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조리원 처우 개선 요구로 대전 일부 학교 급식 중단...교육청 대책 마련 '한창'

대전교육청에 따르면 글꽃중학교와 둔산여고에서 조리원들의 집단행동과 학교운영위원회 결정으로 급식이 중단된 상태다. 글꽃중의 경우 중식 급식이 중단되어 학생 907명을 포함한 980명의 급식 대상자들이 현재 대체식으로 도시락을 먹고 있다. 교육청은 이를 위해 인건비를 제외한 식품비와 운영비를 추가 지원하며 급식비를 8천 원까지 올렸다.
글꽃중 조리원들은 미역 자르기, 달걀 까기 등 식재료 손질 업무를 거부하며 학교 측과 갈등을 빚어왔다. 지난 11일에는 급식 배식 후 식판 등을 씻지 않고 전원 퇴근한 뒤 다음 달 2일까지 단체 병가를 내는 방식으로 쟁의행위를 이어가고 있다.
둔산여고에서는 석식 급식이 중단되어 학생들이 직접 도시락을 준비하거나 인근 식당을 이용하고 있다. 이 학교 조리원들은 국그릇 사용과 교직원 배식대 설치에 반대하며 파업에 나섰다. 학교 측이 국물이 있는 음식을 별도 용기에 담아달라고 요청했으나, 조리원들은 세척 업무 과중을 이유로 거부했다. 결국 학교운영위원회는 양질의 저녁 급식이 어렵다는 판단 하에 지난 2일부터 석식 급식을 중단했다.
급식 중단 사태가 다른 학교로 확산될 우려가 커지자 대전교육청은 대응책 마련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교육청은 조리원 근무 여건 개선을 위해 배치 기준을 완화하고, 올해 상반기 중 안정적인 급식 운영을 위한 실질적인 개선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조리원 병가 등 휴가 사용 시 교육청에서 대체전담조리원을 채용해 학교나 지원청에 배치하고, 학교의 요청이 있을 경우 조리원 업무를 지원하는 대체 인력제 도입도 구상 중이다. 교육청은 이를 위해 도입 타당성 분석과 운영 방안에 대한 정책 연구를 진행하고, 교육지원청 관련 부서와 영양교사 등으로 구성된 지원 조직을 통해 현장 의견을 수렴했다.
교육청은 "조리원 배치 기준 개선과 대체전담인력제 도입으로 업무강도를 실질적으로 줄이겠다"며 "학생 수 감소 추세를 고려해 현행 인력 구조 내에서 효율을 높일 방안을 먼저 강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세척 공정 자동화 기구 등 현대식·자동화 급식 기구를 지속해서 확충하고 지원해 조리 환경 개선에도 힘쓰겠다"고 덧붙였다.
반면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은 교육당국의 대응이 부실하다고 비판하며, 이것이 "식재료 조정과 조리 공정 간소화를 요구하는 준법투쟁에 돌입한 이유"라고 설명했다. 노조는 대체전담인력제 도입에 대해 "그간 노조의 요구로 이제야 추진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교직원 배식대 문제에 대해서는 "학교 급식에서 어른 밥상 따로 차리고 학생들 밥상 따로 차리는 일"이라며 "현행법상 학교 급식 대상은 학생들이며 그동안 교직원이 급식비를 내고 함께 식사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학비노조는 "우리 사회의 미래인 우리 아이들을 위해 친환경 무상급식은 지속해야 한다"며 "학교 급식실 노동자가 건강해야 우리 아이들에게 건강한 먹거리를 제공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 日 매체가 본 한국 대선 판도... 어떻길래?
- 20대 살찐 당신, 수명 '절반' 깎이고 있다!
- '멱살 잡히고 앞으로 밀려'... 김민재, 뮌헨 우승 세리머니서 충격적 장면
- 살 찐 게 아니라 부은 거였어? 연예인들도 즐겨 마신다는 '부기 킬러' 식품 10가지
- 엘리베이터도 혼자 못 타던 소녀, 14살에 홀로 한국행... 에스파 닝닝의 충격적 고백
- 대구·경북 표심을 잡아라! 이재명·김문수·이준석 '운명의 13일' 한판 승부
- 멈추지 않는 한화의 질주... 류현진, 14연승 신화 이끈다
- 민주당, '틱톡커' 손 잡고 청년들한테 '투표하자' 외치는 이유
- 세븐틴이랑 한강 나들이 갈 사람? 10주년 기념 '비-데이 파티' 즐기자
- 심근경색 환자, '이것' 안 하면 오히려 생존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