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큐브

오하람 '천금 골'에 사우디 홈팬 침묵… 백기태호, 아시안컵 결승 '코앞'

 백기태 감독이 이끄는 대한민국 U-17 축구 국가대표팀이 2025 AFC U-17 아시안컵 결승 진출을 눈앞에 두고 있다. 17일 오후 11시(한국시간) 사우디아라비아 타이프의 오카드 스포츠 클럽 스타디움에서 열린 준결승전에서 한국은 홈팀 사우디아라비아를 상대로 1-0으로 앞서나가고 있다.

 

한국은 이날 4-4-2 포메이션으로 경기에 나섰다. 박서준과 임예찬이 최전방 공격수로 나섰고, 중원에는 구현빈, 김민찬, 진건영, 오하람이 포진했다. 수비라인은 김예건, 박병찬, 김은성, 정희섭이 구축했으며, 골문은 박도훈이 지켰다. 사우디아라비아 역시 동일한 4-4-2 포메이션으로 맞불을 놓았다.

 

경기 초반부터 한국의 공세가 매서웠다. 전반 2분 코너킥 상황에서 김예건의 크로스를 정희섭이 헤더로 연결했으나 골문을 살짝 벗어났다. 이후에도 한국의 공격은 계속됐다. 전반 22분 박서준의 패스를 받은 김은성이 박스 우측에서 왼발 슈팅을 시도했지만 사우디 골키퍼의 선방에 막혔다. 전반 28분에는 김민찬의 크로스를 오하람이 슈팅으로 연결했으나 수비수 몸에 맞고 빗나갔다.

 

가장 아쉬운 장면은 전반 32분에 나왔다. 김은성의 예리한 패스를 받은 박서준이 골 찬스를 맞이했으나 골키퍼의 슈퍼 세이브에 막혔다. 이어진 코너킥 이후 박스 안에서 혼전 상황이 벌어졌지만 한국 선수들의 연속된 슈팅이 모두 수비에 막히며 득점으로 이어지지 못했다.

 

위기도 있었다. 전반 41분 사우디의 수피야니가 일대일 찬스를 잡았지만, 한국의 골키퍼 박도훈이 놀라운 선방 실력을 뽐내며 실점 위기를 넘겼다. 이 세이브가 한국에 자신감을 불어넣었다.

 


결국 한국의 집요한 공격이 결실을 맺었다. 전반 45분, 김은성이 뒤로 올려준 패스가 사우디 수비수에 맞고 흘렀고, 이를 오하람이 슈팅으로 연결했다. 첫 슈팅은 골키퍼에게 막혔지만, 오하람이 재차 세컨볼을 마무리하며 골망을 흔들었다. 1-0으로 앞서나간 한국은 전반 추가시간에도 오하람의 패스를 받은 김예건이 슈팅을 시도하며 추가골을 노렸다.

 

후반전 시작과 함께 사우디는 바르나위와 타와시를 빼고 마타리와 다그마를 투입하며 분위기 반전을 노렸다. 후반 2분 사우디의 프리킥 상황에서 사이드의 헤더가 나왔지만 박도훈 골키퍼가 또 한 번 선방을 선보였다. 다행히 오프사이드가 선언되며 한국은 한숨을 돌렸다.

 

한국은 후반 15분 오하람의 프리킥이 아쉽게 골문을 벗어났고, 후반 20분에는 김예건이 부상으로 김지성과 교체됐다. 이어 부상당한 임예찬과 박서준 대신 류혜성과 정현웅이 투입되면서 체력 안배에 나섰다.

 

사우디의 반격도 만만치 않았다. 후반 29분 수피야니의 위협적인 슈팅이 나왔지만 정희섭이 몸을 날려 막아내는 투혼을 보였다. 이후 사우디의 공세가 이어졌으나 한국 수비진이 집중력을 잃지 않고 방어에 성공했다.

 

후반 39분에는 오하람의 컷백을 김은성이 슈팅으로 연결했으나 크로스바를 맞고 나오는 아쉬움을 삼켰다. 하지만 한국은 1-0 리드를 지켜내며 결승 진출을 눈앞에 두고 있다.

 

이번 대회에서 우승하면 한국은 2026년 FIFA U-17 월드컵 출전권을 자동으로 획득하게 된다. 백기태 감독이 이끄는 U-17 대표팀이 사우디의 거센 반격을 막아내고 값진 결승 진출을 확정할 수 있을지 경기 후반부가 주목된다.

 

5월 황금연휴... 국내는 바다, 외국인은 전통 도시가 인기

렷하게 다른 여행 트렌드가 나타나고 있음을 발표했다. 국내 여행객들은 한적하고 매력적인 해안 소도시를 선호하는 경향이 강해진 반면, 외국인 여행객들은 대도시와 더불어 한국의 전통문화와 자연을 만끽할 수 있는 지방 중소도시로 발길을 돌리는 모습이다.부킹닷컴의 분석에 따르면, 전년 대비 검색량이 가장 많이 증가한 국내 여행지는 포항, 목포, 부산, 통영, 경주, 속초, 강릉, 거제, 군산, 남해 순으로 집계됐다. 이 목록에서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포항(1위)을 필두로 목포, 통영, 거제, 군산, 남해 등 해안 소도시들이 대거 약진했다는 점이다. 이는 탁 트인 바다 풍경 속에서 한적한 분위기와 지역 특유의 매력을 즐기려는 '로컬 감성'과 '힐링 여행' 수요가 증가했음을 명확히 보여준다. 부킹닷컴 측은 "바다와 인접한 도시들이 인기를 얻으며 해안 드라이브, 미식, 그리고 온전한 휴식을 추구하는 여행객들이 늘었다"고 분석했다.특히 검색량 증가 1위를 기록한 포항은 과거 산업도시 이미지를 벗고 최근 젊은 세대 사이에서 '감성적인 해변 도시'로 새롭게 인식되고 있다. 영일대 해수욕장의 아름다운 야경, 포스코의 독특한 풍경, 그리고 해맞이 명소 호미곶 등 지역만의 개성 있는 명소들이 소셜 미디어를 통해 확산되며 새로운 여행지로 급부상한 결과로 해석된다.그렇다면 한국을 찾는 외국인 여행객들은 어디로 향할까? 숙박 검색 데이터를 기준으로 한 외국인 인기 여행지 TOP 10은 서울, 부산, 제주, 인천, 대구, 서귀포, 경주, 전주, 속초, 수원 순이었다. 서울과 부산이 여전히 외국인들에게 가장 인기 있는 목적지임은 변함이 없지만, 경주, 전주, 속초 등 한국의 역사와 문화, 자연을 대표하는 지방 중소도시들이 상위권에 포함된 점이 주목할 만하다. 이는 외국인 여행객들 사이에서 한국의 전통문화나 빼어난 자연경관을 직접 체험하려는 트렌드가 확산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신라 천년의 고도 경주가 상위권에 자리한 것은 이러한 문화 중심형 여행 선호가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한국을 방문하는 외국인 여행객의 출발 국가 순위에서는 일본과 대만이 지리적 접근성, 환율, 항공편 확대 등의 요인으로 부동의 1, 2위를 지켰다. 흥미로운 점은 프랑스, 미국, 독일 등 한국과 거리가 먼 장거리 국가들이 순위권에 진입했다는 것이다. 이는 팬데믹 기간 동안 억눌렸던 장거리 해외여행 수요가 점차 회복되고 있으며, 한국이 이들 국가 여행객들에게 매력적인 목적지로 부상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된다.이번 부킹닷컴의 분석은 5월 황금연휴 기간(숙박 체크인 기준)의 숙박 예약 및 검색 데이터와 5월 3일부터 6일까지의 출발 기준 항공편 데이터를 전년 동기 대비 비교하여 이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