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큐브

아시아선수권에서 빛난 이승엽, 김민종 꺾고 정상 등극

 태국 방콕의 MCC 홀에서 열린 2025 아시아유도선수권대회에서 한국 유도가 눈부신 성과를 거두며 종합 순위 3위를 기록했다. 특히 유도 최중량급의 이승엽(양평군청)은 대회에서 두각을 나타내며 금메달을 획득했다.

 

이승엽은 세계랭킹 36위로, 2024 파리 올림픽 은메달리스트인 김민종(양평군청)을 준결승에서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이승엽은 준결승에서 세계랭킹 2위인 김민종을 상대하며 빗당겨치기 되치기 절반승으로 승리했다. 이승엽의 결승 상대는 파리 올림픽 동메달리스트이자 세계랭킹 5위인 테무르 라크모프(타지키스탄)였다. 이승엽은 결승에서 지도 3개 반칙승을 거두며 챔피언으로 등극했다. 이로써 한국 유도는 남자 81㎏급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이준환(포항시청)에 이어 두 번째 금메달리스트를 배출하게 되었다.

 

김민종은 준결승에서 패배한 후, 동메달결정전에서 세계랭킹 59위인 나카무라 유타(일본)를 허리후리기 한판승으로 제압하며 동메달을 획득했다. 김민종의 동메달은 한국의 메달 수확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

 


여자 78㎏급 결승전에서는 세계랭킹 30위 김민주(광주교통공사)가 세계랭킹 38위 이케다 쿠레나(일본)에 누르기 유효패를 당하며 은메달을 목에 걸었다. 김민주의 은메달은 한국 여자 유도의 저력을 보여주는 순간이었다.

 

여자 78㎏ 이상급에서는 세계랭킹 7위인 이현지(남녕고)가 세계랭킹 12위인 아라이 마오(일본)를 허리후리기 한판승으로 제압하며 동메달을 추가했다. 이현지의 승리는 한국 유도의 경쟁력을 입증하는 결과였다.

 

남자 90㎏급에서는 세계랭킹 37위인 김종훈(양평군청)이 패자전에서 유효패로 탈락했고, 남자 100㎏급 세계랭킹 52위인 김세헌(한국마사회)은 동메달결정전에서 한판패로 아쉬움을 삼켰다.

 

개인전 셋째 날 결과, 한국은 금메달 2개, 은메달 1개, 동메달 3개를 획득하며 종합 순위 3위에 자리했다. 이번 대회는 한국 유도가 아시아 무대에서 강력한 존재감을 과시하는 계기가 되었다. 선수들은 각자의 경기에서 최고의 기량을 발휘하며 한국 유도의 미래를 밝게 만들었다. 이들의 성과는 앞으로도 많은 기대를 모으고 있으며, 국제 대회에서의 활약을 더욱 기대하게 만든다.

 

5월 황금연휴... 국내는 바다, 외국인은 전통 도시가 인기

렷하게 다른 여행 트렌드가 나타나고 있음을 발표했다. 국내 여행객들은 한적하고 매력적인 해안 소도시를 선호하는 경향이 강해진 반면, 외국인 여행객들은 대도시와 더불어 한국의 전통문화와 자연을 만끽할 수 있는 지방 중소도시로 발길을 돌리는 모습이다.부킹닷컴의 분석에 따르면, 전년 대비 검색량이 가장 많이 증가한 국내 여행지는 포항, 목포, 부산, 통영, 경주, 속초, 강릉, 거제, 군산, 남해 순으로 집계됐다. 이 목록에서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포항(1위)을 필두로 목포, 통영, 거제, 군산, 남해 등 해안 소도시들이 대거 약진했다는 점이다. 이는 탁 트인 바다 풍경 속에서 한적한 분위기와 지역 특유의 매력을 즐기려는 '로컬 감성'과 '힐링 여행' 수요가 증가했음을 명확히 보여준다. 부킹닷컴 측은 "바다와 인접한 도시들이 인기를 얻으며 해안 드라이브, 미식, 그리고 온전한 휴식을 추구하는 여행객들이 늘었다"고 분석했다.특히 검색량 증가 1위를 기록한 포항은 과거 산업도시 이미지를 벗고 최근 젊은 세대 사이에서 '감성적인 해변 도시'로 새롭게 인식되고 있다. 영일대 해수욕장의 아름다운 야경, 포스코의 독특한 풍경, 그리고 해맞이 명소 호미곶 등 지역만의 개성 있는 명소들이 소셜 미디어를 통해 확산되며 새로운 여행지로 급부상한 결과로 해석된다.그렇다면 한국을 찾는 외국인 여행객들은 어디로 향할까? 숙박 검색 데이터를 기준으로 한 외국인 인기 여행지 TOP 10은 서울, 부산, 제주, 인천, 대구, 서귀포, 경주, 전주, 속초, 수원 순이었다. 서울과 부산이 여전히 외국인들에게 가장 인기 있는 목적지임은 변함이 없지만, 경주, 전주, 속초 등 한국의 역사와 문화, 자연을 대표하는 지방 중소도시들이 상위권에 포함된 점이 주목할 만하다. 이는 외국인 여행객들 사이에서 한국의 전통문화나 빼어난 자연경관을 직접 체험하려는 트렌드가 확산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신라 천년의 고도 경주가 상위권에 자리한 것은 이러한 문화 중심형 여행 선호가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한국을 방문하는 외국인 여행객의 출발 국가 순위에서는 일본과 대만이 지리적 접근성, 환율, 항공편 확대 등의 요인으로 부동의 1, 2위를 지켰다. 흥미로운 점은 프랑스, 미국, 독일 등 한국과 거리가 먼 장거리 국가들이 순위권에 진입했다는 것이다. 이는 팬데믹 기간 동안 억눌렸던 장거리 해외여행 수요가 점차 회복되고 있으며, 한국이 이들 국가 여행객들에게 매력적인 목적지로 부상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된다.이번 부킹닷컴의 분석은 5월 황금연휴 기간(숙박 체크인 기준)의 숙박 예약 및 검색 데이터와 5월 3일부터 6일까지의 출발 기준 항공편 데이터를 전년 동기 대비 비교하여 이루어졌다.