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큐브

SKT 10년 썼더니 숲이 내꺼? '스페셜 T 숲캉스' 또 돌아왔다!


SK텔레콤이 10년 이상 자사를 이용한 장기 우수 고객을 대상으로 지난해 뜨거운 호응을 얻었던 프리미엄 초청 이벤트 '스페셜 T 숲캉스'를 올해도 개최한다고 21일 밝혔다.'스페셜 T 숲캉스'는 경기도 용인시 향수산 일대 약 9만㎡(2만 7000여 평) 규모의 에버랜드 내 프라이빗 자연 생태 체험 공간인 '포레스트 캠프'에서 하루 동안 숲속 바캉스를 즐길 수 있도록 마련된 특별한 행사다. 초청받은 SKT 고객만이 단독으로 공간을 사용하며, 풍성한 가족 체험 프로그램과 먹거리 등이 모두 제공되어 참가자들로부터 높은 만족도를 얻었다.

 

지난해 첫 시행에도 불구하고 SKT 장기 고객들 사이에서 입소문을 타며 평균 130대 1이라는 높은 응모 경쟁률을 기록하며 큰 인기를 증명했다. SKT는 이러한 고객들의 성원에 힘입어 올해도 이벤트를 이어가기로 결정했다.

 

올해 '스페셜 T 숲캉스'는 봄과 가을 시즌에 걸쳐 진행된다. 봄 시즌은 이미 4월 19일부터 시작되어 5월 25일까지 총 13회 운영되며, 가을 시즌은 9월과 10월 중 진행될 예정이다. SKT를 10년 이상 이용한 고객이라면 누구나 이벤트에 응모할 수 있으며, 당첨될 경우 본인 포함 최대 5인까지 함께 참여할 수 있다.

 


참가 응모는 SKT의 온라인 플랫폼 'T월드' 앱 또는 웹사이트에서 '스페셜T'를 검색한 후 이벤트 페이지에서 신청하면 된다. SKT는 올해 추첨을 통해 총 약 7500명의 장기 우수 고객에게 '스페셜 T 숲캉스'의 혜택을 제공할 계획이다.

 

이벤트 참가자 전원에게는 프리미엄 서비스가 제공된다. 고급 점심 도시락과 음료는 물론, 돗자리, 무릎 담요, 물티슈, 응급키트 등 피크닉 기본 아이템 세트가 제공된다. 또한, 생수와 간식세트, 자녀 동반 고객을 위한 놀이용품 등도 세심하게 준비된다.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도 마련되어 참가자들의 만족도를 높일 예정이다. 자녀를 위한 프로그램으로는 숲에서 꽃과 나뭇잎을 찾아보는 숲 빙고 게임, 글라이더 날리기, 바람개비 체험, 추억을 남길 수 있는 사진 인화 서비스 등이 운영된다. 성인 고객들은 약 1시간 코스의 숲 산책이나 나만의 작은 정원을 만들어보는 테라리움 원데이 클래스 중 하나를 선택해 참여할 수 있다. 자녀를 동반한 가족 단위 참가자들은 신체활동을 통해 가족 간 유대감을 강화할 수 있는 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에도 참여할 수 있다.

 

윤재웅 SKT 마케팅전략본부장은 이번 '스페셜 T 숲캉스'가 오랜 시간 SKT와 함께 해온 고객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 특별한 경험을 선사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하며, 앞으로도 SKT만의 차별화된 혜택으로 고객들이 자부심을 느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SNS에서 핫한 그곳! 아름다운 농촌 인생샷 성지들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모델로 평가된다.아름다운 풍경으로 '인생샷 명소'가 된 경관농업 현장들은 이제 전국 어디서나 쉽게 만날 수 있다. 그중에서도 봄이면 어김없이 전남 완도 청산도가 대표적으로 거론된다. 국가중요농업유산 제1호인 '구들장논'에 26.5㏊(약 8만평) 규모로 조성된 유채꽃밭은 5월까지 만개해 매년 10만명에 이르는 관광객의 발길을 붙잡는다.강원 삼척 근덕면 상맹방리 유채꽃밭(6㏊, 약 1만8000평)은 본래 기름 채취용으로 유채를 재배했지만, 길가에 핀 꽃을 보고 관광객이 모여들자 2002년부터 축제를 열기 시작했다. 지난해 축제장을 찾은 관광객 대상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99%가 재방문 의사를 밝혀 그 인기를 증명했다.한반도 '호랑이 꼬리'의 끝자락, 경북 포항 호미곶 해맞이광장 주변 지역 역시 경관농업의 성공 모델로 꼽힌다. 약 15만평(50㏊) 규모의 드넓은 유채꽃밭이 조성되어 있으며, 주말마다 15만명에 달하는 방문객이 찾아 명성이 자자하다. 본래 해풍으로 농사에 어려움을 겪던 땅이었지만, 포항시가 농민들을 설득한 끝에 2018년부터 유채를 심기 시작한 결과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경관농업은 농업에 새로운 역할을 부여한다'며, 현재 50㏊ 규모의 단지를 100㏊(약 30만평)까지 확장할 계획임을 강조했다.강원 평창 봉평면은 이효석 작가의 소설 '메밀꽃 필 무렵' 배경지로, 매년 9월 '효석문화제'가 열리는 경관농업 명소다. 80여 농가가 47㏊(약 14만평)의 메밀꽃밭을 조성하고 있으며 지난해 축제에 15만명이 다녀갔다. 꽃구경은 물론 메밀을 활용한 다양한 음식이 더해져 품격 있는 지역 축제로 자리 잡았다.전북 고창에서 5월 11일까지 계속되는 '고창청보리밭축제' 역시 전국적인 주목을 받는다. 약 30만평(100㏊) 규모의 청보리밭은 바람이 불 때마다 초록 물결처럼 일렁이며 방문객들에게 '인생샷'을 남길 명소로 인기를 얻고 있다. 이 축제는 생태관광 분야에서 '대한민국 대표브랜드 대상'을 4년 연속 수상하며 그 위상을 확고히 했다.지자체의 노력에 정부도 '경관농업직불제'로 힘을 보태고 있다. 경관작물 재배 농가에 소득 감소분을 고려해 1㏊당 경관작물 170만원, 준경관작물 100만원의 직불금을 지급한다. 유채, 메밀, 코스모스 등 경관작물과 청보리, 쌀보리 등 준경관작물이 해당된다. 농업경영체로 등록된 농업인·농업법인이 마을 단위 위원회를 구성해 신청할 수 있으며, 지역 축제·농촌관광 연계 계획 등 관련 서류를 제출해야 한다.전남도의 한 관계자는 "경관농업직불제가 가치를 높이고 농민 실제 소득 증대에도 기여하길 기대한다"며 "관광객 증가 선 사례와 갈수록 농사짓기 어려운 고령농 증가 추세를 고려할 때 지자체들도 경관농업으로의 전환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 경관농업이 농촌에 활력을 불어넣는 새로운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