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한국 20년 연속 자살률 1위의 비밀... '독거+우울증' 치명적 조합

 우울증과 불안을 모두 겪는 한국 독거 성인의 자살 위험이 두 정신질환이 없고 함께 사는 사람보다 558%나 높다는 충격적인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특히 40~64세 사이 혼자 사는 중년 남성이 자살 최고 위험군으로 확인됐다.

 

성균관대학교, 숭실대학교, 독일 베를린 샤리테 의과대학 공동 연구진이 미국 의사협회 학술지 네트워크 오픈에 발표한 이번 연구는 한국의 심각한 자살 문제에 경종을 울렸다. 한국은 2003년부터 2023년까지 20년간 OECD 국가 중 자살률 1위를 기록했으며, 인구 10만 명당 24.1명이 자살로 사망했다.

 

연구진은 2009년 국민건강보험공단 종합건강검진에 참여한 20세 이상 성인 376만여 명을 대상으로 12년간 추적조사를 실시했다. 이 중 8.5%(약 32만 명)가 혼자 살고 있었으며, 3.0%는 우울증을, 6.2%는 불안을 겪고 있었다. 연구 기간 동안 총 1만 1648명이 자살로 사망했다.

 

분석 결과, 우울증과 불안을 모두 앓으면서 혼자 사는 사람들의 자살 위험이 가장 높았다. 정신질환 없이 다른 사람과 함께 사는 사람들과 비교했을 때, 우울증과 불안을 모두 겪는 독거인의 자살 위험은 558% 증가했다. 우울증만 있고 혼자 사는 경우는 290%, 불안만 있고 혼자 사는 경우는 90% 자살 위험이 높았다.

 


주목할 점은 정신질환이 없더라도 혼자 사는 것만으로도 자살 위험이 44% 증가한다는 사실이다. 반면 다른 사람과 함께 살면서 우울증이 있는 경우는 198%, 불안만 있는 경우는 64% 자살 위험이 높았다.

 

인구통계학적으로는 독거 남성과 4064세 중년층의 자살 위험이 가장 심각했다. 우울증을 앓으며 혼자 사는 남성의 자살 위험은 332% 증가했고, 4064세 독거 성인의 자살 위험은 무려 502%나 높았다.

 

현재 한국에서는 1인 가구가 전체 가구의 3분의 1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이는 가족 구조 변화, 다세대 가구 감소, 이혼율 증가 등 사회적 변화를 반영한다. 독거 생활이 반드시 사회적 고립을 의미하지는 않지만, 사회적 고립을 경험할 확률이 높아 인구 연구에서는 자주 대체 지표로 사용된다.

 

연구진은 혼자 사는 것이 자살의 심리적 전조인 절망감과 고립감을 심화시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생물학적으로 사회적 고립으로 인한 만성 스트레스는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 축의 조절을 방해하고 전신 염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는 우울증, 불안, 자살 위험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우울증이나 불안을 겪는 사람들, 특히 중년층이나 남성과 같은 특정 인구통계학적 집단의 경우, 자살 위험을 평가할 때 거주 환경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며 "이를 통한 표적 개입이 자살 위험을 줄이는 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인생샷보다 인생 경험! 한국관광공사 '요즘여행'이 소개하는 '진짜' 바다 여행

과 의미를 중시하는 체험형 콘텐츠 시리즈 '요즘여행'을 새롭게 기획·발간했다고 14일 밝혔다. 그 첫 번째 테마는 바로 '바다'이다.'요즘여행'은 아직 대중적으로 널리 알려지진 않았지만, 감각 있는 여행자들 사이에서 입소문을 타며 주목받고 있는 국내여행의 숨은 매력과 색깔을 격월로 소개하는 콘텐츠다. 특히 여행자가 직접 몸으로 느끼고, 마음으로 교감하며, 깊은 의미를 발견할 수 있는 '체험형' 콘텐츠에 초점을 맞춘 것이 특징이다.왜 첫 번째 테마가 바다일까? 한국관광데이터랩의 최근 내비게이션 통계가 그 답을 보여준다. 자연관광지 검색 상위 10위가 모두 해변 및 해수욕장으로 나타날 만큼, 바다를 향한 국민적 관심과 수요가 얼마나 뜨거운지 확인할 수 있었다.한국관광공사 관계자는 "'요즘여행'은 단순히 눈으로 보고 사진 찍는 여행이 아닌, 몸과 마음으로 느끼고 회복하며 지속가능한 가치까지 생각하는 여행을 담았다"며, "앞으로도 지역 고유의 매력과 관광 수요 데이터를 융합하여 창의적이고 문화적인 콘텐츠를 꾸준히 발굴해 나갈 계획"이라고 '요즘여행'의 의미를 강조했다.그렇다면 '요즘여행'이 추천하는, 바다를 가장 '요즘답게' 즐기는 방법 5가지는 무엇일까?말과 함께 해변을 달려본다! 전북 고창 명사십리 해변 승마: 드넓은 백사장과 소나무 숲이 아름다운 명사십리 해변. 이곳 '휘게팜 고창해변승마클럽'에서는 초보자도 안전하게 해변 외승을 즐길 수 있다. 특히 석양 물든 서해 바다를 배경으로 말과 함께 백사장을 달리는 경험은 잊지 못할 감성적인 순간을 선사한다.섬과 예술을 라이딩으로 만난다! 인천 옹진 신도·시도·모도 예술 감성 라이딩: 인천 삼목선착장에서 배로 10분이면 닿는 신도. 연도교로 연결된 시도, 모도까지 자전거나 바이크로 편안하게 섬 일주가 가능하다. 모도의 '배미꾸미조각공원'에서는 탁 트인 바다 풍경과 어우러진 조각 작품들을 감상하며 자연과 예술 속에서 힐링하는 특별한 시간을 보낼 수 있다.맨발로 지구 에너지를 느껴본다! 충남 태안 기지포해수욕장 슈퍼 어싱 체험: '어싱(Earthing)'은 맨발로 땅을 걸으며 지구의 에너지를 받는 치유 행위다. 기지포해수욕장은 특히 바닷가 모래 해변에서의 어싱 효과가 뛰어나 '슈퍼 어싱 성지'로 불린다. 약 2시간 코스의 해변 산책로를 맨발로 걸으며 자연과의 교감을 통해 몸과 마음의 피로를 풀고 활력을 되찾을 수 있다.바다 위에서 평온을 찾아본다! 부산 광안리 SUP 요가: 국내 대표 SUP(Stand Up Paddleboarding) 명소인 부산 광안리 해변에서 이색적인 힐링을 경험할 수 있다. SUP 보드 위에서 균형을 잡고 명상과 요가 동작을 수행하며 일렁이는 파도 소리를 배경으로 심신의 안정을 찾는다. 초보자도 쉽게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주말마다 운영된다.제주 해녀의 삶 속으로 들어가 본다! 제주 하도리 해녀 물질 체험: 제주 제주시 구좌읍 하도리에서는 현직 해녀와 함께 바다에 직접 들어가 해산물을 채취하는 생생한 '물질 체험'을 할 수 있다. 해녀 장비를 착용하고 태왁과 빗창을 들고 바닷속으로 들어가 제주의 독특한 해양문화와 해녀의 고된 삶을 온몸으로 느껴보는 특별한 경험이다. 잡은 해산물을 맛보는 시간도 마련되어 있다.'요즘여행' 콘텐츠에 대한 더 자세한 이야기와 각 체험 프로그램 정보는 한국관광공사가 운영하는 대한민국 구석구석 누리집의 '요즘여행 테마관'에서 만나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