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이슈

'청빈의 상징' 프란치스코 교황 "장식 없는 관에 잠들다"

 프란치스코 교황이 21일(현지시간) 선종했다. 교황의 사인은 뇌졸중에 의한 혼수상태와 심부전으로 알려졌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88세의 고령에 폐렴으로 5주간 입원한 뒤 퇴원했다가, 약 한 달 만에 선종했다. 교황의 건강 상태는 급격히 악화되어 선종 직전인 20일에도 미국 부통령 JD 밴스와의 면담과 성 베드로 광장에서의 강복 등의 일정을 소화했지만, 결국 뇌졸중으로 사망하게 되었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전 세계적으로 '소외된 자들의 벗'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의 선종 이후 바티칸은 그의 유언장을 공개했다. 교황은 전통적인 교황의 묘지인 성 베드로 대성당이 아닌, 로마의 성모 마리아 대성당인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전에서 묻히기를 원했다. 이는 교황의 평소 검소한 생활과 소박한 신앙을 상징하는 선택으로 해석된다. 교황은 자신의 유언장에 “무덤은 땅속에 있어야 하며, 소박하고 장식 없이 ‘프란치스쿠스’란 비문만 있어야 한다”고 명시했다. 이 비문은 교황의 라틴어 이름인 ‘프란치스쿠스’를 의미하며, 그의 겸손한 성격을 반영한 것이다.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전은 로마의 4대 교황 대성전 중 하나로, 매우 중요한 종교적 상징성을 지닌 성당이다. 이곳에 안장된 교황은 극히 드물며, 가장 최근에 안장된 교황은 1669년의 클레멘스 9세였다. 교황은 이 성당과 깊은 인연을 맺고 있었으며, 재임 기간 중 100회 이상 이곳을 방문한 것으로 알려졌다. 교황은 2023년 멕시코 TV 인터뷰에서 처음으로 산타 마리아 마조레에 묻히고 싶다는 의사를 밝혔으며, 성모 마리아에 대한 깊은 신앙을 드러내며 이곳에 안장되기를 원했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역사상 최초로 아메리카 대륙 출신의 교황이며, ‘로마의 이방인’이라는 별칭이 붙을 정도로 다른 교황들과는 다른 선택을 많이 했다. 특히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전은 과거 이민자와 가난한 이들이 거주했던 지역인 로마의 에스퀼리노 언덕에 위치하고 있다. 이곳은 교황이 평소 검소한 생활을 추구하며, 사도궁이 아닌 교황청 내 방문자 숙소인 산타 마르타에서 지내기도 했던 장소이기도 하다. 이러한 배경을 고려하면, 교황은 마지막 순간까지도 소외된 이들과 함께하고 싶었던 것으로 보인다.

 

 

 

교황의 장례 절차는 22일(현지시간) 추기경들이 모여 논의할 예정이다. 장례식은 선종 후 4~6일 이내인 25일부터 27일 사이에 치러질 것으로 보인다. 교황의 관은 23일 성 베드로 대성당으로 옮겨질 예정이며, 교황청은 그의 거처인 산타 마르타 예배당에 시신을 옮기고 이를 아연을 덧댄 목관에 안치했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그의 유언에 따라, 전통적인 교황들의 장례 절차와는 다른 선택을 했다. 역사적으로 교황들의 관은 편백나무, 아연, 느릅나무로 만들어진 삼중관에 안치되었으나, 교황은 한 개의 아연과 나무로 된 관에 안치되기를 원했다. 그의 장례는 전통을 따르지 않고, 검소하고 소박한 방식으로 치러질 예정이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2013년 교황에 즉위한 후, 세계적으로 큰 영향력을 끼친 인물로 평가된다. 그는 교황으로서의 권위보다는 '사랑과 포용'을 강조했으며, 특히 가난한 사람들, 소외된 자들, 이민자들에게 많은 관심을 기울였다. 그의 선종은 전 세계적으로 큰 슬픔과 애도를 불러일으키고 있으며, 그의 유산은 앞으로도 오랫동안 남을 것이다.

 

교황의 선종 후, 추기경들은 교황의 유언을 존중하며, 그의 장례 절차와 후속 계획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프란치스코 교황의 소박한 선택은 그가 추구했던 신앙과 가르침을 잘 보여주는 사례로, 그의 삶과 유산은 많은 이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기게 될 것이다.

 

5월 황금연휴... 국내는 바다, 외국인은 전통 도시가 인기

렷하게 다른 여행 트렌드가 나타나고 있음을 발표했다. 국내 여행객들은 한적하고 매력적인 해안 소도시를 선호하는 경향이 강해진 반면, 외국인 여행객들은 대도시와 더불어 한국의 전통문화와 자연을 만끽할 수 있는 지방 중소도시로 발길을 돌리는 모습이다.부킹닷컴의 분석에 따르면, 전년 대비 검색량이 가장 많이 증가한 국내 여행지는 포항, 목포, 부산, 통영, 경주, 속초, 강릉, 거제, 군산, 남해 순으로 집계됐다. 이 목록에서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포항(1위)을 필두로 목포, 통영, 거제, 군산, 남해 등 해안 소도시들이 대거 약진했다는 점이다. 이는 탁 트인 바다 풍경 속에서 한적한 분위기와 지역 특유의 매력을 즐기려는 '로컬 감성'과 '힐링 여행' 수요가 증가했음을 명확히 보여준다. 부킹닷컴 측은 "바다와 인접한 도시들이 인기를 얻으며 해안 드라이브, 미식, 그리고 온전한 휴식을 추구하는 여행객들이 늘었다"고 분석했다.특히 검색량 증가 1위를 기록한 포항은 과거 산업도시 이미지를 벗고 최근 젊은 세대 사이에서 '감성적인 해변 도시'로 새롭게 인식되고 있다. 영일대 해수욕장의 아름다운 야경, 포스코의 독특한 풍경, 그리고 해맞이 명소 호미곶 등 지역만의 개성 있는 명소들이 소셜 미디어를 통해 확산되며 새로운 여행지로 급부상한 결과로 해석된다.그렇다면 한국을 찾는 외국인 여행객들은 어디로 향할까? 숙박 검색 데이터를 기준으로 한 외국인 인기 여행지 TOP 10은 서울, 부산, 제주, 인천, 대구, 서귀포, 경주, 전주, 속초, 수원 순이었다. 서울과 부산이 여전히 외국인들에게 가장 인기 있는 목적지임은 변함이 없지만, 경주, 전주, 속초 등 한국의 역사와 문화, 자연을 대표하는 지방 중소도시들이 상위권에 포함된 점이 주목할 만하다. 이는 외국인 여행객들 사이에서 한국의 전통문화나 빼어난 자연경관을 직접 체험하려는 트렌드가 확산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신라 천년의 고도 경주가 상위권에 자리한 것은 이러한 문화 중심형 여행 선호가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한국을 방문하는 외국인 여행객의 출발 국가 순위에서는 일본과 대만이 지리적 접근성, 환율, 항공편 확대 등의 요인으로 부동의 1, 2위를 지켰다. 흥미로운 점은 프랑스, 미국, 독일 등 한국과 거리가 먼 장거리 국가들이 순위권에 진입했다는 것이다. 이는 팬데믹 기간 동안 억눌렸던 장거리 해외여행 수요가 점차 회복되고 있으며, 한국이 이들 국가 여행객들에게 매력적인 목적지로 부상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된다.이번 부킹닷컴의 분석은 5월 황금연휴 기간(숙박 체크인 기준)의 숙박 예약 및 검색 데이터와 5월 3일부터 6일까지의 출발 기준 항공편 데이터를 전년 동기 대비 비교하여 이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