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큐브

'서울역에서 타는 타임머신'...한 번 타면 다시 돌아오기 싫다는 그 열차의 정체

 한국관광공사(이하 공사)가 충청남도, 충남문화관광재단, 한국철도공사와 손잡고 장항선을 타고 떠나는 특별한 열차 여행 상품 '충남 레트로 낭만 열차'를 선보인다. 이번 상품은 올해 연말까지 총 8회 운영될 예정이다.

 

'충남 레트로 낭만 열차'는 1970~1980년대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복고풍 열차 여행으로, 서해안의 숨은 매력을 발견하고 여행객들에게 색다른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기획됐다. 당일 코스로 구성된 이 여행은 단순한 이동 수단이 아닌, 열차 자체가 하나의 여행 목적지가 되는 콘셉트로 설계됐다.

 

열차 내부는 70~80년대의 분위기를 그대로 재현해 시간 여행을 떠난 듯한 느낌을 선사한다. 탑승객들은 창밖으로 펼쳐지는 서해안의 아름다운 풍경을 감상하며 통기타 라이브 공연과 아코디언 연주를 즐길 수 있다. 특히 옛 감성을 불러일으키는 추억의 도시락과 구운 달걀 같은 간식들은 중장년층에게는 향수를, 젊은 세대에게는 새로운 경험을 선사할 것으로 기대된다.

 

열차 안에서는 교복 입기 체험, 딱지치기, 공기놀이 등 다양한 복고풍 프로그램이 마련되어 있어 세대를 아우르는 즐거움을 선사한다.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과거의 추억을 소환하고 가족 간의 소통을 도모하는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여행 상품은 서울역, 영등포역, 수원역 등 수도권 주요 역에서 출발하며, 참가자들은 사전에 신청한 기차역에서 하차한 후 시티투어를 통해 해당 지역의 특색 있는 관광지를 둘러볼 수 있다. 충남의 역사적 명소, 자연 경관, 문화 체험장 등을 방문하며 지역의 숨은 매력을 발견하는 기회가 될 것이다.

 

공사 관계자는 "이번 '충남 레트로 낭만 열차'는 단순한 이동 수단이 아닌, 열차 안에서의 시간도 여행의 일부가 되는 특별한 경험을 제공하고자 기획됐다"며 "코로나19 이후 국내 여행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가운데, 새로운 여행 트렌드를 반영한 이색 상품으로 충남 지역 관광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충남 레트로 낭만 열차' 상품에 대한 자세한 정보와 예약은 코레일관광개발 공식 누리집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전화 문의도 가능하다. 복고풍 열차 여행을 통해 추억 속으로의 시간 여행을 꿈꾸는 이들에게 특별한 경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일본 여행 질렸다면? 한국인들이 몰려가는 충격적인 신흥 여행지로 출발

국과 카자흐스탄이 새로운 무비자 여행 트렌드를 주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특히 중국은 전년 동기 대비 검색량이 202%나 급증했다. 이는 그동안 복잡한 비자 발급 절차로 인해 여행을 망설였던 한국인들이 최근 비자 정책 변화를 계기로 적극적으로 중국 여행에 나서고 있음을 보여준다. 중국 정부의 한국인 대상 무비자 정책은 관광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전략적 결정으로, 양국 간 인적 교류 확대에도 기여하고 있다.카자흐스탄 역시 검색량이 187% 증가하며 새로운 여행지로 떠올랐다. 아고다 관계자는 "카자흐스탄은 기존의 대중적인 여행지를 벗어나 중앙아시아의 독특한 문화와 자연경관을 체험하려는 여행객들이 늘어나면서 인기가 높아졌다"고 설명했다. 실크로드의 역사적 유산과 광활한 초원 풍경, 독특한 유목 문화 등이 한국인 여행객들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아시아 지역에서는 여전히 일본이 검색량 1위를 차지했다. 엔화 약세로 인한 여행 비용 감소, 지리적 근접성, 항공편 확대 등이 일본 여행 수요를 견인하고 있다. 일본에 이어 베트남(2위), 태국(3위), 필리핀(4위), 대만(5위)이 아시아 인기 여행지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이들 국가는 모두 한국인에게 무비자 또는 간소화된 비자 절차를 제공하고 있어 접근성이 높다는 공통점이 있다.유럽 지역에서는 이탈리아가 가장 높은 검색량을 기록했다. 이탈리아는 풍부한 역사 유산과 아름다운 자연경관, 세계적인 미식 문화 등 다양한 매력을 갖춘 여행지로, '로마의 휴일' 촬영지라는 점도 꾸준한 인기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이탈리아에 이어 스페인(2위), 프랑스(3위), 스위스(4위), 독일(5위)도 유럽 지역 인기 여행지로 꼽혔다.이준환 아고다 한국지사 대표는 "무비자 여행지는 접근성과 편의성 덕분에 지속해서 수요가 늘고 있다"며 "일본과 베트남 등 기존 인기 지역 외에도 중국과 중앙아시아가 새로운 선택지로 부상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는 한국인 여행객들이 익숙한 여행지를 넘어 새로운 경험과 문화를 찾아 여행 반경을 확장하고 있음을 보여준다.여행 업계에서는 이러한 트렌드 변화가 코로나19 이후 억눌렸던 여행 수요가 다양한 방향으로 분출되는 현상으로 해석하고 있다. 특히 SNS를 통해 새로운 여행지 정보가 빠르게 공유되면서, 이전에는 생소했던 목적지들이 급속도로 인기를 얻는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