하게 자리매김해온 그가 타인의 도움을 거부하는 모습은 그의 평소 철학과 일맥상통한다는 평가다.

 

15일 서울 여의도 KBS 별관 공개홀에서 열린 시상식에서는 이순재를 대신해 소속사 대표 이승희가 대리 수상했다. 이승희 대표는 "선생님이 몸이 좀 불편하셔서 참석하지 못하셨다"라며 안타까움을 표했다. 이어 "선생님께서 한국PD대상 관계자와 심사위원들께 감사 인사를 전하셨고 조금 아프시다. 많은 격려와 응원이 필요하다. 파이팅 한 번만 해주시면 감사하겠다"고 대리 수상 소감을 전하며, 팬들과 업계 관계자들에게 이순재의 쾌유를 위한 응원을 부탁했다.

 


이번 수상은 이순재의 60년이 넘는 연기 인생에서 또 하나의 의미 있는 성과로 기록됐다. 그는 지난 1월 '2024 KBS 연기대상'에서도 대상을 수상하며 한국 연기계의 살아있는 전설임을 다시 한번 입증한 바 있다. 당시 시상식에 참석한 그는 "오래 살다 보니 이런 날이 온다. '언젠가는 기회가 한 번 오겠지' 하면서 늘 준비하고 있었는데 오늘 귀한 상을 받게 됐다"며 겸손한 모습을 보였다. 또한 "시청자 여러분께 평생 신세 많이 지고 도움 많이 받았다고 말하고 싶다"라며 팬들에 대한 감사함을 잊지 않았다.

 

이순재는 1964년 KBS 공채 탤런트 1기로 데뷔해 60년 가까이 연기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전원일기', '사랑이 뭐길래', '솔약국집 아들들', '내 딸 금사월' 등 수많은 작품에 출연하며 한국 드라마 역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해왔다. 최근에는 KBS2 주말드라마 '신사와 아가씨'에서 열연을 펼쳐 시청자들의 사랑을 받았다.

 

이순재의 건강 상태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팬들은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그의 빠른 회복을 기원하는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 한 팬은 "우리나라 연기의 대부이신 이순재 선생님의 빠른 쾌유를 빈다"며 "앞으로도 오래오래 건강하게 활동하시길 바란다"는 응원의 메시지를 남겼다. 업계 관계자들 역시 이순재의 건강 회복을 위해 많은 관심과 응원을 보내고 있다.

 

SNS에서 핫한 그곳! 아름다운 농촌 인생샷 성지들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모델로 평가된다.아름다운 풍경으로 '인생샷 명소'가 된 경관농업 현장들은 이제 전국 어디서나 쉽게 만날 수 있다. 그중에서도 봄이면 어김없이 전남 완도 청산도가 대표적으로 거론된다. 국가중요농업유산 제1호인 '구들장논'에 26.5㏊(약 8만평) 규모로 조성된 유채꽃밭은 5월까지 만개해 매년 10만명에 이르는 관광객의 발길을 붙잡는다.강원 삼척 근덕면 상맹방리 유채꽃밭(6㏊, 약 1만8000평)은 본래 기름 채취용으로 유채를 재배했지만, 길가에 핀 꽃을 보고 관광객이 모여들자 2002년부터 축제를 열기 시작했다. 지난해 축제장을 찾은 관광객 대상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99%가 재방문 의사를 밝혀 그 인기를 증명했다.한반도 '호랑이 꼬리'의 끝자락, 경북 포항 호미곶 해맞이광장 주변 지역 역시 경관농업의 성공 모델로 꼽힌다. 약 15만평(50㏊) 규모의 드넓은 유채꽃밭이 조성되어 있으며, 주말마다 15만명에 달하는 방문객이 찾아 명성이 자자하다. 본래 해풍으로 농사에 어려움을 겪던 땅이었지만, 포항시가 농민들을 설득한 끝에 2018년부터 유채를 심기 시작한 결과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경관농업은 농업에 새로운 역할을 부여한다'며, 현재 50㏊ 규모의 단지를 100㏊(약 30만평)까지 확장할 계획임을 강조했다.강원 평창 봉평면은 이효석 작가의 소설 '메밀꽃 필 무렵' 배경지로, 매년 9월 '효석문화제'가 열리는 경관농업 명소다. 80여 농가가 47㏊(약 14만평)의 메밀꽃밭을 조성하고 있으며 지난해 축제에 15만명이 다녀갔다. 꽃구경은 물론 메밀을 활용한 다양한 음식이 더해져 품격 있는 지역 축제로 자리 잡았다.전북 고창에서 5월 11일까지 계속되는 '고창청보리밭축제' 역시 전국적인 주목을 받는다. 약 30만평(100㏊) 규모의 청보리밭은 바람이 불 때마다 초록 물결처럼 일렁이며 방문객들에게 '인생샷'을 남길 명소로 인기를 얻고 있다. 이 축제는 생태관광 분야에서 '대한민국 대표브랜드 대상'을 4년 연속 수상하며 그 위상을 확고히 했다.지자체의 노력에 정부도 '경관농업직불제'로 힘을 보태고 있다. 경관작물 재배 농가에 소득 감소분을 고려해 1㏊당 경관작물 170만원, 준경관작물 100만원의 직불금을 지급한다. 유채, 메밀, 코스모스 등 경관작물과 청보리, 쌀보리 등 준경관작물이 해당된다. 농업경영체로 등록된 농업인·농업법인이 마을 단위 위원회를 구성해 신청할 수 있으며, 지역 축제·농촌관광 연계 계획 등 관련 서류를 제출해야 한다.전남도의 한 관계자는 "경관농업직불제가 가치를 높이고 농민 실제 소득 증대에도 기여하길 기대한다"며 "관광객 증가 선 사례와 갈수록 농사짓기 어려운 고령농 증가 추세를 고려할 때 지자체들도 경관농업으로의 전환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 경관농업이 농촌에 활력을 불어넣는 새로운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